KR101942403B1 -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 Google Patents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03B1
KR101942403B1 KR1020180089035A KR20180089035A KR101942403B1 KR 101942403 B1 KR101942403 B1 KR 101942403B1 KR 1020180089035 A KR1020180089035 A KR 1020180089035A KR 20180089035 A KR20180089035 A KR 20180089035A KR 101942403 B1 KR101942403 B1 KR 10194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ipe
drain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교
Original Assignee
이병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교 filed Critical 이병교
Priority to KR102018008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관(10)에 연결되는 급수관(12)을 감싸는 구조의 부동 급수전 기구에 있어서: 원수관(10)과 급수관(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피팅수단; 상기 급수관(12)의 배수구(12a) 하측에 배수통(21)을 배치하고, 투수재(28)를 이용하여 퇴수를 투수하는 배수수단(20); 상기 배수수단(20)의 퇴수 흐름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30); 및 상기 급수관(12)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피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옥외에 매설되어 사계절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배수를 최소화하면서 동파를 방지하고 설치와 보수에 수반되는 불편을 줄여 여타 제품에 대비한 상품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Nonfreezing hydrant device with easy maintenance function}
본 발명은 부동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외에 매설되는 구조이면서 동절기에도 동파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에 관한 것이다.
부동 급수전은 단열성을 지닌 PE관 내부에 내식성을 지닌 금속관을 수용한 상태로 옥외에 매설되는 구조로서 하단에 형성된 미세한 배수구을 통하여 물을 배출함에 따라 동절기에도 얼거나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시공시 배수구 주변에 모래나 자갈을 채워 묻어 배수성을 유지하고, 동절기에는 수도꼭지를 개방하고 상단의 핸드밸브만 사용한다.
부동 급수전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252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99769(선행문헌 2)호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1은 외부의 동파방지밸브로 손쉽게 제어가능토록 하고, 내설관과 급수관을 상호간 연통시키는 연결부재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보호하우징 최하단에 퇴수캡을 마련함과 동시에, 퇴수캡 내부 및 잔류수 배출용 퇴수구 주변에 여과부재를 마련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퇴수구가 흙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선행문헌 2는 결속관과 하외피케이스를 일체로 구성하고, 결속관 상부에는 수도관을 구비하고, 수도관 상부에는 밸브 몸통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밸브 몸통에는 밸브 승강축 지지관으로 결합하고, 하외피케이스 상부에 상외피케이스를 씌워 승강축 지지관과 결합한다. 이에, 제조가 용이하고 해체하기가 편리하여 보수가 용이하고 노출관의 방향조절이 간편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구조적으로 크고 복잡하여 시공과 보수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미흡하고, 선행문헌 2는 구조적으로 단순한 편이지만 배출공을 통한 퇴수 원활성을 확보하기 곤란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2521호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공개일자 : 2016.07.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99769호 "개량 부동급수전" (공개일자 : 2012.08.2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에 매설되어 사계절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배수를 최소화하면서 동파를 방지하고 설치와 보수에 수반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한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관에 연결되는 급수관을 감싸는 구조의 부동 급수전 기구에 있어서: 원수관과 급수관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피팅수단; 상기 급수관의 배수구 하측에 배수통을 배치하고, 투수재를 이용하여 퇴수를 투수하는 배수수단; 상기 배수수단의 퇴수 흐름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 및 상기 급수관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지재와 외피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배수수단은 배수통의 투수판을 이용하여 투수재를 수용하고, 다수의 간극부로 퇴수의 지중 배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급수관의 핸드밸브에 연결되는 조작봉에 고정되는 승강편, 승강편의 상하운동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는 차수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설정된 온도 조건에서 휨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바이메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외피관은 내면의 일정 영역에 단열성을 지닌 더 수지재를 구비하고, 외면에 힌지를 개재하여 접철 가능한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옥외에 매설되어 사계절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배수를 최소화하면서 동파를 방지하고 설치와 보수에 수반되는 불편을 줄여 여타 제품에 대비한 상품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 급수전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외피관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외피관 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수관(10)에 연결되는 급수관(12)을 감싸는 구조의 부동 급수전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옥외에 설치되는 급수관(12)을 보호하기 위한 부동 급수전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원수관(10)의 하류단에 L자형 이음쇠(10a)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팅수단이 원수관(10)과 급수관(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급수관(12)은 이음쇠(10a)의 하류단과 동심으로 결합되고, 상단에 수도꼭지(14)와 핸드밸브(16)를 지닌다. 이러한 구조는 설치와 보수 과정에서 편의성을 증진한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2)과 후술하는 배수수단(20)의 중심관(22)이 이음쇠(17)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주변의 땅을 파거나 외피관(40)과 수지재(42)를 지중에서 빼내지 않아도 상단부를 돌려서 급수관(12)을 교체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12)의 배수구(12a) 하측에 배수통(21)을 배치한 배수수단(20)이 투수재(28)를 이용하여 퇴수를 투수하는 구조이다. 급수관(12)의 하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미세한 배수구(12a)는 내부에 잔류하는 물의 퇴수를 유발하여 동파를 방지한다. 배수통(21)은 급수관(12)의 하단 영역에 형성되고 내부에 투수재(28)를 수용한다. 투수재(28)는 규사를 주성분으로 하여 배수구(12a)의 퇴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배수구(12a)를 통한 세균 등의 침입을 감소하도록 투수재(28)에 숯을 비롯한 항균ㆍ멸균 성분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수구(12a)가 배수통(21) 및 투수재(28)와 이격되므로 이물질 유입이나 그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배수수단(20)은 배수통(21)의 투수판(24)을 이용하여 투수재(28)를 수용하고, 다수의 간극부(25)로 퇴수의 지중 배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수통(21)의 중심에 중심관(22)이 배치되고 상면에 투수판(24)이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중심관(22)의 상단에서 이음쇠(22a)를 개재하여 급수관(12)에 연결되고 중심관(22)의 하단에서 이음쇠(10a)를 개재하여 원수관(10)에 연결된다. 배수통(21)과 투수판(24)이 스테인레스강인 경우 단속적인 용접으로 간극부(26)가 형성된다. 배수통(21)과 투수판(24)이 수지재인 경우 별도로 간극부(26)를 형성한다. 간극부(26)는 투수판(24)에서 급수관(12)에 접하는 부분, 투수판(24)에서 배수통(21)에 접하는 부분, 배수통(21)에서 이음쇠(10a)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에, 급수관(12)의 잔류수(퇴수)가 배수구(12a)를 통하여 흘러나온 후에 투수재(28)를 거치고 하단의 간극부(26)를 통해 지중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수단(30)이 상기 배수수단(20)의 퇴수 흐름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배수수단(20)의 배수구(12a)가 미세한 크기지만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누수에 의한 낭비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 이물질이나 세균의 침입도 우려된다. 조절수단(30)은 급수관(12)의 잔류수에 의한 동파 위험성이 높은 동절기에 배수구(12a)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함을 요체로 한다. 즉, 동절기를 제외한 시기에는 배수구(12a)를 폐쇄하여 퇴수를 유동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조절수단(30)은 급수관(12)의 핸드밸브(16)에 연결되는 조작봉(32)에 고정되는 승강편(34), 승강편(34)의 상하운동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배수구(12a)를 개폐하는 차수편(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사각형 상세 도면 중에서 상측의 것이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조작봉(32)은 상단에서 핸드밸브(16)에 연결되고 하단에서 개폐밸브(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동절기에는 수도꼭지(14)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핸드밸브(16)를 통하여 수도를 사용한다. 승강편(34)은 작은 직경의 수지재로 형성하고 조작봉(32) 상에 일체로 고정한다. 차수편(36)은 바닥과 벽체를 지닌 원통형 구조로서 바닥에는 통수공이 형성되고 벽체는 배수구(12a)를 폐쇄할 크기로 형성된다. 차수편(36)은 조작봉(32)과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승강편(34)의 상측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핸드밸브(16)를 개방하면 조작봉(32)이 상승하고 승강편(34)이 차수편(36)을 밀어 올려 배수구(12a)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며, 핸드밸브(16)를 폐쇄하면 조작봉(32)이 하강하고 승강편(34)과 차수편(36)도 하강하여 배수구(12a)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전자는 동절기에 핸드밸브(16)로 수도를 사용하는 급수 상태이거나 동절기 외에 수도꼭지(14)의 개폐와 무관한 노멀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조절수단(30)은 설정된 온도 조건에서 휨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배수구(12a)를 개폐하는 바이메탈(3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사각형 상세 도면 중에서 하측의 것이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바이메탈(38)은 열팽창계수가 다른 2종의 금속을 접합한 구조로서 동절기의 온도 조건, 예컨대 0℃ 이하에서 도시처럼 휨이 발생하여 배수구(12a)를 개방하고, 온도가 상승하는 계절에는 복원되어 배수구(12a)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바이메탈(38)에서 배수구(12a)와 접하는 부분에는 패킹을 더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제2실시예의 구성은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관(12)의 관경이 증가할수록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동시 적용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재(42)와 외피관(40)이 상기 급수관(12)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관 구조의 수지재(42)가 급수관(12)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수지재(42)의 하단을 외피관(40)이 재차 감싸는 형태를 예시한다. 수지재(42)는 PE 또는 동등 이상의 단열성을 지닌 소재를 사용하고, 외피관(40)은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함이 선호된다. 외피관(40)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면 설치와 보수의 편의성을 증진한다. 도 1에서 외피관(40)의 상단에 나선으로 결합되는 엔드캡(48)은 분리 가능한 구조의 일예에 해당한다. 미설명 부호 18은 엔드캡(48)에 결합되는 패킹이다. 수지재(42)의 상단에서 급수관(12)과 결합하는 것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외피관(40)은 내면의 일정 영역에 단열성을 지닌 수지재(42)를 더 구비하고, 외면에 힌지(46)를 개재하여 접철 가능한 지지편(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외피관(40)은 배수통(21)과 동일한 직경으로 예시하고, 외피관(40)의 내면에 수지재(42)가 설치된 상태도 예시한다. 이 경우의 수지재(42)는 몰딩으로 수지층을 형성함이 간편하다. 경우에 따라 수지재는 부호 42′로 나타내는 것처럼 배수통(21)의 내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피관(40)과 배수통(21)을 일체 구조로 형성하면 수지재(42)의 작업성과 단열성이 향상된다.
도 4에서, 외피관(40)의 일정 높이에서 양측으로 지지편(45)이 고정대(44)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설치시 지중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지지편(45)을 접은 상태로 유지하고 힌지(46)를 중심으로 지지편(45)를 펼친 후에 매립을 완료한다. 지지편(45)이 펼쳐진 상태에서 수도꼭지(14)나 핸드밸브(16)의 작동에 의하여 외피관(40)이 임의로 요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지지편(45)의 설치 위치는 지표면에 매우 근접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외피관(40)이 매립된 상태에서 급수관(12)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외피관(40)의 요동이나 회전이 구속되므로 하단의 이음쇠(22a)에 맞추고 돌려서 결합 또는 분리하기 용이하다. 종래의 경우 급수관(12)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흙을 파내고 외피관(40)을 노출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 소요가 크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원수관 10a, 22a: 이음쇠
12: 급수관 12a: 배수구
16: 핸드밸브 20: 배수수단
21: 배수통 22: 중심관
24: 투수판 26: 간극부
28: 투수재 30: 조절수단
32: 조작봉 34: 승강편
36: 차수편 38: 바이메탈
40: 외피관 42: 수지재
44: 고정대 45: 지지편
46: 힌지 48: 엔드캡

Claims (5)

  1. 원수관(10)에 연결되는 급수관(12)을 감싸는 구조의 부동 급수전 기구에 있어서:
    원수관(10)과 급수관(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피팅수단;
    상기 급수관(12)의 배수구(12a) 하측에 배수통(21)을 배치하고, 투수재(28)를 이용하여 퇴수를 투수하는 배수수단(20);
    상기 배수수단(20)의 퇴수 흐름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30); 및
    상기 급수관(12)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지재(42)와 외피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피관(40)은 내면의 일정 영역에 단열성을 지닌 수지재(42)를 더 구비하고, 외면에 힌지(46)를 개재하여 접철 가능한 지지편(45)을 구비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20)은 배수통(21)의 투수판(24)을 이용하여 투수재(28)를 수용하고, 다수의 간극부(25)로 퇴수의 지중 배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30)은 급수관(12)의 핸드밸브(16)에 연결되는 조작봉(32)에 고정되는 승강편(34), 승강편(34)의 상하운동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배수구(12a)를 개폐하는 차수편(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30)은 설정된 온도 조건에서 휨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배수구(12a)를 개폐하는 바이메탈(3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5. 삭제
KR1020180089035A 2018-07-31 2018-07-31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KR10194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035A KR101942403B1 (ko) 2018-07-31 2018-07-31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035A KR101942403B1 (ko) 2018-07-31 2018-07-31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403B1 true KR101942403B1 (ko) 2019-01-25

Family

ID=6528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035A KR101942403B1 (ko) 2018-07-31 2018-07-31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65B1 (ko) * 2019-04-04 2020-07-0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퇴수 역류에 따른 오염방지와 외부 냉기에 따른 동결방지용 부동급수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57U (ko) * 1986-09-27 1988-04-15
JPH06330543A (ja) * 1993-05-25 1994-11-29 Tomakomaishi 打倒式消火栓
KR200328439Y1 (ko) * 2003-07-04 2003-09-29 서종임 부동전
KR101199769B1 (ko) 2011-02-10 2012-11-09 주식회사 미래산업 개량 부동급수전
KR20160002521A (ko) 2014-06-30 2016-0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의 기름탱크 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57U (ko) * 1986-09-27 1988-04-15
JPH06330543A (ja) * 1993-05-25 1994-11-29 Tomakomaishi 打倒式消火栓
KR200328439Y1 (ko) * 2003-07-04 2003-09-29 서종임 부동전
KR101199769B1 (ko) 2011-02-10 2012-11-09 주식회사 미래산업 개량 부동급수전
KR20160002521A (ko) 2014-06-30 2016-0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의 기름탱크 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65B1 (ko) * 2019-04-04 2020-07-0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퇴수 역류에 따른 오염방지와 외부 냉기에 따른 동결방지용 부동급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325B1 (en) Apparatus for stormwater retention and release, and method of use thereof
NO840022L (no) Anordning for frostbeskyttelse av lagnings- eller tilfoerselsinnretninger for frostoemfintlige vaesker, spesielt vann
US7857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of fields
US6311720B1 (en) Cover for protecting piping assemblies with engagement rod
KR101942403B1 (ko) 보수용이성을 지닌 부동 급수전 기구
ES2805736T3 (es) Dispositivo limitador de caudal
US5740832A (en) Elevated cover f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US6582156B1 (en) Level control device for wetland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CA2098462C (en) Animal watering device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CA2645709A1 (en)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underground tank freeze-ups
US5003928A (en) Freeze resistant animal watering installation
US7360965B2 (en) Cleanout with drainage capabilities
JP3699986B2 (ja) 暗渠排水装置
JP2017179824A (ja) トイレシステム
AU2006225316B2 (en) Structural Tank Wall
JP6832754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EP0484193B1 (fr) Installation de comptage d'eau protégée contre le gel
KR101562939B1 (ko) 동결방지구조와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JPS6119880B2 (ko)
JPH0457814B2 (ko)
JP7463122B2 (ja) マンホールトイレシステム
RU2582768C1 (ru)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JPH0726594A (ja) 中水貯留装置
KR20190130733A (ko) 부동급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