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40Y1 - 앵글 - Google Patents

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40Y1
KR200265840Y1 KR2019990002880U KR19990002880U KR200265840Y1 KR 200265840 Y1 KR200265840 Y1 KR 200265840Y1 KR 2019990002880 U KR2019990002880 U KR 2019990002880U KR 19990002880 U KR19990002880 U KR 19990002880U KR 200265840 Y1 KR200265840 Y1 KR 20026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angle
horizontal support
support plat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417U (ko
Inventor
우병수
Original Assignee
우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병수 filed Critical 우병수
Priority to KR2019990002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4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40Y1/ko

Link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장이나 책장 등의 제작시 제작에 따른 편의성과 제품의 안정성을 높여주도록 하여 주는 앵글에 관한 것으로, 앵글(10)의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양 측방으로 돌출된 면에 각각 가로지지판(14)이 볼트(15)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된 상기 가로지지판(14)의 타측에 앵글(10)을 볼트(15)에 의해 결합시켜 하나의 장식장(13)을 이루고,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장(13)의 앵글(10)에 직접적으로 가로지지판(14)을 더 결합시켜 장식장(13)을 증설시켜 가면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앵글(10)에 의해, 장식장(13)의 제작시 하나의 앵글(10)에 의해 양측으로 가로지지판(14)이 결합되어 장식장(13)이 형성됨에 따라 장식장(13)의 제작시 소요되는 앵글(10)이나 볼트(15)의 수량을 줄여 주게 되어 장식장(13)의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인건비를 절감시켜 줌과 동시에 간편하게 장식장(13)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장식장(13)의 증설시 기존에 있던 장식장(13)의 앵글(10)에 직접적으로 가로지지판(14)을 결합시켜 장식장(13)을 증설하게 되어 장식장(13)의 증설에 따른 편의성과 장식장(13)의 증설에 따른 이음부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장식장(13)의 전체적인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앵글(10)의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바닥면에 장식장(13)의 지지시 바닥과 접하는 앵글의 단면적이 넓게 되어 장식장(13)을 안정되게 지지를 시켜주게 되며, 장식장(13)을 이루는 앵글(10)이나 볼트(15)가 비교적으로 소량이 사용되어 장식장(13)의 운반에 따른 조립 및 해체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앵글{Angle}
본 고안은 장식장이나 책장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앵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이나 책장 등의 제작시 제작에 따른 편의성과 제품의 안정성을 높여주도록 하여 주는 앵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글은 자유단을 가지는 것으로 적정크기로 절단을 하여 장식장이나 책장 등의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앵글(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의 형상이 'ㄱ'의 형태로 되어 각 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장식장(3)이나 책장의 제작시 적정크기로 앵글을 절단하여 다수를 구비시키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로지지판(4)을 다수 구비하여 상기 앵글(1)과 볼트(5)에 의해 결합되어 장식장(3)이나 책장 등의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장식장(3)이나 책장 등을 다수 개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장식장(1)이나 책장 등을 증설시켜 사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앵글(1)은, 장식장(3)이나 책장 등의 제작시 앵글의 형상이 'ㄱ'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장식장(3)의 증설시 'ㄱ'의 형태 앵글(1)을 이용하여 장식장(3)을 각각 제작한 후 장식장(3)을 증설시키는 것으로, 장식장(3)을 다수를 제작하여 증설을 시켜야 함에 따라 앵글(1)이나 볼트(5)의 소요가 많게 되어 제작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식장(3)을 각각 제작을 해야 함에 따라 그에 따른 인건비와 시간이 많이 소요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식장(3)의 증설시 장식장(3)이 각각 제작된 형태로 증설됨에 따라 장식장(3)과 장식장간(3)의 이음부가 발생되어 장식장(3)의 사용에 따라 장식장(3)이 일측으로 기울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그에 따른 장식장(3)의 전체적인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지가 않게 되는 문제점과, 상기 앵글(1)의 형상이 'ㄱ'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시 바닥면과 접하는 단면적이 작으므로 장식장(3)을 안정감있게 지지를 못시켜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식장(3)의 증설에 따라 각각의 장식장을 연결하여 주는 볼트(3)의수량이 많아지게 되어 장식장(3)의 운반에 따른 장식장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장의 제작시 소요되는 구성요소의 수량을 줄여주고, 장식장의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인건비와 절감시켜 주도록 된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장식장을 제작하도록 하여 주면서 장식장의 증설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여 주도록 된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장의 증설시 이음부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장식장의 전체적인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장식장의 지지시 바닥면에 장식장을 안정되게 지지를 시켜주도록 된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장의 운반에 따른 조립 및 해체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유단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에 따라 선택적인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을 하며, 각 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평면의 단면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각각 면을 이루고 상기 각 면에 상기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 종래 일반적인 앵글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앵글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글11, 11', 11' ; 면
12 ; 결합구멍13 ; 장식장
14 ; 가로지지판15 ; 볼트
이와 같은 본 고안 조립식 앵글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앵글(10)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도 2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앵글(10)은, 자유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적정 길이로 절단을 하여 사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앵글(10)의 형상에 의하면 각각의 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평면의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중앙부에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면(11)과, 상기 돌출형성된 면(2)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각각의 면(11', 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면(11, 11', 11')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구멍(12)이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앵글(10)을 이용하여 장식장(13)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가로지지판(14)을 다수 구비하여 상기 앵글(10)과 상기 가로지지판(14)을 다수의 볼트(15)에 의해 결합시켜 장식장(13)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가로지지판(14)과 앵글(10)의 결합은 앵글(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12)을 통하여 볼트(15)가 삽입되고 삽입된 볼트(15)의 머리부가 결합구멍(12)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볼트(15)의 단부가 가로지지판(14)에 삽입되면서 앵글(10)과 가로지지판(14)이 결합되 하나의 장식장(13)이 제작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장식장(13)의 각 앵글(10)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면(11)이 상기 가로지지판(14)의 측면과 볼트(15)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중앙부에 형성된 면(11)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면(11')이 가로지지판(14)의 전면에 볼트(15)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에 형성된 면(11')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장식장(13)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장식장(13)을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서 장식장(13)을 증설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앵글(10)의 면(11')에 가로지지판(14)을 더 볼트(15)에 의해 결합을 시켜 주게 되고, 결합된 가로지지판(14)의 타측에 앵글(10)을 더 결합시키는 형태로 장식장(10)을 간편하게 증설시켜 가면서 사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가로지지판(14)과 결합되어 있는 앵글(10)의 단부는 바닥면에 접하여 장식장(13)을 지지시켜 주게 되는데 앵글(10)의 단부가 'Т'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바닥면과 접하는 단면적이 넓어지게 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장식장(13)을 안정감있게 지지를 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장식장(13)으로부터 장식장(13)을 증설시켜가면서 사용을 하게 되어 장식장(13)의 제작시 소요되는 구성요소 즉, 앵글(13)과 볼트(15)의 수량이 절감되게 되고, 장식장(13)의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인건비와 시간의 제작시간을 단축시켜 주게 된다.
또한, 장식장(13)의 증설시 장식장(13)간에 이음부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장식장(13)의 전체적인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장식장(13)에 사용된 볼트(15)의 수량이 소수로 이루어지게 되어 장식장(13)의 운반에 따른 장식장(13)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앵글(10)이 사용되는 것이 장식장(13)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앵글(10)을 조립하여 사용되는 모든 분야에 사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 조립식 앵글(10)에 의하면, 앵글(10)의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양 측방으로 돌출된 면에 각각 가로지지판(14)이 볼트(15)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된 상기 가로지지판(14)의 타측에 앵글(10)을 볼트(15)에 의해 결합시켜 하나의 장식장(13)을 이루고,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장(13)의 앵글(10)에 직접적으로 가로지지판(14)을 더 결합시켜 장식장(13)을 증설시켜 가면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앵글(10)에 의해, 장식장(13)의 제작시 하나의 앵글(10)에 의해 양측으로 가로지지판(14)이 결합되어 장식장(13)이 형성됨에 따라 장식장(13)의 제작시 소요되는 앵글(10)이나 볼트(15)의 수량을 줄여 주게 되어 장식장(13)의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인건비를 절감시켜 줌과 동시에 간편하게 장식장(13)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장식장(13)의 증설시 기존에 있던 장식장(13)의 앵글(10)에 직접적으로 가로지지판(14)을 결합시켜 장식장(13)을 증설하게 되어 장식장(13)의 증설에 따른 편의성과 장식장(13)의 증설에 따른 이음부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장식장(13)의 전체적인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앵글(10)의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바닥면에 장식장(13)의 지지시 바닥과 접하는 앵글의 단면적이 넓게 되어 장식장(13)을 안정되게 지지를 시켜주게 되며, 장식장(13)을 이루는 앵글(10)이나 볼트(15)가 비교적으로 소량이 사용되어 장식장(13)의 운반에 따른 조립 및 해체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유단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에 따라 선택적인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을 하며, 각 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다수의 가로지지판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장식장이나 책장 등을 제작하는데 사용을 하는 앵글에 있어서,
    평면의 단면 형상이 'Т'의 형태로 되어 각각 면(11, 11', 11')을 이루고 상기 각 면(11, 11', 11')에 상기 결합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KR2019990002880U 1999-02-25 1999-02-25 앵글 KR20026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880U KR200265840Y1 (ko) 1999-02-25 1999-02-25 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880U KR200265840Y1 (ko) 1999-02-25 1999-02-25 앵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17U KR20000017417U (ko) 2000-09-25
KR200265840Y1 true KR200265840Y1 (ko) 2002-02-27

Family

ID=5475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880U KR200265840Y1 (ko) 1999-02-25 1999-02-25 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3Y1 (ko) * 2010-03-10 2013-01-16 서석봉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3Y1 (ko) * 2010-03-10 2013-01-16 서석봉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17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613B2 (en) Set of panel-shaped elements for a composed element
US743140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GB2450947A (en) Modular shelf system
US20100290831A1 (en) Coupling assembly for furniture components
ITBO20010528A1 (it) Sistema di fissaggio per strutture modulari d'arredamento
US5857578A (en) Slatwall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466260B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US3961586A (en) Shelving
WO2006114589A1 (en) Structural joint
KR200265840Y1 (ko) 앵글
US3502293A (en) Shelf-supporting standard with removable head
KR20210121778A (ko) 조립식 가구
KR100271081B1 (ko)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JP2012163158A (ja) 組立式立体骨組構造
EP2441349A1 (en) Connection joint for tubular elements of a modular structure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CA2528573C (en) Modular moulding with fitted spline joinery system
KR200357303Y1 (ko) 조립식 진열장용 조인트
US3938296A (en) Elements for connecting boards or plates
JP3566714B1 (ja) ユニット式組立て家具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CN207626900U (zh) 一种插接固定结构及床架
KR20200062527A (ko) 조립이 간편한 우드 롤 테이블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KR200325436Y1 (ko) 선반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