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63Y1 -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63Y1
KR200327463Y1 KR20-2003-0019351U KR20030019351U KR200327463Y1 KR 200327463 Y1 KR200327463 Y1 KR 200327463Y1 KR 20030019351 U KR20030019351 U KR 20030019351U KR 200327463 Y1 KR200327463 Y1 KR 200327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ate
extrusion die
variable
actua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래
최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9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예로 타이어용 트레드인 압출물을 압출다이를 통해 그 단면의 높낮이가 다른 압출물을 압출할 때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출물의 치수신호에 맞추어 각각의 압출다이를 제어하여 설계치수 대로 압출물을 관리할 수 있는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출물(1)을 압출하는 가변노즐(2)들과, 이 가변노즐(2)들을 작용시키는 작동기(3), 상기 작동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4) 및, 상기 제어기(4)로 신호를 인가시키면서 압출물(1)의 치수를 측정하는 센서(5)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A control apparatus of variableness extruding die}
본 고안은 일예로, 고무압출물인 타이어용 트레드를 압출하는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다이를 통해 그 단면의 높낮이가 다른 압출물을 압출할 때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출물의 치수신호에 맞추어 각각의 압출다이를 제어하여 설계치수 대로 압출물을 압출 관리할 수 있는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타이어용 트레드를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이용하여 압출할 때 그 대부분 고정 압출다이를 이용하게 되는바, 이러한 고정형 압출다이는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제품인 트레드 압출물의 크기가 변경되면, 별도의 압출다이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연히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변형 압출다이를 갖춘 다이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339호와 동국 등록특허 제229,202호로 제안되었으나 상기 특허들은 모두 가변형 압출다이의 구조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는 언급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한편,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압출물의 치수는 압출다이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게 됨으로 압출물의 치수를 맞추기 위해서는 압출다이의 크기 선정에 유의해야 하는 바, 즉 실제 압출작업시 작업자의 경험 및 시행착오를 통하여 원하는 치수의 압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압출물의 고무 재료가 바뀌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압출다이를 교체해 주어야 할뿐만 아니라, 또한 압출속도가 변할 경우에도 압출물의 영향을 주고 작업상황에 따라 압출물의 온도 및 주위환경에 의하여 압출물에 영향을 주게 되어, 결국 균일한 반제품 압출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반제품인 압출물을 가변형 압출다이를 이용하여 압출할 때 압출되는 압출물의 치수 변화에 맞추어 각각의 압출다이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압출물의 고무물성, 압출온도, 압출압력등에 맞추어 압출물의 치수변화를 저감시킴에 따라 균일한 압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개선된 가변형 압출물들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압출물을 압출하는 가변노즐들과, 이 가변노즐들을 작용시키는 작동기, 상기 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면서 압출물의 치수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압출다이의 형상 일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압출 노즐들에서 압출물을 압출한 상태와 종래 압출다이를 이용하여 압출물을 압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출물, 2 : 가변노즐,
3 : 작동기, 4 : 제어기,
5 : 센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물(1)을 압출하는 가변노즐(2)들과, 이 가변노즐(2)들을 작용시키는 작동기(3), 상기 작동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 (4) 및, 상기 제어기(4)로 신호를 인가시키면서 압출물(1)의 치수를 측정하는 센서(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압출물(1)의 치수를 측정하기 위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5)를 이 압출물(1)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5)의 측정신호는 제어기(4)로 인가되고, 이 제어기(4)는 각각의 가변노즐(2)들의 부분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기(3)를 작용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5)는 압출물(1)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식 센서 내지는 비접촉식 센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변노즐(2)들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기(3)에 의해 각각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기(4) 지시에 의해 원하는 만큼 이 가변노즐(2)들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물(1)을 측정하는 센서(5)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 압출물(1)의 설계치수와 비교하여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기(4)에서는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기(3)에 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 작동기(3)는 각각의 가변노즐(2)들을 움직여서 압출물(1)의 치수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3의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B로 도시된 압출물(1)의 상태와 비교할 때 고무물성, 종류,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주위환경에 상관없이 균일한 압출물(1)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는 압출물의 측정센서, 제어기, 가변노즐 그리고 작동장치에 의하여 압출되는 결과물이 고정된 노즐에 의한 것보다 치수의 변화가 적어지고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고른 품도의 압출물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는 타이어의 품질 안정에 기여한다.

Claims (2)

  1. 압출물(1)을 압출하는 가변노즐(2)들과, 이 가변노즐(2)들을 작용시키는 작동기(3), 상기 작동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4) 및, 상기 제어기(4)로 신호를 인가시키면서 압출물(1)의 치수를 측정하는 센서(5)로 이루어진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는 이 압출물(1)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KR20-2003-0019351U 2003-06-19 2003-06-19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KR200327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51U KR200327463Y1 (ko) 2003-06-19 2003-06-19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51U KR200327463Y1 (ko) 2003-06-19 2003-06-19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63Y1 true KR200327463Y1 (ko) 2003-09-22

Family

ID=494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351U KR200327463Y1 (ko) 2003-06-19 2003-06-19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55A (ko) * 2004-08-13 2006-02-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지능 구조형 압출다이를 가지는 압출기
KR20190062598A (ko) * 2017-02-16 2019-06-0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고무 압출 장치 및 고무 압출물의 제조 방법
KR102370656B1 (ko) * 2020-10-19 2022-03-0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 제조를 위한 가변형 압출 금형
US20230031400A1 (en) * 2021-07-27 2023-02-02 Saudi Arabian Oil Company Fast layered extrusion for additive manufactur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55A (ko) * 2004-08-13 2006-02-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지능 구조형 압출다이를 가지는 압출기
KR20190062598A (ko) * 2017-02-16 2019-06-0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고무 압출 장치 및 고무 압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91064B1 (ko) * 2017-02-16 2020-03-19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고무 압출 장치 및 고무 압출물의 제조 방법
US10821644B2 (en) 2017-02-16 2020-11-03 The Yokohama Rubber Co., Ltd. Rubber extru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ubber extrudate
KR102370656B1 (ko) * 2020-10-19 2022-03-0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반제품 제조를 위한 가변형 압출 금형
US20230031400A1 (en) * 2021-07-27 2023-02-02 Saudi Arabian Oil Company Fast layered extrusion for additive manufactu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52060B2 (ja) 調整可能なダイ機構
KR102091064B1 (ko) 고무 압출 장치 및 고무 압출물의 제조 방법
KR200327463Y1 (ko) 가변형 압출다이를 제어하는 장치
KR910000498B1 (ko) 플라스틱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의 파리손의 두께 제어방법
KR20060015155A (ko) 지능 구조형 압출다이를 가지는 압출기
JP6786804B2 (ja) 成形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6305881A (ja) パリソン肉厚制御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成形機の肉厚調整方法
KR101104340B1 (ko) 고무 압출기를 이용한 고속 스트립 와인딩 장치
JP4857900B2 (ja) タイヤ加硫方法
KR20190073505A (ko) 고무 압출 장치 및 고무 압출물의 제조 방법
CN110167739A (zh) 橡胶挤出装置及橡胶挤出物的制造方法
KR20190076417A (ko) 3d 프린터 노즐 구조
KR20020050289A (ko) 시트 제조방법
KR100229202B1 (ko) 자동차용 타이어 제조용 고무 플레이트 압출 다이
JP327319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ならびに装置
KR200335950Y1 (ko) 트레드 압출물의 자동위치조절장치
KR100302911B1 (ko) 생 타이어 형상 측정기
US5162089A (en) Method of making a coil a plastic foil or film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JPH0479294B2 (ko)
KR101197702B1 (ko) 타이어 압출기의 3중 롤 롤러다이
JP7302362B2 (ja) ゴム押出物の製造装置およびゴム押出物の形状予測方法
JP2022054666A (ja) ゴム押出物の製造装置およびゴム押出物の形状予測方法
KR101045962B1 (ko) 차량 통과 소음 측정시 차량 위치 제어장치
JP7287120B2 (ja) ゴム押出物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KR100452931B1 (ko) 타이어 제조용 압출공정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