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88Y1 -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88Y1
KR200327488Y1 KR20-2003-0020680U KR20030020680U KR200327488Y1 KR 200327488 Y1 KR200327488 Y1 KR 200327488Y1 KR 20030020680 U KR20030020680 U KR 20030020680U KR 200327488 Y1 KR200327488 Y1 KR 200327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xternal
input
output
vide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6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근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20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88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04N7/104Switchers or splitters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기기에 구비된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 중에 특정 외부 영상 입력단이 연결된 영상 출력단을 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을 구비한 영상 기기로서, 콤포지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외부 입력 검출부와, S 비디오를 출력하는 S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S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S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외부 입력 검출부와, 콤포넌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와, 상기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의 각 외부 비디오 입력 수행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 S 비디오 출력부, 및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 중에 특정 비디오 출력부가 해당 비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lecting an image output terminal to which a specific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among various types of image output terminals provided in an imag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evice having various types of video output stages, comprising: a composite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mposite video and a first external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composite video input is perform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An S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S video, a second external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S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 video output unit, a component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mponent video, and A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component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of the component video output unit, and the composite video output corresponding to detection of each external video input performan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Negative, S-video output, and component video output During it consists of a microcomputer to control a particular video output section to output the video.

Description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Video output selector of video equipment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본 고안은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기기에 구비된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 중에 특정 외부 영상 입력단이 연결된 영상 출력단을 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output selection apparatus of an ima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electing an image output terminal to which a specific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among various types of image output terminals provided in the imaging apparatus.

종래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출력을 지원하는 영상 기기와 그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출력을 외부 입력으로 지원하는 텔레비전(television)이 그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입출력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을 변경할 경우 영상 기기는 원래의 특정 비디오 출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를 별도로 조작하여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에 대응하는 비디오 출력을 선택해야만 영상 기기가 제공하는 비디오를 텔레비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video device that supports various types of video outputs and a television that supports various types of video outputs as external inputs are used when the user changes the external input of the television while the various types of video inputs and outputs are connected. Maintains the original specific video output. Accordingly, the video provided by the video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levision only when the user separately operates the video device and selects a video outpu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of the television.

예로, DVD 플레이어가 콤포지트 비디오(composite video) 출력, S 비디오 출력, 및 콤포넌트 비디오(component video) 출력 중 콤포지트 비디오를 출력하고 있는데 반해, DVD 플레이어에 연결된 텔레비전이 S 비디오 입력 상태라면 사용자가 DVD 플레이어나 텔레비전을 별도로 조작하여 같은 형태의 비디오가 입출력되도록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or example, while a DVD player is outputting composite video during composite video output, S video output, and component video output, if the television connected to the DVD player is in S-video inp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the television separately so that the same type of video is input and output.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영상 기기에 구비된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 중에 특정 외부 영상 입력단이 영상 입력을 위해 연결된 영상 출력단을 선택하는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of the prior art, the image output selection device of the video device to select a video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specific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for image input among the various types of image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video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을 구비한 영상 기기로서, 콤포지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와,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외부 입력 검출부와, S 비디오를 출력하는 S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S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S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외부 입력 검출부와, 콤포넌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와, 상기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의 각 외부 비디오 입력 수행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 S 비디오 출력부, 및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 중에 특정 비디오 출력부가 해당 비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ideo device having various types of video output stage, a composite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mposite video, and whether or not an external composite video input is perform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A first external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an S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S video, a second external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S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 video output unit, and a component video output Performing a component video output unit, a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component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onent video output unit, and performing each external video inpu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and the S video in response to detection During ryeokbu, and component video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a particular video output section to output the video.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output selection apparatus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 입력부 12 : 비디오 처리부10: key input unit 12: video processing unit

14 :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부14: composite video input unit

16 : S 비디오 입력부 18 :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부16: S video input unit 18: component video input unit

20, 22, 24 :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20, 22, 24: first, seco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

26 : 마이콤 28 :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26: micom 28: composite video output unit

30 : S 비디오 출력부 32 :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30: S video output unit 32: component video output unit

100 : 텔레비전 200 : 영상 기기100: television 200: video equipment

S1, S2, S3 : 제 1, 제 2, 제 3 스위칭부S1, S2, S3: first, second, third switch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텔레비전(100) 및 영상 기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텔레비전(100)은 키 입력부(10), 비디오 처리부(12),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부(14), S 비디오 입력부(16),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부(18), 및 제 1, 제 2, 제 3 스위칭부(S1, S2, S3)를 구비한다. 영상 기기(200)는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20, 22, 24), 마이콤(26),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28), S 비디오 출력부(30), 및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32)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output selection apparatus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television 100 and an imaging apparatus 200. The television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video processing unit 12, a composite video input unit 14, an S video input unit 16, a component video input unit 18, and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ing units. (S1, S2, S3) are provided. The imaging device 200 includes a first,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20, 22, and 24, a microcomputer 26, a composite video output unit 28, an S-video output unit 30, and a component video output. The part 32 is provided.

동 도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텔레비전(100) 내의 키 입력부(10)를 조작하여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을 선택할 경우 비디오 처리부(12)는 사용자의 선택을 키 입력부(10)를 통해 전달받아 제 1 스위칭부(S1)를 온(on)시키고 나머지 제 2, 제 3 스위칭부(S2, S3)는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부(14)만 영상 기기(200)의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단과 연결되어 콤포지트 비디오를 입력할 준비를 하고 나머지 S 비디오 입력부(16) 및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부(18)는 어떤 신호도 입력하지 않는다.In the figure,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posite video input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10 in the television 100, the video processing unit 12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and performs the first switching unit ( S1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second and third switching units S2 and S3 are turned off. Therefore, only the composite video input unit 14 is connected to the composite video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device 200 to prepare for inputting the composite video, and the remaining S video input unit 16 and the component video input unit 18 do not input any signal. .

영상 기기(200) 내의 제 1 외부 입력 검출부(20)를 구성하는 저항기(R1)는 제 1 스위칭부(S1)가 온됨에 따라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부(14)의 내부 저항값에 의해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28)의 출력단이 전압 레벨 변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마이콤(26)으로 제공한다. 이때, S 비디오 출력부(30)의 출력단 및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32)의 출력단에는 전압 레벨 변동이 없으므로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22, 24)를 구성하는 각 저항기(R2, R3)는 전압 레벨 변동을 감지하지 못한다.The resistor R1 constituting the first external input detection unit 20 in the imaging device 200 has a composite video output unit (1) due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omposite video input unit 14 as the first switching unit S1 is turned on. The output terminal 28 detects a change in voltage level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26. 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voltage level change i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 video output unit 3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onent video output unit 32, each of the resistors R2 and R3 constituting the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22 and 24 are described. Does not detect voltage level fluctuations.

따라서, 마이콤(26)은 제 1 외부 입력 검출부(2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레벨 변동 검출에 따라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28)를 구동시켜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28)가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를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부(14)로 제 1 스위칭부(S1)를 통해 제공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icom 26 drives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28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voltage level change provided from the first external input detector 20 so that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28 outputs the composite video signal to the composite video input unit ( 14)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S1.

이와 같은 본 고안을 A/V(Audio/Video) 기기에 응용하면 지능형 A/V 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 V (Audio / Video) devices, intelligent A / V devices can be realiz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영상 기기에 구비된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 중에 특정 외부 영상 입력단이 영상 입력을 위해 연결된 영상 출력단을 선택한다. 따라서, 영상 기기의 비디오 출력이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의 비디오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감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image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specific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for image input among various types of image output terminals provided in the imaging apparatus. Therefore, since the video output of the video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he user can enjoy the video of the desired type conveniently and quickly.

Claims (2)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출력단을 구비한 영상 기기로서,A video device having various types of video output stages, 콤포지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와,A composite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mposite video, 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지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외부 입력 검출부와,A first external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composite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of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S 비디오를 출력하는 S 비디오 출력부와,An S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S video, 상기 S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S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외부 입력 검출부와,A second external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S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 video output unit; 콤포넌트 비디오를 출력하는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와,A component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mponent video, 상기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의 출력단에서 외부 콤포넌트 비디오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와,A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component video input is performed at an output of the component video output unit; 상기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의 각 외부 비디오 입력 수행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콤포지트 비디오 출력부, S 비디오 출력부, 및 콤포넌트 비디오 출력부 중에 특정 비디오 출력부가 해당 비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In response to detecting the external video input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the composite video output unit, the S video output unit, and the component video output unit control to output a corresponding video. Micom 을 포함하는 영상 기기의 영상 출력 선택 장치.Image output selection apparatus of a video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제 2, 제 3 외부 입력 검출부는, 상기 각 비디오 출력단과 각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비디오 출력단에 상기 각 외부 비디오 입력이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각 비디오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상기 마이콤으로 각각 제공하는 각 저항기로 각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텔레비전 연결 상태 검출 장치.The first, second, and third external input detectors are connected between the respective video output terminals and each ground, respectively, and apply voltages to the respective video output terminals in response to whether the respective external video input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video output terminals. Apparatus for detecting a television connection state of a vide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resistors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micom.
KR20-2003-0020680U 2003-06-30 2003-06-30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KR2003274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680U KR200327488Y1 (en) 2003-06-30 2003-06-30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680U KR200327488Y1 (en) 2003-06-30 2003-06-30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88Y1 true KR200327488Y1 (en) 2003-09-19

Family

ID=4941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80U KR200327488Y1 (en) 2003-06-30 2003-06-30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8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899B1 (en) White valance self-adjustment apparatus for use in color display
US2011008504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external-equipment-link unit
US8698957B2 (en) Image display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327488Y1 (en) Apparatus for selecting video output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KR19980020002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onitor
US20070223809A1 (en) Pictur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0127764B1 (en) Method &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camcorder
KR016669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strument
KR100874929B1 (en) Operation mode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image output device
JP4003191B2 (en) Audiovisual equipment
JP2000137276A (en) Video camera
KR101051538B1 (en) External input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television
KR950007512Y1 (en) Input signal automatic selection circuit
KR20070093481A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switching external input in digital video device
JP3028361B2 (en) Display device
KR1002099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finition
KR20020015845A (en) Universal A/V input device of television
KR0154013B1 (en) Mute circuit for a video signal
KR0136348B1 (en) Input signal selecting circuit of a monitor
KR200333571Y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state of television in video machinery and tools
KR930007446Y1 (en) Signal selection circuit among different image sources
KR0119566B1 (en) Control circuit of character on monitor while no signal is inputting
JP2003280625A (en) Display device
JP3395190B2 (en) Electronics
JP2004194208A (en) Input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