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67Y1 - 플랫폼형 댄스화 - Google Patents

플랫폼형 댄스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67Y1
KR200327267Y1 KR20-2003-0018902U KR20030018902U KR200327267Y1 KR 200327267 Y1 KR200327267 Y1 KR 200327267Y1 KR 20030018902 U KR20030018902 U KR 20030018902U KR 200327267 Y1 KR200327267 Y1 KR 200327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ce
bottom member
shoes
floo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종민
Original Assignee
성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종민 filed Critical 성종민
Priority to KR20-2003-0018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2Dancing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4Platform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댄스시 사용자의 피로가 최소화되며, 댄스중 턴시 사용자가 밸런스를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복수층의 바닥 부재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댄스화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제1 바닥부재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바닥부재와; 펄프 소재의 재질인 제3 바닥부재와; 면 소재의 재질인 제4 바닥부재; 및 피혁 소재의 재질인 제5 바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제5 바닥부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단에 각각 적층되어 형성되는 댄스화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플랫폼형 댄스화{Platform-type dance shoes}
본 고안은 기존의 하이힐형 댄스화를 개량한 플랫폼형 댄스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춤을 주는 경우에 가장 많은 압력과 충격이 가해지는 댄스화의 앞부분에 E.B.A.(합성 코르크) 등을 사용하여 다중창 구조의 쿠션을 구성, 플랫폼을 구성하여 발피로도를 경감하며 댄스중 턴(turn)시 밸런스 유지가 용이한 댄스화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에 전세계에 불어닥친 라틴 댄스 열풍과 더불어 여러가지 댄스 스포츠와 살사댄스의 인구가 국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댄스들은 굉장히 격렬하고 화려하기 때문에 많은 운동량을 동반한 춤이지만, 한편 화려함을 기본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여성들의 경우에는 7cm 높이의 굽을 갖는 하이힐형 댄스화를 기본적으로 신어야 했으며 이에 따른 발피로, 족부 질환, 족부 변형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왔다.현재 일반적인 하이힐형 댄스화를 착용하는 춤인 스포츠댄스, 살사댄스, 방송댄스는 약 한 시간 정도의 춤만으로도 5000보 이상의 움직임을 가지므로 발에 가해지는 그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할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댄스화는 약 7cm 굽의 하이힐 형태를 띠고 있어 처음 착용시에는 인식을 잘 못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가락 앞부분(fornt-plnatar)의 엄지발가락 부분에 압력이 상당히 많이 가해지며 걸음을 걷거나 뛰는 동안 신발 안에서 발이 미끄러지며 조이는 힘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비록 이러한 증세의 정도가 처음에는 미약하다 할 수 있으나 계속 반복하게 되면 조금씩 피로로나 압력으로 인한 문제가 축적되어 결국에는 굳은 살, 티눈, 망치발톱, 통증을 동반한 건막염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고 잘못된 자세로 인한 무릎 이상과 척추질환까지 야기할 수 있다.종래, 이러한 강렬한 댄스시 사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룸 댄스화(공개번호 실1999-0038432, 이하 "인용 고안"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인용 고안에 따르면, 바닥이 밑창, 중창 및 안창으로 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이 충격을 흡수하도록 압축 발포성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댄스시 발생되는 충격을 중창이 흡수함으로써 발바닥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인용 고안에 의하더라도, 상기 중창이 단순히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바, 댄스시 사용자의 피로를 경감시키기 위하여서는 더욱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하이힐형 댄스화의 문제점 및 선행기술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춤을 주는 경우에 가장 많은 압력과 충격이 가해지는 댄스화의 앞부분에 E.B.A.(합성 코르크) 등을 사용하여 다중창 구조의 쿠션을 구성, 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피로를 최소화시키는 바닥 플랫폼 구조를 갖는 댄스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댄스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댄스화에서 A-A'선을 따라 본 주요 부분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댄스화의 효과검증을 위해 실시한 발바닥 압력 측정 사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층의 바닥 부재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댄스화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제1 바닥부재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바닥부재와; 펄프 소재의 재질인 제3 바닥부재와; 면 소재의 재질인 제4 바닥부재; 및 피혁 소재의 재질인 제5 바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제5 바닥부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단에 각각 적층되어 형성되는 플랫폼형 댄스화를 제공한다.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형 댄스화는 하이힐을 신었을 경우 및 춤을 주는 경우에 가장 많은 압력과 충격이 가해지는 댄스화의 앞부분에 E.B.A.(합성 코르크) 등을 사용하여 다중창 구조의 쿠션을 구성, 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일반 댄스화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댄스화는 기존의 댄스화에 비해 몸의 하중이 닿는 부위에 5중창의 쿠션이 있어 그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 바로 아래 부분의 fornt-plantar의 한면으로 치우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몸의 하중이나 압력을 효과적으로 주변으로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나 압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댄스화 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댄스화에서 A-A'선을 따라 본 주요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100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댄스화 10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여성용 댄스화가 예시되고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바닥 100의 구조를 갖는 것이면, 남성용 댄스화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댄스화 10의 바닥 100을 제외한,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댄스화 10의 외관은 본 고안의 본질적인 부분은 아니므로, 댄스화 10의 외관에 다양한 변화가 있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에는 영향이 없음은 명백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댄스화 10은, 밑창 102 및 제1 내지 제5 바닥부재 104, 106, 108, 110 및 112를 포함하는 바닥 1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댄스화 10이, 제1 내지 제5 바닥부재 104, 106, 108, 110 및 112가 서로 포개어져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바닥 100을 구비함으로써, 댄스시 사용자의 피로가 최소화되며, 댄스중 턴시 사용자가 밸런스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바닥 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밑창 102는 댄스시 플로어(floor)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재질은 세무(chamois) 가죽으로 한다.
제1 바닥부재 104는 밑창 102의 상단에, 밑창 10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밑창 102가 플로어에 접하는 부분에 걸쳐 형성되며, 그 두께는 약 1.5 cm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바닥부재 104가 충분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댄스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바닥부재 104는 탄성 소재로서, 그 재질은 E.B.A.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바닥부재 106은 제1 바닥부재의 상단에, 밑창 10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때 거의 제1 바닥부재 104가 형성된 부분에 걸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바닥부재 106은 탄성 소재로서, 그 재질은 라텍스 폼(latex foa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바닥부재 108는 제2 바닥부재의 상단에, 밑창 10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제2 바닥부재 106이 형성된 부분에 걸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3 바닥부재 108의 재질은 펄프(pulp)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댄스화 10의 바닥 100은 복수개의 제2 바닥부재 106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3 바닥부재 108의 상단에도, 제2 바닥부재 106이 형성되며, 그 형상 및 재질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제4 바닥부재 110은 제2 바닥부재의 상단에, 밑창 10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제2 바닥부재 106가 형성된 부분에 걸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4 바닥부재 110의 재질은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4 바닥부재 110의 상단에도, 제2 바닥부재 106이 형성되며, 그 형상 및 재질은 상기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제5 바닥부재 112는 제2 바닥부재의 상단에, 밑창 10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제2 바닥부재 106가 형성된 부분에 걸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5 바닥부재 110는 피혁 소재로서, 그 재질은 내구성, 투습성, 통기성, 쾌적성, 보온성등이 뛰어난 샤무드(shamu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석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댄스화에 비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발에 충격이 가해지는 압력분산 효과가 뛰어날뿐만 아니라, 댄스시 사용자의 피로가 경감되며, 특히 발피로도가 감소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댄스중에 턴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형 댄스화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댄스스포츠, 살사댄스, 방송댄스의 경험이 있는 20~35세의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0명의 대상자에게 힐 높이가 7cm인 일반 댄스화와 힐 높이가 7cm인 본 고안에 따른 댄스화를 각자 본인의 발에 가장 편한 상태로 맞추어 착용하게 한 후 설문조사 및 발바닥 압력 측정의 방법으로 본 고안의 효과를 검증하였다.설문조사 방법으로서 대상자 60명을 2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일반 댄스화만 신은 그룹(A그룹),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형 댄스화를 신은 그룹(B그룹), 일반 댄스화와 플랫폼형 댄스화를 번걸아 신은 그룹(C그룹)으로 각각 나누어 120분간 춤을 추게 한 후 신발의 착용감, 발의 통증 및 발의 피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발바닥 압력은 "Footscan plate" 및 "Footscan Pro 4.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설문조사 결과, 신발의 착용감은 A그룹과 B그룹 사이에서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스타일의 댄스화를 번갈아 신은 C그룹에서는 95% 이상(n=19)이 플랫폼형 댄스화의 착용감이 휠씬 좋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일반댄스화를 신은 A그룹에서는 85%(n=17)가 발의 통증 및 발의 피로를 호소하였으나, B그룹에서는 15%(n=3)만이 호소하여 플랫폼형 댄스화의 착용감이 보다 우수하고 발의 통증 및 피로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보다 객관적인 효과검정을 위해 실시한 발바닥 압력 측정의 결과, 두 가지 스타일의 댄스화를 번걸아 신은 C그룹을 제외한 A그룹과 B그룹에 대한 발바닥 압력을 측정한 결과 일반 댄스화를 신은 A그룹보다 플랫폼형 댄스화를 신은 B그룹에서 발바닥의 압력이 현저하게 낮았다. 도3이 발바닥 압력을 측정한 결과사진인데, 왼쪽의 압력측정 결과는 플랫폼형 댄스화를 신고 춤을 춘 후의 발바닥 압력분포도이고, 오른쪽은 일반 댄스화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3에서 볼 때 일반 댄스화보다 플랫폼형 댄스화의 발바닥 압력이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도3의 도면에서 볼 때 왼쪽의 P 부분 및 P' 부분이 가장 압력이 높은 부분을 나타내는데, 컬러로 표시되는 발바닥 압력측정 사진에서는 이들 부분이 핑크색을 띠는 부분이다).

Claims (5)

  1. 복수층의 바닥부재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댄스화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제1 바닥부재와;
    탄성 소재의 재질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바닥부재와;
    펄프 소재의 재질인 제3 바닥부재와;
    면 소재의 재질인 제4 바닥부재; 및
    피혁 소재의 재질인 제5 바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제5 바닥부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단에 각각 적층되어 형성되는 댄스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부재는 상기 제1 바닥부재, 제3 바닥부재 및 제4 바닥부재 각각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씩 적층되어 형성되는 댄스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재질은 E.B.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스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재질은 라텍스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스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바닥부재의 재질은 샤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스화.
KR20-2003-0018902U 2003-06-16 2003-06-16 플랫폼형 댄스화 KR200327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02U KR200327267Y1 (ko) 2003-06-16 2003-06-16 플랫폼형 댄스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02U KR200327267Y1 (ko) 2003-06-16 2003-06-16 플랫폼형 댄스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67Y1 true KR200327267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902U KR200327267Y1 (ko) 2003-06-16 2003-06-16 플랫폼형 댄스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506B1 (ko) * 2006-01-25 2007-05-21 김흥록 댄스화용 뒷굽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5161A (ko) * 2017-04-05 2017-04-26 정진욱 스포츠바닥구조물로 제조되는 기능성 남성댄스구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506B1 (ko) * 2006-01-25 2007-05-21 김흥록 댄스화용 뒷굽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5161A (ko) * 2017-04-05 2017-04-26 정진욱 스포츠바닥구조물로 제조되는 기능성 남성댄스구두
KR101900383B1 (ko) 2017-04-05 2018-11-06 정진욱 스포츠바닥구조물로 제조되는 기능성 남성댄스구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9792A (en) Article of outer footwear
US20180199666A1 (en) Shoe having shoe sole with divided forefoot portion
US9986784B2 (en) Flexible forefoot protection for insoles and shoes
US6698050B1 (en) Shoe and last
CN1219852A (zh) 改进的鞋子
CN108577026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US20120324760A1 (en)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JP2001299404A (ja) 靴 底
CN110785097B (zh) 功能鞋
KR200327267Y1 (ko) 플랫폼형 댄스화
KR20170053782A (ko)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Stefanyshyn et al. Knee joint moments and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in runners part i: a case control study; part ii: a prospective cohort study
KR101478955B1 (ko) 미드솔 및 인솔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JPH07177904A (ja) 靴用中底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CN215225109U (zh) 一种缓震型运动鞋
CN215992928U (zh) 一种适应脚型的鞋垫、鞋中底或鞋大底
WO2024111066A1 (ja) 靴構造
CN205197173U (zh) 具按摩功能的增高避震鞋垫
TWM245796U (en) Structure of shoe sole with shock absorption buffer effect
US10264849B2 (en) Footwear
JP3168694U (ja) 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