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227Y1 - 걸레 탈수기 - Google Patents

걸레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227Y1
KR200328227Y1 KR20-2003-0019763U KR20030019763U KR200328227Y1 KR 200328227 Y1 KR200328227 Y1 KR 200328227Y1 KR 20030019763 U KR20030019763 U KR 20030019763U KR 200328227 Y1 KR200328227 Y1 KR 200328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or
movable plate
mop
l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삼봉
Original Assignee
문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삼봉 filed Critical 문삼봉
Priority to KR20-2003-0019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59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movable squeezing member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 탈수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탈수기는 고정판을 갖는 탈수기 본체와; 고정판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가동판과; 가동판을 고정판에 대해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일단은 탈수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가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의 걸레를 압착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가동판을 고정판으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과; 걸레에서 탈수된 물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탈수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통을 포함한다. 특히, 운동수단은 탈수기 본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손잡이와, 작동손잡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과, 아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링크와, 작동손잡이의 회전력이 아암과 제 1링크를 통해 가동판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 1링크와 가압판을 연결하는 제 2링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큰 힘으로 걸레를 압착함으로써 걸레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물을 간편한 방법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물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걸레 탈수기{MOP DEHYDRATOR}
본 고안은 걸레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수 효율을 높여줄 수 있고 탈수된 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걸레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걸레 탈수기는 대걸레에 묻어 있는 물기를 짜내는 장치로서, 고정판을 갖는 탈수기 본체와, 탈수기 본체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과, 가동판을 고정판에 대해 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탈수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걸레 탈수기는 고정판과 가동판의 사이에 걸레를 배치시킨 다음, 가동판을 고정판으로 운동시켜 걸레를 압착함으로써 걸레의 물기를 짜내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레로부터 탈수된 물은 하부의 물받이통에 수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걸레 탈수기는 걸레에 대한 압착력이 작아 탈수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탈수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걸레에 물기가 그대로 남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걸레 탈수기는 물받이통에 수집된 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물받이통을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물받이통을 거꾸로 뒤집는 과정에서 오염된 물이 사용자의 옷 또는 인체에 튀어 오염시킨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걸레의 물기를 높은 효율로 짜낼 수 있는 걸레 탈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받이통을 거꾸로 뒤집지 않고도 오염된 물을 제거 처리할 수 있는 걸레 탈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탈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탈수기 본체 12: 걸이홈
14: 탈수실 16: 고정판
20: 가동판 22: 지지브라켓
22a: 힌지축 22b: 피봇축
24: 스프링 30: 작동손잡이
30a: 회전축 32: 아암
32a: 접촉면 34: 링크
36: 가압로드 40: 물받이통
42: 수집실 44: 바닥면
44a: 배출구 46: 개폐밸브
48: 바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고정판을 갖는 탈수기 본체와; 상기 고정판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탈수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가동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의 걸레를 압착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판을 상기 고정판으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과; 상기 걸레에서 탈수된 물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실을 가지며, 상기 탈수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는 걸레 탈수기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수단이 상기 탈수기 본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손잡이와, 상기 작동손잡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작동손잡이의 회전력이 상기 아암과 제 1링크를 통해 상기 가동판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가압판을 연결하는 제 2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탈수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걸레 탈수기는 탈수기 본체(10)와, 탈수기 본체(10)로부터 탈수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물받이통(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탈수기 본체(10)는 물받이통(40)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이홈(12)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탈수실(14)이 형성되어 있다. 탈수실(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고정판(16)을 가지며, 이 고정판(16)에는 복수의 배수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멍(16a)의 외측으로는 배수되는 물을 아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16b)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탈수실(14)의 바닥면(14a)에도 배수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탈수실(14)에는 가동판(20)이 배치되며, 이 가동판(20)은 지지브라켓 (22)에 의해 탈수기 본체(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판(20)은 탈수실(14)의 고정판(16)과 대응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16)과 협동하여 걸레를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브라켓(22)은 일단이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탈수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피봇축(22b)을 중심으로 상기 가동판(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22)은 스프링(24)에 의해 고정판(16)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동판(20)을 고정판(16)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판(16)과 가동판(20)의 간격을 벌려놓는다. 고정판 (16)에 대해 간격이 벌어진 가동판(20)은 탈수기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걸림봉(18)에 의해 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탈수기 본체(10)는 가동판(20)을 고정판(16)을 향해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한다. 운동수단은 탈수기 본체(10)에 회전축(3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손잡이(30)와, 작동손잡이(30)의 회전축(30a)에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32)과, 아암(3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링크 (34)와, 일단은 제 1링크(34)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판(2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링크(36)로 구성된다. 특히, 제 2링크(36)는 지지브라켓(22)보다 높은 위치에서 고정판(16)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아암(32)의 단부에는 상기 아암(32)이 회전축(30a)과 함께 회전하는 도중에 제 2링크(36)의 단부와 맞닿아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동수단에 의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손잡이(30)를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30a)이 회전하고, 회전축(30a)이 회전함에 따라 아암(32)도 회전하면서 제 1링크(34)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리고 당겨진 제 1링크(34)는 제 2링크(3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 2링크 (36)는 단부에 지지된 가동판(20)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결국, 가동판(20)은 전방으로 운동하면서 고정판(16)과의 사이에 배치된 걸레(M)를 압착하면서 탈수하기 시작한다.
한편, 작동손잡이(30)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아암(32)의 접촉면(32a)과 제 2링크(36)의 일단에 닿게 되면, 이후부터는 아암(32)이 직접 제 2링크(36)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동판(2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6)에 더욱근접하면서 걸레(M)를 압착하게 된다. 특히, 아암(32)이 직접 제 2링크(36)를 가압함에 따라 가동판(20)의 가압력은 더욱 높아지며, 이에 따라 걸레의 탈수효율은 증대된다.
다음으로, 탈수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통(4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받이통(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실(42)을 갖는다. 수집실(42)은 탈수기 본체(10)로부터 탈수되는 물기를 받아내는 곳으로, 그 바닥면 (44)에는 수집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4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면(44)은 수집된 물기가 배출구(44a)를 향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44a)를 향해 경사져 있다. 도면에서는 배출구(44a)가 물받이통(40)의 후방을 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받이통(40)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배출구(44a)에는 개폐밸브(46)가 설치된다. 개폐밸브(46)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구(44a)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수집된 물기를 수집실(42)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개폐밸브(46)는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콕밸브(Cock Valv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받이통(40)의 밑면에는 다수의 바퀴(48)들이 설치된다. 다수의 바퀴(48)들은 물받이통(4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본 고안의 걸레 탈수기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물받이통(40)의 전방을 후방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방의 두 바퀴(48)들과 후방의 두 바퀴(48)들을 각각 장착하여 물받이통(40)의 바닥면(44)이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물받이통(40)은, 탈수기 본체(10)로부터 탈수되는 물기를 받아낼 뿐만 아니라 탈수기 본체(10)를 지지하고, 또한 탈수기 본체(10)를 이동가능하게 한다. 탈수기 본체(10)와 작동손잡이(30)를 분리하고, 탈수기 본체(10)와 물받이통(40)을 분리하면, 탈수기 본체(10)와 작동손잡이(30)를 물받이통(40)에 넣어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물받이통(40)을 물기를 받아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왁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왁스를 저장하기 위한 왁스저장실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탈수기에 의하면, 큰 힘으로 걸레를 압착함으로써 걸레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물을 간편한 방법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물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고정판을 갖는 탈수기 본체와;
    상기 고정판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탈수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가동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의 걸레를 압착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판을 상기 고정판으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과;
    상기 걸레에서 탈수된 물기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실을 가지며, 상기 탈수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는 걸레 탈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이 상기 탈수기 본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손잡이와, 상기 작동손잡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작동손잡이의 회전력이 상기 아암과 제 1링크를 통해 상기 가동판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가압판을 연결하는 제 2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탈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는 회전도중에 상기 제 2링크와 접촉되어 상기 제 2링크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접촉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탈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의 수집실의 바닥면에는 수집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수집실의 바닥면은 수집된 물이 상기 배출구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탈수기.
KR20-2003-0019763U 2003-06-23 2003-06-23 걸레 탈수기 KR200328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63U KR200328227Y1 (ko) 2003-06-23 2003-06-23 걸레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63U KR200328227Y1 (ko) 2003-06-23 2003-06-23 걸레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227Y1 true KR200328227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763U KR200328227Y1 (ko) 2003-06-23 2003-06-23 걸레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2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364B1 (ko) * 2010-09-14 2011-12-26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230035828A (ko) * 2021-09-06 2023-03-14 이광모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364B1 (ko) * 2010-09-14 2011-12-26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230035828A (ko) * 2021-09-06 2023-03-14 이광모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KR102521390B1 (ko) * 2021-09-06 2023-04-12 이광모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873B2 (en) Device for squeezing liquid-absorbing wiper bodies
KR200328227Y1 (ko) 걸레 탈수기
KR20090003925U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물기제거기
KR200284417Y1 (ko) 걸레 세척장치
KR100604648B1 (ko) 마포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
CN210354590U (zh) 拖把桶和清洁用具套件
CN213189392U (zh) 一种手压挤水拖把及拖把清洁工具
CN108498036B (zh) 一种便携式拖把桶
KR200291204Y1 (ko) 마포걸레 탈수장치
CN213216769U (zh) 一种可挤压拖把脱水的清洁工具
CN209529063U (zh) 一种拖把清洗压干桶
CN111938528B (zh) 一种清洁工具
KR200149749Y1 (ko) 수분 제거 가능한 압착형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CN218505297U (zh) 一种餐厨垃圾收集处理装置
KR930000413Y1 (ko) 마포걸레 탈수기
KR200177572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373132Y1 (ko) 마포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
JPH0537923Y2 (ko)
CN210697533U (zh) 一种平板拖把的清洗挤干桶
KR200318052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장치
KR1011120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3729Y1 (ko) 압착식 탈수 구조를 구비한 대걸레
CN100444775C (zh) 多功能拖把
JP2562386Y2 (ja) 厨芥処理装置
KR20120019247A (ko) 마대걸레의 세탁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