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44Y1 -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44Y1
KR200326544Y1 KR20-2003-0015130U KR20030015130U KR200326544Y1 KR 200326544 Y1 KR200326544 Y1 KR 200326544Y1 KR 20030015130 U KR20030015130 U KR 20030015130U KR 200326544 Y1 KR200326544 Y1 KR 200326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wing
fixing pin
cutt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구
강종기
Original Assignee
강종기
정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기, 정일구 filed Critical 강종기
Priority to KR20-2003-0015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선회가능하게 탑제되는 다단식 붐의 선단에 고정축을 통해 절단되도록 형성된 바디와 윙으로 이루어진 유압식 절단기에 있어서, 유압실린더(10)의 실린더로드(11)의 단부에 하측링크(50)가 고정핀(7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하측링크(50)의 제1링크(51)에는 하측윙(30)의 일측단이 고정핀(7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측링크(50)의 제2링크(52)에는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4)를 매개로 역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20)의 단부에 하측윙(30)이 고정핀(7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하측윙(30)과 상측윙(40)은 서로 대칭되면서 고정핀(7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측윙(40)의 또 다른일측부가 고정핀(76)을 매개로 상측링크(60)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측링크(60)의 또 다른 일측은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바디에 연결되는 각각 링크를 갖춘 상,하측윙에 의해 목표물이 절단되도록 형성됨에 의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개별부품의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절단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Hydraulic type shear for industry}
본 고안은 산업용 유압식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에 연결되는 각각 링크를 갖춘 상,하측윙에 의해 목표물이 절단되도록 형성됨에 의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유압식 절단기 어태치먼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내측면에 보스(200)를 용접고정하고, 보스(200)에 유압실린더(300)의 헤드부가 고정핀(4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유압실린더(300)의 로드는 유압식 절단기(500)의 헤드(600)에 일단이 고정핀(7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링크(800)의 타단에 고정핀(9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유압실린더(300)의 구동시 유압식 절단기(5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프레임(101)의 일단에 헤드(600)가 고정핀(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프레임(101) 타단은 볼트(120)(4개가 사용됨)에 의해 붐(100)선단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유압실린더(300)의 로드와 제1링크(800)타단의 고정점에 제2링크(15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링크(150)의 타단은 프레임(101)에 고정핀(1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유압식 절단기(500)의 몸체(170)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미도시됨) 구동시 스트로크양만큼 고정축(180)에 대해 회전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바디(130)와 윙(140)으로 이루어진 몸체(170)가 스윙수단에 의해 헤드(600)에 대해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유압식 절단기(500)에 의해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라인 및 굴삭기의 붐(100) 등의 작업장치에 대한 설명은 당해분야에서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용하는 기술내용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붐(100)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식 절단기(500)의 바디(130)와 윙(140)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콘크리트구조물 등으로 부터 노출되는 철근 또는 빔 등의 피절단물을 유압력에 의해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철근 또는 빔의 매설위치, 각도 및 방향에 따라 피절단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붐(100)에 대해 유압식 절단기(5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유압식 절단기(500)의 몸체(170)를 헤드(600)에 대해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붐(100)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유압실린더(300)의 라지챔버에 굴삭기의 해당 유압라인을 통하여 작동유가 공급되어 로드가 신장하는 경우, 전술한 제1링크(800)와 제2링크(150)의 링키지(linkage)운동으로 프레임(1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링크(150)의 힌지부 및 프레임(1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헤드(600)의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유압식 절단기(500)를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유압식 절단기(500)의 헤드(600)와 몸체(170) 사이에 장착되는 터닝조인트(turning joint)(미도시됨)에 의해 몸체(170)를 헤드(600)에 대해 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피절단물에 대해 바디(130)와 윙(140)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붐(100)에 대해 절단기(500)를 회동시키도록 유압실린더(300)구동시 고정축(180)을 매개로 절단기(500)의 윙(140)이 회동하도록 설치됨에 의해 유압실린더(300)에 부하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하나로 이루어진 고정축(180)으로 절단기(500)가 작동되는 구조임에 따라 개별 부품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개별부품들의 하중이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이것에 의해 원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디에 연결되는 각각 링크를 갖춘 상,하측윙에 의해 목표물(피절단물)이 절단되도록 형성됨에 의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절단기의 원가비용이 감소되도록 된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가 작동되기전(커팅되기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가 작동된(커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로서 절단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단기, 10 --- 유압실린더,
11 --- 실린더로드, 20 --- 바디,
30 --- 하측윙, 40 --- 상측윙,
50 --- 하측링크, 60 --- 상측링크,
70,71,72,73,74,75,76,77 --- 고정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선회가능하게 탑제되는 다단식 붐의 선단에 고정축을 통해 절단되도록 형성된 바디와 윙으로 이루어진 유압식 절단기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하측링크가 고정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하측링크의 제1링크에는 하측윙의 일측단이 고정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측링크의 제2링크에는 바디의 일측단에 고정핀를 매개로 역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단부에 하측윙이 고정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하측윙과 상측윙은 서로 대칭되면서 고정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측윙의 또 다른일측부가 고정핀을 매개로 상측링크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측링크의 또 다른 일측은 바디의 일측단에 고정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가 작동되기전(커팅되기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가 작동된(커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단기(1)는 유압실린더(10)의 실린더로드(11)의 단부에 하측링크(50)가 고정핀(7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하측링크(50)의 제1링크(51)에는 하측윙(30)의 일측단이 고정핀(7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측링크(50)의 제2링크(52)에는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4)를 매개로 역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바디(20)의 단부에 하측윙(30)이 고정핀(7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측윙(30)과 상측윙(40)은 서로 대칭되면서 고정핀(7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측윙(40)의 또 다른일측부가 고정핀(76)을 매개로 상측링크(60)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측링크(60)의 또 다른 일측은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측윙(30)은 고정핀(71)을 매개로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측윙(40)은 고정핀(70)을 매개로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하측윙(30)과 절단면이 교차되면서 목표물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절단기(1)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절단기가 유압크레인 또는 굴삭기에 장착된 후, 목표물을 절단하기 위해 유압실린더(10)가 작동되면, 실린더로드(11)가 전진(도면상에서 오른쪽으로)되면서 이 실린더로드(11)와 연결된 하측링크(50)가 고정핀(74)을 매개로 회동되면서 제1링크(51)와 연결된 하측윙(30)이 바디(20)에 연결된 고정핀(71)을 매개로 회동되면서 하측윙(3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측윙(30)과 고정핀(70)을 매개로 연결된 상측윙(40)이 이동되는 하측윙(3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측윙(40)과 하측윙(30) 절단면이 교차되면서 목표물(피절단물)이 절단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윙(40)은 고정핀(76)을 매개로 상측링크(60)를 윗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실린더로드(11)의 작동에 의해 하측링크(50)가 이동되면서 하측윙(30)을 바디(20)의 고정핀(71)를 매개로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력을 통해 하측윙(30)과 상측윙(40)이 다시 고정핀(70)을 통해 회동되면서 절단면이 교차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실린더로드(11)의 직선운동이 하측링크(50) 및 고정핀(70,71)을 통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하측윙(30)과 상측윙(40)의 절단면이 교차되면서 목표물이 절단되고, 이때 하측링크(50), 상측링크(60)를 통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즉 다관절로 이루어짐에 의해 충격력이 분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절단기는 힘의 분산에 의해 개별부품들은 종래보다 개별부품의 중량을 낮출 수 있음에 따라 개별 부품의 부품가공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디에 연결되는 각각 링크를 갖춘 상,하측윙에 의해 목표물이 절단되도록 형성됨에 의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별부품의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절단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에 선회가능하게 탑제되는 다단식 붐의 선단에 고정축을 통해 절단되도록 형성된 바디와 윙으로 이루어진 유압식 절단기에 있어서,
    유압실린더(10)의 실린더로드(11)의 단부에 하측링크(50)가 고정핀(7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하측링크(50)의 제1링크(51)에는 하측윙(30)의 일측단이 고정핀(7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측링크(50)의 제2링크(52)에는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4)를 매개로 역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20)의 단부에 하측윙(30)이 고정핀(7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하측윙(30)과 상측윙(40)은 서로 대칭되면서 고정핀(7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측윙(40)의 또 다른일측부가 고정핀(76)을 매개로 상측링크(60)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측링크(60)의 또 다른 일측은 바디(20)의 일측단에 고정핀(7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KR20-2003-0015130U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KR200326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0U KR200326544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0U KR200326544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44Y1 true KR200326544Y1 (ko) 2003-09-19

Family

ID=4941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30U KR200326544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78A (ko)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KR20200133687A (ko) * 2020-11-10 2020-11-30 (주) 대동이엔지 저진동 브리오 리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78A (ko)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KR20200133687A (ko) * 2020-11-10 2020-11-30 (주) 대동이엔지 저진동 브리오 리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KR102486334B1 (ko) * 2020-11-10 2023-01-09 (주)대동이엔지 저진동 브리오 리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8789A (en) Mower attachment for tractors
FI121755B (fi) Työkalun kiinnitysjärjestely
KR200326544Y1 (ko)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CN105714866A (zh) 挖掘机拇指机架联接系统
CN207109890U (zh) 装载机工作装置
US8770908B2 (en) Tilt cylinder support structure
RU2268963C2 (ru) Автопогрузчик на колесном ходу (варианты)
CN115387789A (zh) 一种工作臂和工程机械车
JPH0138634B2 (ko)
KR200254081Y1 (ko) 유압 크레인 절단기용 어태치먼트
JP2012511111A (ja) 土工用バケット
US5337851A (en) Steering mechanism for road cutter
CN201137166Y (zh) 铲车大臂旋转装置
JP2008043214A (ja) 整畦機
EP3706551B1 (en) A felling head for a multi-process machine
CN205088721U (zh) 用于机器中的连杆组件的横向构件
CA2089020A1 (en) Scoop for a mobile implement
JP4843459B2 (ja) 作業機の運転室昇降装置
JP5227939B2 (ja) 作業機械
JPH0426592Y2 (ko)
US4389152A (en) Stiffleg construction for power shovels
CN210714739U (zh) 双臂隧道锚杆台车
RU28049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поворотного движ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относительно плеча машины,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 сбор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инструментом относительно рамы машины и рабочая машина
JPH09296475A (ja) ブーム式作業機
JP4398697B2 (ja) オフセット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