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491Y1 - 휴대용 펀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491Y1
KR200326491Y1 KR20-2003-0019879U KR20030019879U KR200326491Y1 KR 200326491 Y1 KR200326491 Y1 KR 200326491Y1 KR 20030019879 U KR20030019879 U KR 20030019879U KR 200326491 Y1 KR200326491 Y1 KR 200326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ring member
fixing
ring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김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filed Critical 김수정
Priority to KR20-2003-0019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26D7/2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arranged to disable the operating means for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8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on a deskto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부재와 천공부재 및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용 펀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면에 탄성을 가지고 고정되는 고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전면측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사용 중에 고리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손잡이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미 사용시에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고리부재가 고정되도록 제 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폐부재 상과 가압부재의 상면에 고리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미 사용시에는 고리부재의 안정적인 고정을 이룰 수 있으며, 펀치의 사용 시에는 고리부재가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펀치{PORTABLE PUNCH}
본 고안은 휴대용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고리부재가 펀치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써,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한 휴대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치라 함은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의 소정 위치에 철끈이나 파스너 등을 삽입하여 묶을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을 천공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펀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켜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제작한 것이 휴대용 펀치이다.
종래의 휴대용 펀치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0)와 천공부재(30) 및 가압부재(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0)는 그 상면상에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이 안착되도록 일측이 대략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종이나 서류 등이 천공되는 지점에는 홀(12)이 천공됨과 더불어, 받침부재(10)의 내부에는 상기 홀(12)을 통하여 삽입되는 종이조각이 수집되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12)의 후측에는 상기 천공하고자 하는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이 삽입된 후 그 단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소정 높이의 걸림턱을 갖는 돌출부(14)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 바닥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30)는 돌출부(14)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몸체부(32)가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32)의 전단부와 상기 받침부재(10)와의 사이에 상기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이 천공 부위가 삽입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2)에는 그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50)의 가압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10)상에 천공된 홀(12) 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각종 종이나 서류 등에 홀을 천공하는 펀칭봉(40)이 탄성부재(42)에 의하여 탄성지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0)는 천공부재(30)의 상부에 힌지부(46)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에는 손잡이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5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50)가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그 내면에 형성된 작동부재(54)가 상기 펀칭봉(40)의 상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펀칭봉(40)이 하강하여 상기 종이나 서류 등에 구멍을 뚫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0)의 양측면에 탄성을 가지는 고리부재(60)가 설치된다.
고리부재(60)는 탄성부재(42)에 의하여 벌어져 있는 가압부재(50)를 잡아당겨 고정시키므로써,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하는 이동 중에 고리부재(60)가 쉽게 이탈되며, 펀치의 사용 시에는 고리부재(60)가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부재 상과 가압부재의 상면에 고리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미 사용시에는 고리부재의 안정적인 고정을 이룰 수 있으며, 펀치의 사용 시에는 고리부재가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휴대용 펀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이 안착되도록 상면이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면에 안착된 서류 등의 천공 지점에는 홀이 천공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홀을 통하여 투입되는 종이 조각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후, 개폐부재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상에 몸체부가 구성되어 몸체부 내부에 상기 각종 종이나 서류 등에 홀을 천공하는 펀칭봉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게 결합되는 천공부재와, 상기 천공부재의 상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를 가압함에 따라 내부의 펀칭봉이 하강하여 상기 종이나 서류 등에 구멍을 뚫을 수 있게 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용 펀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면에 탄성을 가지고 고정되는 고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전면측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사용 중에 고리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손잡이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미 사용시에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고리부재가 고정되도록 제 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펀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펀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펀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고리부재 70 : 제 1 고정돌기
72 : 제 2 고정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펀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종래의 구성 요소와 동일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부연 설명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펀치(1)는 받침부재(10), 천공부재(30) 및 가압부재(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부재(10)의 양측면에 고리부재(60)가 설치된다. 고리부재(6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부재(10)의 일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이어지는 타단이 받침부재(10)의 타측면에 고정되어 고리 형상을 만든다.
그리고 개폐부재(16)의 전면측에 제 1 고정돌기(70)가 돌출 형성된다. 제 1고정돌기(70)는 고리부재(6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역 "ㄱ"자 형상을 이루어 펀치(1)의 사용 중에 고정된 고리부재(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압부재(50)의 손잡이부(52) 상면에 제 2 고정돌기(72)가 돌출 형성된다. 제 1 고정돌기(70)와 같이 상측이 소정 돌출되는 "ㄱ"자 형상으로 고리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펀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펀치(1)의 미사용 시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가압부재(50)의 손잡이부(52)를 잡아당겨 고리부재(60)를 제 2 고정돌기(72)에 걸게된다.
따라서 펀치(1)의 크기가 줄어들어 휴대가 용이하게 되며, 제 2 고정돌기(72)에 걸린 고리부재(60)는 이탈이 방지된다.
한 편, 펀치(1)의 사용 시에는 제 2 고정돌기(72)에 걸려있는 고리부재(60)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해제된 고리부재(60)를 받침부재(10)의 제 1 고정돌기(70)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 중에 고리부재(6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예를 들은 활용분야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하는 범주의 실시예 및 활용분야가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펀치는, 개폐부재 상과 가압부재의 상면에 고리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미 사용시에는 고리부재의 안정적인 고정을 이룰 수 있으며, 펀치의 사용 시에는 고리부재가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 종이나 서류 등이 안착되도록 상면이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면에 안착된 서류 등의 천공 지점에는 홀이 천공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홀을 통하여 투입되는 종이 조각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후, 개폐부재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상에 몸체부가 구성되어 몸체부 내부에 상기 각종 종이나 서류 등에 홀을 천공하는 펀칭봉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게 결합되는 천공부재와, 상기 천공부재의 상부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를 가압함에 따라 내부의 펀칭봉이 하강하여 상기 종이나 서류 등에 구멍을 뚫을 수 있게 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용 펀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면에 탄성을 가지고 고정되는 고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전면측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사용 중에 고리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손잡이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펀치의 미 사용시에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고리부재가 고정되도록 제 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펀치.
KR20-2003-0019879U 2003-06-24 2003-06-24 휴대용 펀치 KR200326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79U KR200326491Y1 (ko) 2003-06-24 2003-06-24 휴대용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79U KR200326491Y1 (ko) 2003-06-24 2003-06-24 휴대용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491Y1 true KR200326491Y1 (ko) 2003-09-13

Family

ID=4941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879U KR200326491Y1 (ko) 2003-06-24 2003-06-24 휴대용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4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954A (en) Holder assembly for cellular phones
US6694868B1 (en) Detachable pan handle structure
KR960010240A (ko) 교환가능한 다이를 갖춘 구멍 뚫기 공구
KR100669406B1 (ko) 종이 더미를 파일에 보존하기 위한 장치
KR20080008873A (ko) 회전걸이대가 구비된 수거통
KR200326491Y1 (ko) 휴대용 펀치
US20020070063A1 (en) Retaining device of scooter battery set
JPH07299981A (ja) ハトメ機構付き穿孔機
US20030088985A1 (en) Note magnet assembly with letter blade
EP0962336A1 (en) Device for retaining a stack of papers
JP2009039918A (ja) ファイル
JP2013000270A (ja) コードロック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200428963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서랍개폐장치
KR200215878Y1 (ko) 사무용펀치
KR200163691Y1 (ko) 종이천공기
JP200622607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操作具取付構造
KR200288071Y1 (ko) 타이형 파일홀더
KR200231836Y1 (ko) 병렬식 펀치의 눈금자 고정장치
KR950004877Y1 (ko)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화일
CN211906767U (zh) 一种防脱落的磁防伪标签
US20060170227A1 (en) Screen door handle activating assembly
KR20030090062A (ko) 타이형 파일홀더
KR200166343Y1 (ko) 잠금장치가구비된펀치
JP3127845U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