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242Y1 - 산업용 유압식 그랩 - Google Patents

산업용 유압식 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242Y1
KR200325242Y1 KR20-2003-0015131U KR20030015131U KR200325242Y1 KR 200325242 Y1 KR200325242 Y1 KR 200325242Y1 KR 20030015131 U KR20030015131 U KR 20030015131U KR 200325242 Y1 KR200325242 Y1 KR 200325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asket
link
fixing pin
lowe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구
강종기
Original Assignee
강종기
정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기, 정일구 filed Critical 강종기
Priority to KR20-2003-0015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유압식 그랩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를 지지하면서 굴삭기 또는 유압크레인에 장착되는 몸체부(10)와, 상측바스켓(30)를 일체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면서, 고정축(84)을 매개로 몸체(10)에 회동되도록 형성된 헤드부(20)와, 이 헤드부에 연결,고정되어 목표물을 집어서 올리도록 형성된 상측바스켓(30) 및 하측바스켓(40)과, 몸체부(10) 및 하측바스켓(40)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50,60)와, 이 유압실린더(50,60)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로드(51,61)를 갖추게 되는 유압식 그랩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51)에 고정축(80)을 통해 연결되는 제1,2링크(71,72)로 이루어진 링크(70)를 갖추게 되되,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50)가 일측이 몸체부(10)에 고정핀(87)을 통해 고정되고, 또 다른 일측이 실린더로드(51)로 연결되되, 고정핀(80)을 통해 링크(70)와 연결되며, 이 링크(70)는 헤드부(20)의 일측에 고정핀(82)을 통해 연결되는 제1링크(71)와, 몸체부(10)에 고정핀(81)을 통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72)를 갖추게 되며, 상기 하측바스켓(40)에 장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60)가 이 하측바스켓(4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유압실린더(60)의 일측이 고정핀(86)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헤드부(20)에 고정되고, 이 유압실린더(60)의 또다른 일측이 고정핀(85)을 매개로 하측바스켓(4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측바스켓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이 하측바스켓과 평행하게 설치함에 의해, 포개지는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종래 몸체부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목표물을 향해 바스켓의 이동시 몸체부와 연결되도록 2개의 링크를 갖추도록 형성함에 의해 이 링크를 통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개별부품의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절단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유압식 그랩{Hydraulic type grab for industry}
본 고안은 산업용 유압식 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바스켓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이 하측바스켓과 평행하게 설치함에 의해, 포개지는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몸체부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유압식 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유압식 그랩(Grap)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바스겟(3)과 하측바스켓(4)을 지지하는 헤드부(2)와, 목표물을 집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상측바스켓(3) 및 하측바스켓(4)과, 이 상,하측바스켓(3,4)을 회동하도록 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5a,5b)와, 상기 하측바스켓(4)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유압식 그랩은 헤드부(2)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5a,5b)를 갖추게 되며, 따라서 헤드부(2)에 고정된 상측바스켓(3)과 하측바스켓(4)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랩동작은 하측바스켓(4)이 회동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 하측브라켓(4)에 설치된 유압실린더(6)에 의해 상기 동작이 실시되는 것이다. 즉 유압실린더(6)의 일측단이 헤드부(2)에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일측단이 하측브라켓(4)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유압실린더(6)가 작동되면 실린더로드(6-1)가 하측바스켓(4)을 고정핀(7)을 매개로 회동하도록 하여 상측바스켓(3)와 포개지면서 그랩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이 그랩동작을 통해 상기 상측바스켓(3)과 하측바스켓(4) 사이에 목표물이 담겨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하측바스켓(4)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가 하측바스켓(4)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됨에 의해 펼쳐졌을때 몸체부에 닿게 됨에 따라, 펼침각도가 작도록 설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헤드부(2)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5a,5b)에 대해 하측바스켓(4)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6)가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측브라켓(3)에 대해 하측바스켓(4)의 동작이 작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유압실린더(5a,5b)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원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측바스켓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이 하측바스켓과 평행하게 설치함에 의해, 포개지는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종래 몸체부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표물을 향해 바스켓의 이동시 몸체부와 연결되도록 2개의 링크를 갖추도록 형성함에 의해 이 링크를 통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형성된 산업용 유압식 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그랩의 상하운동을 나타낸 도면,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그랩이 목표물을 집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로서 유압식 그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20 --- 헤드부,
30 --- 상측바스켓, 40 --- 하측바스켓,
50,60 --- 유압실린더, 51,61 --- 실린더로드,
70 --- 링크, 71,72 --- 제1,2링크,
80,81,82,83,84,85,86,87 --- 고정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부를 지지하면서 굴삭기 또는 유압크레인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측바스켓를 일체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면서, 고정축을 매개로 몸체에 회동되도록 형성된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연결,고정되어 목표물을 집어서 올리도록 형성된 상측바스켓 및 하측바스켓과, 몸체부 및 하측바스켓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로드를 갖추게 되는 유압식 그랩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에 고정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2링크로 이루어진 링크를 갖추게 되되,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가 일측이 몸체부에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고, 또 다른 일측이 실린더로드로 연결되되, 고정핀을 통해 링크와 연결되며, 이 링크는 헤드부의 일측에 고정핀을 통해 연결되는 제1링크와, 몸체부에 고정핀을 통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를 갖추게 되며, 상기 하측바스켓에 장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가 이 하측바스켓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유압실린더의 일측이 고정핀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헤드부에 고정되고, 이 유압실린더의 또다른 일측이 고정핀을 매개로 하측바스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그랩의 상하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그랩이 목표물을 집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랩은 헤드부를 지지하면서 굴삭기 또는 유압크레인에 장착되는 몸체부(10)와, 상측바스켓(30)를 일체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면서, 고정축(84)을 매개로 몸체(10)에 회동되도록 형성된 헤드부(20)와, 이 헤드부에 연결,고정되어 목표물을 집어서 올리도록 형성된 상측바스켓(30) 및 하측바스켓(40)과, 몸체부(10) 및 하측바스켓(40)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50,60)와, 이 유압실린더(50,60)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로드(51,61)와, 이 실린더로드(51)에 고정축(80)을 통해 연결되는 제1,2링크(71,72)로 이루어진 링크(70)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하측바스켓(40)에 장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60)는 이 하측바스켓(4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즉 유압실린더(60)의 일측이 고정핀(86)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헤드부(20)에 고정되고, 이 유압실린더(60)의 또다른 일측이 고정핀(85)을 매개로 하측바스켓(4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60)의 작동으로 하측바스켓(40)이 헤드부(40)에 대해 회동하면서 헤드부(40)에 고정된 상측바스켓(30)과 포개지면서 그랩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50)는 일측이 몸체부(10)에 고정핀(87)을 통해 고정되고, 또 다른 일측이 실린더로드(51)로 연결되되, 고정핀(80)을 통해 링크(70)와 연결되며, 이 링크(70)는 헤드부(20)의 일측에 고정핀(82)을 통해 연결되는 제1링크(71)와, 몸체부(10)에 고정핀(81)을 통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72)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50)가 작동되면 실린더로드(51)가 신장되면서 이 실린더로드(51)와 연결된 제1,2링크(71,72)가 고정핀(81,82)을 통해 회동되며, 이것에 의해 헤드(20)와 이 헤드에 고정된 상측바스켓(30) 및 하측바스켓(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다시 유압실린더(50)가 반대로 작동되면 상기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작동에 의해 상측바스켓(30) 및 하측바스켓(40)이 몸체부(10)에 대해 상하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그랩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유압식 그립이 유압크레인 또는 굴삭기에 장착된 후, 목표물을 향한후 목표물을 집어 올리기 위해 유압실린더(50)가 작동되면, 유압실린더(5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51)가 신장된다. 따라서 이 실린더로드(51)에 연결된 링크(70)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제1링크(71)는 고정핀(82)을 매개로 헤드(20)를 회동시키면서 헤드(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제2링크(72)는 몸체부(10)의 고정핀(81)을 매개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링크(71)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결국 헤드(20)에 장착된 상측바스켓(30)과 하측바스켓(40)이 고정핀(84)을 회동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측바스켓(30)과 하측바스켓(40)의 간격은 변하지 않게 된다.(도 1a 상태에서 도 1b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러 상측바스켓(30)과 하측바스켓(40)을 포개면서 목표물을 집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60)를 작동시켜 이 유압실린더(6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61)를 신장시키게 되면, 이 실린더로드(61)와 연결된 하측바스켓(40)이 고정핀(83)을 매개로 헤드(20)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바스켓(30)과 포개지면서 목표물을 집을 수 있게 된다.(도 2a 상태에서 도 2b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렇게 목표물을 집은 상태에서 몸체부(10)와 연결된 굴삭기 또는 유압크레인을 적당히 옮기게 되면 목표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 집은 목표물을 떨어뜨리려면, 상기 유압실린더(60)를 역순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완성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두개의 유압실린더(50,60)를 작동시켜 꺽이는 동작과 집는 동작을원할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두개의 제1,2링크(71,72)로 이루어진 상기 링크(70)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작용하는 힘이 분산됨에 따라 바스켓에 작용되는 충격력이 감소될 수 있어 결국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절단기는 힘의 분산에 의해 개별부품들은 종래보다 개별부품의 중량을 낮출 수 있음에 따라 개별 부품의 부품가공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하측바스켓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이 하측바스켓과 평행하게 설치함에 의해, 포개지는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종래 몸체부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표물을 향해 바스켓의 이동시 몸체부와 연결되도록 2개의 링크를 갖추도록 형성함에 의해 이 링크를 통해 힘의 분산으로 인한 피로도가 감소되고 이것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개별부품의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절단기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헤드부를 지지하면서 굴삭기 또는 유압크레인에 장착되는 몸체부(10)와, 상측바스켓(30)를 일체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면서, 고정축(84)을 매개로 몸체(10)에 회동되도록 형성된 헤드부(20)와, 이 헤드부에 연결,고정되어 목표물을 집어서 올리도록 형성된 상측바스켓(30) 및 하측바스켓(40)과, 몸체부(10) 및 하측바스켓(40)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50,60)와, 이 유압실린더(50,60)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로드(51,61)를 갖추게 되는 유압식 그랩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51)에 고정축(80)을 통해 연결되는 제1,2링크(71,72)로 이루어진 링크(70)를 갖추게 되되,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50)가 일측이 몸체부(10)에 고정핀(87)을 통해 고정되고, 또 다른 일측이 실린더로드(51)로 연결되되, 고정핀(80)을 통해 링크(70)와 연결되며, 이 링크(70)는 헤드부(20)의 일측에 고정핀(82)을 통해 연결되는 제1링크(71)와, 몸체부(10)에 고정핀(81)을 통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72)를 갖추게 되며,
    상기 하측바스켓(40)에 장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60)가 이 하측바스켓(4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유압실린더(60)의 일측이 고정핀(86)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헤드부(20)에 고정되고, 이 유압실린더(60)의 또다른 일측이 고정핀(85)을 매개로 하측바스켓(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유압식 그랩.
KR20-2003-0015131U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그랩 KR200325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1U KR200325242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1U KR200325242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242Y1 true KR200325242Y1 (ko) 2003-09-02

Family

ID=4933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31U KR200325242Y1 (ko) 2003-05-16 2003-05-16 산업용 유압식 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9679C2 (ru) Кран харвестера
US4519739A (en) Backhoe clamping device
JP5122786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RU2637684C2 (ru) Подъемный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фронталь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EP2319995B1 (en) Apparatus for moving a platform
CA2442379A1 (en) Automated pipe racking process and apparatus
EP2208828B1 (en) Coupling arrangement for tilting a tool
EP1325986B1 (en) Vertical lift type arm device
CN103328730A (zh) 用于轮式装载机的改进的反转连杆机构
US2011008119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ed to a swing damper
KR100483334B1 (ko) 굴삭작업기
US6079577A (en) Loader
US11242667B2 (en) Work vehicle including loader work device
KR200325242Y1 (ko) 산업용 유압식 그랩
KR101017957B1 (ko)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JP2008038502A (ja) 作業用走行車
RU24041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вылета стрелы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P3574152B1 (en) Jib assembly
JP2007283174A (ja) 解体作業機
CN202850073U (zh) 一种伸缩臂组件和深挖机
KR200326544Y1 (ko) 산업용 유압식 다관절 절단기
JP6753070B2 (ja) 操作レバー
JP4556889B2 (ja) 運搬物の搬送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フォークグリップ並びに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WO2006008330A1 (en) Actuator assembly for a drivebridge
KR200292651Y1 (ko) 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길이 조절 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