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436Y1 - 선반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선반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436Y1
KR200325436Y1 KR20-2003-0016466U KR20030016466U KR200325436Y1 KR 200325436 Y1 KR200325436 Y1 KR 200325436Y1 KR 20030016466 U KR20030016466 U KR 20030016466U KR 200325436 Y1 KR200325436 Y1 KR 200325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elf
side member
coupling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20-2003-0016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용 연결구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는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에 지주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연결구 본체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 체결돌기와 체결공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중앙에는 재치대가 관통 고정되는 장공이 형성된 선반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지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결합부와 지주 사이의 유동을 방지되게 하는 간격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선반용 연결구는,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임의로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지주에 삽입되는 결합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지주와 결합부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선반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용 연결구{link for rack}
본 고안은 식기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선반을 고정 및 연결하도록 한 선반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구와 선반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유동을 방지되게 하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식기 등이나 각종의 물품을 재치 및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선반은 다수 개의 재치대를 적층하도록 하여 공가효율을 향상시키고, 많은 식기와 물품을 재치 및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선반의 재치대에는 각 모서리 부위에 지주를 연결하도록 하고, 지주에 별도의 체결구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재치대를 적층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재치대 체결구는, 그 조립 및 체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체결구가 지주에 주로 고정되기 때문에 재치대를 적층하는 개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재치대 체결구의 결합 구조가 비교적 취약하였기 때문에 선반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5022호를 통해 선반 재치대를 다수 층으로 적층시키면서 조립성을 높인 선반용 연결구를 제안한바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지주(p)와 재치대(l)를 연결하도록 한쌍으로 구비된 연결구 본체(100)와, 재치대를 관통, 체결하도록 한 장공(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100)는 한 쌍이 조립,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하 측에 지주가 삽입되도록 한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00)의 일측 부재(111')는 관통된 재치대가 고정되도록한 고정구(112)와 타측 부재와 체결되도록 한 체결 돌기(113)가 형성되고, 타측 부재(111")는 상기 고정구(112)가 삽입되도록 한 삽입홈(114)과, 상기 체결 돌기(113)가 삽입되도록 한 체결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20)은 상기 연결구 본체(100)의 중앙 부위에 재치대가 관통,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는, 선반의 재치대(l)를 상기 장공(120)에 관통, 체결하고, 상기 연결구 일측 부재(111')의 고정구(1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타측 부재(111")의 삽입홈(114)에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 일측 부재(111')의 체결 돌기(113)를 상기 타측 부재(111")의 체결공(115)에 일치시켜 조립,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 본체(100)의 상하측의 결합부(110)에 상기 지주(p)를 체결하여, 다수 개의 재치대(l)를 적층하여 조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는 지주(p)와 결합부(110)간의 치수산포가 발생하는 경우 헐겁게 조립되어져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즉, 상기 선반용 연결구는 통상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지므로 성형산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형산포중 결합부(110)의 지름이 지주(p)의 관지름에 비해 작은 경우에는 상호간의 결합시 틈새가 생기게 되어 유동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구 본체의 결합부의 지름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합부와 지주의 결합시 발생하는 산포를 보상함으로써 견고한 체결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연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구 본체 11' : 일측부재
11" : 타측 부재 20 : 장공
30 : 간격 유지수단 31 : 나사 구멍
32 : 나사 부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는,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에 지주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연결구 본체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는 상호 접하는 대상면으로 체결돌기와 체결공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중앙에는 재치대가 관통 고정되는 장공이 형성된 선반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지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결합부와 지주 사이의 유동을 방지되게 하는 간격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재치대를 가압하여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나사 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연결구는 좌·우 한쌍으로 된 일측 부재(11')와 타측 부재(11")의 결합으로 연결구 본체(10)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이 연결구 본체(10)의 상·하측은 관 형상으로 되어 있어 지주(p)가 삽입되는 구성이고, 연결구 본체(10)에는 재치대(미도시)를 관통 체결하는 장공(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 부재(11')와 타측 부재(11")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 각각 등간격으로 체결돌기(13)와 체결공(15)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장공(20)은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중앙부위에 재치대(미도시)가 관통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반용 연결구는 종전의 선반용 연결구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의 선반용 연결구는 지주(p)의 내부로 결합부(1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11)의 지름을 선택적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지주(p)내에서 결합부(11)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 유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즉, 상기 간격 유지수단(3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부재(11')와 타측 부재(11")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31)과, 이 나사 구멍(31)에 나사체결되는 나사 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 구멍(31)은 상술한 장공(20)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나사 구멍(31)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 부재(32)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간격 유지수단(30)은 나사 부재(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나사 부재(32)가 나사 구멍(31)을 따라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연결구 본체(10)의 내측으로 진행하게 되며, 나사 부재(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나사 부재(32)는 연결구 본체(10)의 외측으로 나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p)에 결합부(1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나사 부재(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 부재(32)는 연결구 본체(10)의 내측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그 선단부가 장공(20)에 삽입된 재치대(미도시)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나사 부재(32)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 부재(32)의 진행력에 의해 일측 부재(11')와 타측 부재(11")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결합부(11)의 전체 지름이 확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지주(p)의 관지름에 비하여 연결구 본체(10)의 결합부(11)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결합부(11)의 지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지주(p)와 결합부(11)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선반용 연결구는,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임의로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지주에 삽입되는 결합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지주와 결합부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선반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에 지주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연결구 본체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 체결돌기와 체결공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중앙에는 재치대가 관통 고정되는 장공이 형성된 선반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지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결합부와 지주 사이의 유동을 방지되게 하는 간격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수단은,
    상기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재치대를 가압하여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나사 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연결구.
KR20-2003-0016466U 2003-05-27 2003-05-27 선반용 연결구 KR200325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66U KR200325436Y1 (ko) 2003-05-27 2003-05-27 선반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66U KR200325436Y1 (ko) 2003-05-27 2003-05-27 선반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436Y1 true KR200325436Y1 (ko) 2003-09-03

Family

ID=4933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66U KR200325436Y1 (ko) 2003-05-27 2003-05-27 선반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4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1743S1 (en) Dual carrel
USD921477S1 (en) Bracket for a clamp storage system
US6253933B1 (en) Shelving rack
USD491004S1 (en) End panel with molding, for a storage cabinet or the like
WO2007005728A3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USD557941S1 (en) Book stand with shelves
JP2006095094A (ja) 組合せ収納家具
KR200325436Y1 (ko) 선반용 연결구
US20030085191A1 (en) Shelf unit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USD939326S1 (en) Two part clip
US6722510B1 (en) Wine rack
USD986020S1 (en) Drawer jig
KR200371629Y1 (ko) 책장 연결구조
KR101379685B1 (ko) 다용도 선반
JP3161706U (ja) 組立式家具
KR200187816Y1 (ko) 파이프 연결구
USD450486S1 (en) Tier table fixture
KR200253974Y1 (ko) 선반용 연결구
USD482557S1 (en) Hanging rack
KR200265840Y1 (ko) 앵글
USD547971S1 (en) Two-tier table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USD972399S1 (en) Rack for supporting router bits
USD1003139S1 (en) Shelf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