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868Y1 -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868Y1
KR200327868Y1 KR20-2003-0019553U KR20030019553U KR200327868Y1 KR 200327868 Y1 KR200327868 Y1 KR 200327868Y1 KR 20030019553 U KR20030019553 U KR 20030019553U KR 200327868 Y1 KR200327868 Y1 KR 200327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athode ray
ray tube
coupl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19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temperature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61Cooling arrangements
    • H01J2229/0069Active means, e.g. fluid flow
    • H01J2229/0076Active means, e.g. fluid flow applied to the faceplate
    • H01J2229/0084Translucent coolant, e.g. flowing across faceplate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 압력조절부재는 음극선관 커플러(10)의 커플러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주입구(11a)에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냉매주입구(11a)를 향한 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힘부(130)로 구성되며, 브라켓(12)내의 개구부와 만나는 결합부(120)에 몸체(110)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접촉방지 리브가 형성되므로서, 밀착결합하는 브라켓(12)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브라켓(12)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미세크랙으로 인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므로서 프로젝션 티브이의 전체 성능에 영향을 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PRESSURE REGULATING MEMBER OF THE CHILL FLUID OF A CATHODE RAY TUBE COUPLER}
본 고안은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러 하우징 내측에 봉입된 냉매의 반복적인 체적변화에 따라 압력조절부재와 브라켓과의 잦은 마찰에 의한 미세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cathode ray tube projection television)을 이용한 투사형 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라고도 함)에 의해 결상된 화상을 스크린에 확대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음극선관와, 음극선관로부터의 화상을 스크린으로 전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미러와, 음극선관에 표시된 화상을 반사미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투사렌즈를 구비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으로부터 보통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스크린에 확대되어 표시되는 화상을 보게 된다.
음극선관은 통상 7인치 또는 9인치 크기가 사용되며, 음극선관에 맺혀지는 유효 화상의 크기는 4인치에서 6인치 정도로 된다.
음극선관은 냉각 및 렌즈의 역할을 위해 수냉방식의 구조를 갖는 커플러(coupler)에 의해 일체화된다.
종래의 음극선관의 화상을 광학계를 통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여 대화면을 표시하는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커플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커플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 커플러(1)는 음극선관(2)이 커플러 하우징(3)의 일측에 장착되고, 커플러 하우징(3)의 타측에 고정부재(4)에 의해 렌즈(5)가 설치되며, 커플러 하우징(3) 내측에 음극선관(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6)가 봉입되고, 커플러 하우징(3)의 일측에 냉매(6)의 열팽창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냉매 압력조절부재(7)가 브라켓(8)에 의해 설치된다.
냉매(6)는 자연대류와 전도로써 음극선관(2)의 형광면(2a)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하며, 무색 투명한 유체로 형성됨으로써 그 자체로서 하나의 렌즈 역할을 하게 된다.
냉매(6)는 통상적으로 친수성이 매우 강한 에칠렌 글리콜과 글리세린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 설계시에는 굴절율이 온도의 함수이므로 냉매(6)의 온도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냉매 압력조절부재(7)는 플레이트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나 EPDM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온도의 변환에 따른 냉매(6)의 팽창 및 압축에 따라 냉매 압력조절부재(16)가 신축이 됨으로써 냉매(6)의 압력을 조절한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음극선관 커플러(1)의 냉매 압력조절부재(7)는 플레이트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신축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냉매(6)의 체적변화에 따라 냉매(6)가 봉입된 커플러 하우징(3) 내측의 체적을 제대로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냉매(6)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냉매(6)의 온도변화가 클 경우 냉매(6)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냉매 압력조절부재(7)가 냉매(6)의 압력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냉매(6)가 봉입된 커플러 하우징(3)의 취약부분으로 냉매(6)가 유출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음극선관(2) 표면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켜 음극선관(2)의 파손 등의 결함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3-20114호에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100)를 개시하고 있다. 이 냉매 압력조절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 커플러(10)의 커플러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주입구(11a)에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냉매주입구(11a)를 향하는 쪽의 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힘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개방측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결합부(120)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브라켓(12)을 개재해서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밀착 결합된다.
한편, 냉매 압력조절부재(100)가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삽입되어 결합부(120)가 브라켓(12)에 의해 냉매주입구(11a)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냉매주입구(11a)의 주위와 브라켓(12)에 각각 복수의 나사홀(11b,12a)이 형성되며, 냉매주입구(11a)의 일측과 브라켓(12)사이에 냉매 압력조절부재(100)의 결합부(120)가 위치하도록 하여 나사홀(11b,12a)에 스크루(S)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냉매 압력조절부재(100)는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결합된다.
접힘부(130)는 몸체(110)의 바닥면에 복수개로 접혀져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힘부(130)는 냉매(13)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접히거나 펴짐으로써 몸체(110)의 길이가 변화되어 커플러 하우징(11) 내측의 체적을 변화시킨다. 즉, 냉매(13)가 상온상태에서는 체적이 최소를 유지하므로, 냉매 압력조절부재(10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힘부(130)가 접혀져 있다가, 음극선관(14)이 구동에 의해 열을 발산함으로써 냉매(13)가 가열되어 체적이 팽창되면 냉매 압력조절부재(100)는 접힘부(130)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펴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냉매의 온도가 하강하여체적이 수축되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수축되므로, 커플러 하우징(11) 내측의 체적을 변화시켜서 냉매(13)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커플러 하우징(11)으로부터 냉매(13)가 유출되거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는 고무재질로서 통상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제작되므로, 고무재질의 냉매 압력조절부재가 프레스물인 브라켓에의해 밀착결합된 상태에서 반복적인 냉매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 미세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항상 내제하고 있었다. 미세크랙이 발생하면 냉매가 유출되어 프로젝션 티브이의 전체 성능에 영향을 주므로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밀착결합하는 브라켓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브라켓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극선관용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는, 음극선관 커플러의 커플러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주입구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플러 하우징의 냉매주입구에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냉매주입구를 향한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힘부로 구성된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내의 개구부와 만나는 상기 결합부에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접촉방지 리브가 보강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커플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음극선관 커플러에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브라켓을 개재해서 음극선관 커플러에 결합된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브라켓과의 접촉방지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극선관 커플러 11 : 커플러 하우징
11a : 냉매 주입구 12 : 브라켓
110 : 몸체 120 : 결합부
130 : 접힘부 150 : 접촉방지 리브
200 : 본 고안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도시한 상세단면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명기하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20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음극선관 커플러(10)의 커플러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주입구(11a)에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냉매주입구(11a)를 향한 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힘부(130)로 구성되며, 특징적 구성으로서, 브라켓(12)내의 개구부와 만나는 결합부(120)에 몸체(110)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접촉방지 리브(150)가 보강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반복적으로 팽창과 수축된다 하더라도 브라켓(12)과 만나는 결합부(120)에 미세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생된다 하더라도, 접촉방지 리브(150)에서 발생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120)의 끝단에는 원형 리브(122)가 제공되어 냉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는 그 결합부(120)가 커플러 하우징(10)의 냉매주입구(11a)에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므로서, 커플링 하우징(10)의 내측에 봉입된 냉매의 반복적인 체적변화에 따라 브라켓(12)내의 개구부와 만나는 결합부(120)에 접촉방지 리브(150)가 몸체(110)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보강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세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연에방지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음극선관 커플러(10)의 커플러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주입구(11a)에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플러 하우징(11)의 냉매주입구(11a)에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냉매주입구(11a)를 향한 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힘부(130)로 구성된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내의 개구부와 만나는 상기 결합부(120)에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접촉방지 리브(150)가 형성되는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의 끝단에는 원형리브(12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KR20-2003-0019553U 2003-06-20 2003-06-20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KR200327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3U KR200327868Y1 (ko) 2003-06-20 2003-06-20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3U KR200327868Y1 (ko) 2003-06-20 2003-06-20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868Y1 true KR200327868Y1 (ko) 2003-09-26

Family

ID=4933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553U KR200327868Y1 (ko) 2003-06-20 2003-06-20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8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770A (en) Light source cooler for LCD monitor
US5772300A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US5587838A (en) Projection lens unit
KR200327868Y1 (ko)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US6456341B1 (en) CRT assembly of projection TV system
JPH067460B2 (ja) 投写型テレビジヨン受像管
US6972808B2 (en) CRT assembly of projection television
KR20040085333A (ko)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KR200334937Y1 (ko) 음극선관 커플러조립체
KR100547973B1 (ko) 투사형표시장치용냉매압력조절장치
KR100508287B1 (ko)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KR100575626B1 (ko) 음극선관프로젝션텔레비젼의음극선관커플러장치
JPH0448624Y2 (ko)
JPH10161242A (ja) 投写レンズ装置
KR20050060125A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음극선관 냉각장치
US20220100065A1 (en) Optomechanical module and projector
KR0115467Y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씨알티 프로젝션 티브이용 냉각장치
JPS6322605Y2 (ko)
JPH03274641A (ja) レンズ一体型投写管および該レンズ一体型投写管を有する投写型受像機
KR0118345Y1 (ko) 음극선관냉각장치
KR100296011B1 (ko) 프로젝션텔레비젼의냉매주입구밀봉장치
KR100743765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음극선관 냉각장치 및 그 커플러
KR10064074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음극선관 조립체
KR930002577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음극선관 냉각커플링
JP2006040781A (ja) 投射型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