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01Y1 -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01Y1
KR200326801Y1 KR20-2003-0019078U KR20030019078U KR200326801Y1 KR 200326801 Y1 KR200326801 Y1 KR 200326801Y1 KR 20030019078 U KR20030019078 U KR 20030019078U KR 200326801 Y1 KR200326801 Y1 KR 200326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receiving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9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가 개구된 프론트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PCB기판; 윈도우에 인접하도록 PCB기판상에 기립방향으로 설치되어,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윈도우의 일측에 프론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며, 수신모듈을 향한 일정한 반사각을 가지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리모콘신호의 입사각 범위가 증대되므로,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STRUCTURE FOR RECEIVING SIGNAL FROM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MACHINE}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원격제어장치(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콘이라 함)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TV나 VTR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리모콘은 통상적으로, 0.7㎛ 내지 수백 ㎛ 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신호를 방출한다. 적외선신호의 방출을 위해 리모콘에는 발광소자가 설치되고, 한편, 전자기기에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100)는, PCB기판(15)이 내장된 케이스(101)에 윈도우(103)가 마련되고, PCB기판(15)상에 수신모듈(41)이 윈도우(103)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수신모듈(41)은, 적외선신호를 인가하는 수신다이오드(43), 및 수신다이오드(43)를 PCB기판(15)상에 지지하는 리브(45)를 포함한다. 리브(45)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PCB기판(15)상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리브(45)의 의해 지지된 수신다이오드(45)는 전원단자(도 4의 17참조), 출력단자(도 4의 16참조), 및 접지단자(18)를 매개하여 PCB기판(15)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부호인 105는 윈도우(103)의 개구면을 차단시키는신호투과재질의 커버부재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100)에서는, 리모콘(도 2의 50참조)의 발광소자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로 코드화된 신호가 빛으로 방출되면, 수신다이오드(43)에 의해 인가되어 증폭된 후 비교기를 통해 데이터로 출력된다. 그러면, 도시않은 마이콤은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100)에서는, 그 구조상 수신다이오드에 인가될 수 있는 리모콘신호의 입사각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리모콘신호의 수신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전자기기에는, 그 케이스의 윈도우, 케이스에 내장되는 PCB기판, 및 PCB기판상의 수신모듈의 설치위치가 지정되어 있어서, 수신다이오드에 인가되는 리모콘신호의 입사각의 범위는 수신다이오드의 높이 및 윈도우의 크기에 의존한다. 하지만, 케이스의 외관은 이미 제작초기에 디자인되어 일정하고, 또한, 수신모듈도 다양한 전자기기에 호환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일정한 크기로 제공되고 있어서, 윈도우에 대한 수신다이오드의 거리 및 높이를 변경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100)에서는, 리모콘신호의 입사각범위를 증대시키기 곤란하고,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는 기기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리모콘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는 일정한 각도 범위내로 직접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입사각 범위를 증대시켜 리모콘신호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의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신호 수신구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측단면도로서, 본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사시도로서, 수신모듈과 디스플레이부가 PCB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3의 B부분 확대사시도로서, 프론트패널에 반사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전자기기 11 : 케이스
13 : 케이싱본체 15 : PCB기판
21 : 프론트패널 25 : 콘트롤부
30 : 반사판 33 : 윈도우
37 : 커버부재 41 : 수신모듈
43 : 수신다이오드 50 : 리모콘
55 : 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은, 윈도우가 개구된 프론트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PCB기판;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도록 상기 PCB기판상에 기립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윈도우의 일측에 상기 프론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신모듈을 향한 일정한 반사각을 가지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프론트패널과 일체로 사출형성하면 간단히 구성가능하며, 상기 수신모듈의 수평방향 축선에 대하여 30°내지 60°의 반사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은 한편,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마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신호 수신구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DVDP(Digital Video Disk Player)와 VTR(Video Tape Recorder) 겸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전자기기(1)는, 기기본체(10)와 이 기기본체(10)의 작동을 원격조정가능한 리모콘(50)을 구비한다. 기기본체(10)는 외관을형성하는 사각통상의 케이스(11)내에 DVDP유니트와 VTR유니트가 내장되어 있다. 케이스(11)는 전방을 향한 개구를 가지고 부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본체(13)와, 이 케이싱본체(13)의 개구면을 차단하는 프론트패널(21)로 구분가능하다.
프론트패널(21)의 전면에는 소프트웨어 출입부(22)와 콘트롤부(도 3의 25참조)가 상하로 구분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출입부(22)에는 DVDP전용 디스크출입도어(24)와 VTR전용 테이프출입도어(23)가 좌우로 마련된다. 소프트웨어 출입부(22)에는 또한, 양측 출입도어(23, 24)를 통해 유입된 소프트웨어를 인출시키는 이젝트버튼(Eject Button, 23', 24')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콘트롤부(25)는, 리모콘신호를 입사시키는 윈도우(도 3의 33참조)가 중앙에 개구되어 있고, 이 윈도우(33)를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의 조작버튼(34, 35, 36)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34, 35, 36)을 통해 사용자는 기기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다. 이러한 콘트롤부(25)의 전면에는 커버부재(37)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부재(37)는 적외선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콘트롤부(25)의 양측에는 각각 기기 온/오프스위치(38)와 외부입력 및 출력포트(39)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본체(13)와 프론트패널(21)로 구성된 케이스(11)에는, PCB기판(15)과 이 PCB기판(15)에 고정되어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41)이 내장된다.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측단면도로서, 본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패널(21)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프론트패널(21)은 그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하단부(27)로부터 콘트롤부(25)를 향한 부분이 경사면(26)으로 형성되어 있다.
PCB기판(15)은 케이싱본체(13)의 바닥면(14)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PCB기판(15)의 전단부에 수신모듈(41)이 기립방향으로 장착된다.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사시도로서, 수신모듈(41)이 PCB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상의 참조번호 55는 수신모듈(41)에 인접한 PCB기판(15)상의 일측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디스플레이부(55)에는 기기의 작동상태, 외부입력, 및 시간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내용은 프론트패널(21)에 형성된 윈도우(33)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가능하다.
수신모듈(41)은 종래의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신다이오드(43) 및 이 수신다이오드(43)를 PCB기판(15)상에 지지하는 리브(45)를 포함한다.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45)는 PCB기판(15)상에 기립방향으로 고정되어, 수신다이오드(43)가 윈도우를 향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수신다이오드(43)는 예를 들어, 그 장착기판과 일체로 몰딩된 후, 지지리브(45)의 상단에 지지된다.
본 고안에서는, 지지리브(45)에 지지된 수신다이오드(43)의 높이(h)를 케이싱본체(13)의 바닥면(14)으로부터 15㎜ 내지 25㎜ 이내로 마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세히 후술하는 윈도우의 높이 및 크기를 고려하여, 케이싱본체(13)의 바닥면(14)으로부터 약 20㎜ 높이에 수신다이오드(45)를 설치한다. 지지리브(45)의 의해 지지된 수신다이오드(45)는 전원단자(17), 출력단자(16참조), 및 접지단자(18)를 매개하여 PCB기판(15)에 연결된다.
여기서, 윈도우(33)를 향한 수신다이오드(43)는 예를 들어, 실드케이스등을사용하여 그 외면을 차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드케이스는, 수신다이오드(43)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외부의 전자파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수신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반사판(30)은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패널(21)의 윈도우(33)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반사판(30)은 윈도우(33)의 상측 연부(沿部, 32)로부터 수신모듈(41)을 향한 일정한 반사각(θ)을 가진다. 여기서, 반사판(30)의 반사각(θ)은 수신다이오드(43)의 수평방향 축선에 대하여 30°내지 60°이내의 범위로 형성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본체(13)의 바닥면(14)에 대해 약 20㎜의 상측 높이에 수신다이오드(43)를 배치시키고, 반사판(30)은 이러한 수신다이오드(43)의 축선에 대해 약 45°의 반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반사판(30)의 반사면은, 수신모듈(41)의 수신다이오드(43)를 향해 연장시킨 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리모콘(50)이 기기본체(10)에 대해 다소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에도, 리모콘(50)으로부터의 신호가 반사판(30)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다이오드(43)로 집중된다. 이에 의해, 리모콘신호의 수신감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반사판(30)은 프론트패널(21)의 사출성형시 간단히 일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반사판(30)이 프론트패널(21)에 형성된 윈도우(33)의 상측 연부(32)에 형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윈도우(32)의 일측 연부 혹은 하측 연부에 반사판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반사판은 또한, 윈도우(33)의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수신모듈을 둘러싸는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에서는, 프론트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반사판이 리모콘신호의 입사각 범위를 증대시키고, 이에 의해,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다이오드에 집중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기본체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리모콘신호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어서, 수신감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윈도우가 개구된 프론트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PCB기판;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도록 상기 PCB기판상에 기립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윈도우의 일측에 상기 프론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신모듈을 향한 일정한 반사각을 가지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프론트패널과 일체로 사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수신모듈의 수평방향 축선에 대하여 30°내지 60°의 반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KR20-2003-0019078U 2003-06-17 2003-06-17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KR200326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78U KR200326801Y1 (ko) 2003-06-17 2003-06-17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78U KR200326801Y1 (ko) 2003-06-17 2003-06-17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01Y1 true KR200326801Y1 (ko) 2003-09-17

Family

ID=4941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78U KR200326801Y1 (ko) 2003-06-17 2003-06-17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0898B (zh) 一种移动终端
CN108924279B (zh) 壳体组件以及电子装置
WO2020052289A1 (zh) 深度获取模组及电子装置
WO2020052288A1 (zh) 深度采集模组及移动终端
KR200326801Y1 (ko) 전자기기의 리모콘신호 수신구조
JP3745132B2 (ja) リモコン受光ユニット
JP2002040969A (ja) 発光表示装置
CN111510522B (zh) 屏幕边框、显示屏模组和终端
WO2020038057A1 (zh) 深度采集模组及电子设备
WO2020038055A1 (zh) 飞行时间组件及移动终端
US7251418B2 (en) Signal receiver having light guide for guiding light transmitted from remote control
JP3565253B2 (ja) 赤外線導光部材の取付構造
JP2001148666A (ja) 電子機器
US20050196134A1 (en) Electromagnetic signal receiving device
KR100667985B1 (ko) 전자제품의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수신부
JP3106189U (ja) リモコン受光部の構造
JPH07212318A (ja) 車両用送受信器
WO2007034869A1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電磁シールド体、および電子機器の収納構造
CN219533394U (zh) 外罩、光学系统及激光雷达
CN111292988A (zh) 功能组件、组合件、安装组件及电子设备
US8432669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17950028U (zh) 导光结构与门锁
JPH0610331Y2 (ja) 光フアイバ伝送ユニツト
CN118157648A (zh) 非接触式按键
US11820299B2 (en) Rear view camera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