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101Y1 - 진공 흡착구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5101Y1 KR200325101Y1 KR20-2003-0018501U KR20030018501U KR200325101Y1 KR 200325101 Y1 KR200325101 Y1 KR 200325101Y1 KR 20030018501 U KR20030018501 U KR 20030018501U KR 200325101 Y1 KR200325101 Y1 KR 2003251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 adsorption
- suction
- vacuum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060350 Citronella moore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건, 비누, 칫솔, 화장지 등과 같은 각종 욕실 위생용품들을 걸거나 받침하는데 사용되는 걸이대나 받침대들(이하, 피 고정물이라 한다)을 벽면에 대하여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 고정물(500)을 벽면(60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진공 흡착구(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봉(1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벽면(600)에 대하여 진공 흡착되는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100)과; 상기 흡착판(100)의 외주면으로 위치되고, 중앙부로는 상기 흡착봉(110)이 관통 지지되는 관통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0)이 형성된 일 측 후면으로 사각 형상의 장착돌기(2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누르기 위한 대응 밀착면(210)으로 요철부(212)가 형성된 구면상의 경질 커버판(200)과; 상기 커버판(200)의 장착돌기(230)에 대하여 착탈 자재되고, 상기 장착돌기(230)와 대응되는 장착홈(310) 및 걸림돌기(320)가 단지게 형성되며, 피 고정물(500)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걸이편(330)이 구비된 걸이대(300); 및 상기 커버판(200)과 걸이대(300)의 외측으로 관통 노출되는 흡착봉(110)의 축 홈(120)에 대하여 핀 축(410)으로 착탈 자재되게 탄성 결합되고, 그 전면의 압착 구면(430)으로는 상기 걸이대(300)의 걸림돌기(320)와 대응되는 걸림턱(430)이 형성되어진 흡착 조작용 레버(400)를 포함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흡착레버 조작에 따른 흡착구의 흡착 조작이 매우 신속용이하고, 또한 강한 진공 흡착력의 발휘를 통한 안정된 부착이 가능하며, 하나의 흡착구를 이용하더라도 걸이대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피 고정물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건, 비누, 칫솔, 화장지 등과 같은 각종 욕실 위생용품들을 걸거나 받침하는데 사용되는 걸이대나 받침대들(이하, 피 고정물이라 한다)을 벽면에 대하여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레버 조작에 따른 흡착구의 흡착 조작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또한 강한 진공 흡착력의 발휘를 통한 안정된 부착 지지가 가능하며, 하나의 흡착구를 이용하더라도 걸이대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피 고정물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 가능하도록 한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진공 흡착구는 통상적으로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을 이용하여 유리나 타일 등의 벽면에 진공으로 흡착 고정시키고, 이에 비교적 경량의 피 고정물, 예컨대 욕실에서 사용되는 수건 걸이대나 비눗갑, 칫솔꽂이 등의 피 고정물을고정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이외의 다른 물건의 장식 걸이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이용되고 있는 진공 흡착구는 대부분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 보다 강한 흡착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근자에는 흡착판의 외주면으로 경질의 덮개판을 더 설치 구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단순히 흡착판만을 이용한 진공 흡착구의 경우에는 연질의 흡착판에 의해서만 진공이 유지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흡착판의 흡착력 저하를 통한 피 고정물의 견고한 지지가 불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질의 덮개판이 구비된 진공 흡착구의 경우에는 덮개판의 후방으로 관통 설치된 나사봉에 대하여 너트를 조임하는 것에 의해 흡착판의 중앙부가 덮개판의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벽면과의 사이에 진공을 발생시켜 흡착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흡착판만을 이용한 흡착구에 비해서는 보다 강한 흡착력의 발휘가 가능하기는 하나, 나사봉에 대하여 너트를 일일이 조임하여야 하기 때문에 흡착구의 탈부착 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또한 신속하지 못하다는 구조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 진공 흡착구의 경우에는 하나의 진공 흡착구에 대하여 하나의 피 고정물만을 고정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 고정물의 교체를 위해서는 이에 해당되는 진공 흡착구도 벽면으로부터 일일이 분리해 낸 다음 해당 진공 흡착구를 다시 흡착 고정하여야 된다는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예컨대 욕실용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욕실에서 사용되는 수건 걸이나 비눗갑, 칫솔꽂이와 같은피 고정물의 경우에는 그 형태 및 고정 구조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피 고정물에만 맞는 흡착구를 항상 사용하여야만 된다면 그 만큼 진공 흡착구의 이용 효율은 저하되는 것인 반면, 피 고정물에 맞는 각각의 흡착구를 일일이 구입 사용해야되는 비 경제적인 문제와 아울러 피 고정물의 교체시 일일이 탈 부착하여야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결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 흡착구의 탈 부착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걸이대만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흡착판을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형태를 갖는 피 고정물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강한 진공 흡착력을 통한 피 고정물의 안정된 고정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일 실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진공 흡착구의 흡착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3 및 도4는 도1에 도시된 진공 흡착구의 흡착에 따른 흡착 조작용 레버의 걸림조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진공 흡착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진공 흡착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진공 흡착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진공 흡착구 100: 연질의 흡착판
110: 흡착봉 120: 축 홈
130: 가이드 편 200: 경질의 커버판
210: 밀착면 212: 요철부
220: 관통공 230: 장착돌기
240: 가이드 홈 300: 걸이대
310: 장착홈 320: 걸림돌기
330: 걸이편 332: 구멍
334: 걸이홈 336: 슬라이드 축
400: 흡착 조작용 레버 410: 핀 축
420: 압착구면 430: 걸림턱
500: 피 고정물 600: 벽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피 고정물을 벽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진공 흡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봉이 일체로 구비되고, 벽면에 대하여 진공 흡착되는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외주면으로 위치되고, 그 중앙부로는 상기 흡착봉이 관통 지지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 측 후면으로 는 사각형상의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누르기 위한 대응 밀착면으로는 요철부가 형성된 구면상의 경질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장착돌기에 대하여 착탈 자재되고, 상기 장착돌기와 대응되는 장착홈 및 걸림돌기가 단지게 형성되며, 피 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걸이편이 구비된 걸이대;및 상기 커버판과 걸이대의 외측으로 관통 노출되는 흡착봉의 축홈에 대하여 핀축으로 착탈 자재되게 탄성 결합되고, 그 전면의 압착구면으로는 상기 걸이대의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진 흡착 조작용 레버를 포함한 진공 흡착구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흡착판의 흡착봉과, 커버판의 관통공으로는 흡착구의 이동 조작을 위한 가이드 편과, 가이드 홈이 더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걸이대의 걸이편은 수건 걸이봉과 같은 피고정물을 관통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형태이거나, 또는 비눗갑 형태의 피 고정물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이거나, 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비눗갑 형태의 피 고정물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 조작되는 슬라이드 축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 흡착구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일 실시 구조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6 내지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에 있어서, 걸이대의 형태만을 달리하는 다른 실시 구조들에 대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 흡착구(10)는,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100)과, 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경질의 커버판(200)과, 각종 피 고정물(500)을 벽면(60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걸이대(300) 및 흡착 조작용 레버(400)로 구성된다.
흡착판(100)은, 진공 흡착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나 고무재로 형성되고, 또한 그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진 구면형태를 가진다.
흡착판(100)의 후방으로는 일단부가 흡착봉(110)의 구면 중앙부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된 흡착봉(110)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타 단부로는 일방으로 트여진 형태의 축 홈(120)이 대향 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착봉(110)으로는 키 박음 형태의 가이드 편(130)이 일체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로는 진공 흡착시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당김고리(14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커버판(200)은, 진공 흡착시 연질의 흡착판(100)에 대한 진공 흡착력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그 후면으로 위치되고,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밀착 지지하기 위한 밀착면(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구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판(200)의 중앙부로는 흡착봉(110)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으로는 사각형상의 장착돌기(23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220)으로는 흡착봉(110)으로 형성된 가이드 편(130)의 안정적인 이동 조작을 위한 가이드 홈(240)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돌기(230)는, 이후 설명될 걸이대(300)의 장착시, 걸이대(300)가 겉돌거나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 및 도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200)의 밀착면(210)으로는 그 내주면으로 진공 흡착되는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보다 강하게 밀착 지지하기 위한 요철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걸이대(300)로는, 커버판(200)의 장착돌기(230)에 착탈자재되게 끼워지는 장착홈(310)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으로는 걸림돌기(320)가 더 돌출되게 단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이대(300)로는 도5와 같이 수건을 걸수 있는 걸이봉 형태의 피 고정물(5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구멍(332)이 형성된 걸이편(330)이 일체로 수평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걸이대(300)는, 도5와 같이 수건 걸이봉과 같은 피 고정물(5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형태이거나 또는 이후 설명될 도6 내지 도9와 같이 비눗갑 형태의 피 고정물들(5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한 바, 이에 대하여는 이후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흡착 조작용 레버(400)는, 도2와 같이 커버판(200)의 관통공(220)을 지나 걸이대(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흡착봉(110)의 축 홈(120)에 대하여 핀 축(410)이 착탈 자재되게 탄성 결합되어 괘 해지 조작되는 바, 그 전면으로는 도3과 같이 괘지 조작시 걸이대(300)의 대응 걸림돌기(320)와 접촉되는 압착구면(4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압착구면(420)의 연장 단부로는 걸이대(300)의 걸림돌기(320)에 상호 걸려져 임의적인 해지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걸이대(300)의 걸이편(330)은 도6 및 도7과 같이 봉상으로 형성된 비눗갑 형태의 피 고정물(500)을 직접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334)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8 및 도9와 같이 피고정물(500)의 후방으로 고정을 위한 슬라이드 홈이 일체로 형성된 비눗갑 형태의 피 고정물(500)에 직접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축(33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도6 내지 도9에서 도1내지 도5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에 대하여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각 구성 부품의 조립 상태를 설명한다.
도2는 흡착 조작용 레버(400)가 괘지상태로 조작 재침된 상태로서, 먼저 커버판(200)의 구면 내측으로 흡착판(100)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다음 커버판(200)의 관통공(220)에 대하여 흡착판(100)의 흡착봉(110)을 관통시킨다. 이 때 흡착봉(110)으로 형성된 가이드 편(130)과 커버판(200)의 관통공(220)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40)을 상호 끼워 맞춤한다.
그런 다음 커버판(200)의 장착돌기(230)에 대하여 걸이대(300)의 장착홈(310)을 상호 끼움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이대(300)의 장착홈(310) 후방으로 노출된 흡착봉(110)의 축 홈(120)에 대하여 흡착 조작용 레버(400)의 핀 축(410)을 상호 탄성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고, 이 때 흡착 조작용 레버(400)는 통상적으로 벽면(600)에 대한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도4와 같이 일방으로 재침되어 해지 상태로 있게된다.
그리고, 흡착 조작용 레버(400)가 도4와 같이 해지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경우, 흡착판(100)은, 그 외측으로 위치된 커버판(200)의 내주면으로 당김 조작되기 전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가 약간 헐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에 대한 조립 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판(200)의 후방으로 형성된 장착돌기(230)에 대하여 먼저 걸이대(300)를 장착한 다음 흡착판(100)과의 조립을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공 흡착구(10)를 벽면에 흡착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진공 흡착구(10)를 잡고 흡착판(100)을 부착이 요구되는 벽면(600)에 대고, 도4와 같이 해지 상태에 있던 흡착 조작용 레버(400)를 도3과 같이 괘지상태로 재침하여 주면, 이 때 흡착레버(400)의 압착구면(420)은 핀 축(410)을 중심으로 한 구면 반경에 의해 걸이대(300)로 형성된 걸림돌기(320)의 외주면과 상호 밀착 회동되고, 이 밀착 회동에 의해 걸이대(300) 및 커버판(200)은 전방으로 밀리게되고, 동시에 핀 축(410)에 대한 압착구면(420)의 회전 반경 만큼 흡착봉(110)은 후방으로 상호 당김 조작된다.
따라서, 흡착판(100)은 흡착 조작용 레버(400)의 괘지 조작에 의해 당김 조작되는 흡착봉(110)에 의해 그 구면의 중앙부가 커버판(200)의 내측으로 당김 조작되면서 벽면(600)과의 사이에 진공실을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는 경질인 커버판(200)의 밀착면(210)에 의해 중앙 구면과는 달리 당김이 저지되면서 벽면(60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밀착 지지되는 것이며, 이 때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로 형성된 당김고리(140)는 커버판(200)의 밀착면(210)의 강한 압착에 의해 외측으로 살짝 재쳐지게 된다.
한편, 진공 흡착구(10)의 진공 흡착시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는 커버판(200)의 밀착면(210)으로 대응 형성된 요철부(212)에 의해 더욱 강한 밀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도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210)의 요철부(212)로는 진공 흡착시 유연성 재질의 흡착판(100)이 순차적으로 유입 밀착지지되기 때문에 단순히 가장자리 전체가 면 접촉되는 것에 비하여 더욱 강한 밀착력의 발휘가 가능하게되는 것이어서, 경량 또는 중량의 피 고정물(500)을 걸어 고정하더라도 진공 흡착구(10)가 쉽게 벽면(600)으로부터 분리 또는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흡착 조작용 레버(400)의 괘지 조작이 완료되면 압착구면(420)의 걸림턱(430)이 도3과 같이 걸이대(300)의 걸림돌기(320)에 상호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흡착 조작용 레버(400)의 임의적인 해지 조작이 방지되어 안정된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흡착 조작용 레버(400)의 괘지 조작시 흡착판(100)과 커버판(200)은각각 대응 형성된 가이드 편(130)과 가이드 홈(240)에 의해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진공 흡착구(10)의 안정적인 흡착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5나 도7 및 도9와 같이 각 진공 흡착구(10)에 장착된 각각의 걸이대(300)의 걸이편(330)에 대하여, 각각 수건을 걸기 위한 걸이봉과 같은 피 고정물(500)을 설치하거나, 또는 걸이홈(334)이나 슬라이드 축(336)을 이용하여 비눗갑 형태, 또는 화장지 걸이와 같은 피 고정물들(500)을 각각 선택적으로 걸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걸이대(300)는 사각 형상의 장착돌기(230)와 대응 형성된 장착홈(310)에 의해 사용시 좌우로의 유동이 전혀 방지되는 것이어서 피 고정물(500)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벽면(600)에 진공 흡착된 진공 흡착구(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괘지 상태(도2의 실선상태)로 재침된 흡착 조작용 레버(400)를 해지상태로(도2의 점선상태) 재침한 다음 진공 흡착시 외측으로 재쳐져있는 흡착판(100)의 당김고리(140)를 잡고 외측으로 당겨주면 그 틈새의 발생을 통해 진공실의 진공이 신속 해제되어져 흡착판(100)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필요시 흡착판(100)은 벽면(600)에 그대로 흡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이대(300)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갖는 피 고정물(50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걸이대(300)만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흡착봉(110)에 대하여 흡착 조작용 레버(400)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커버판(200)의 장착돌기(230)로부터 걸이대(300)를 분리해 낸 다음 도5, 도7, 도9와 같이 피 고정물(500)에 맞는해당 걸이대(300)를 분리의 역순으로 조립함으로서 피 고정물(500)의 간편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벽면(600)에 부착된 진공 흡착구(10)를 전체적으로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걸이대(300)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필요한 피 고정물(500)의 신속한 교체 사용이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그 만큼 진공 흡착구(10)의 이용 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필요 이상의 흡착구를 구입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착 조작용 레버의 괘해지 조작에 따른 흡착구의 탈부착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또한 흡착 조작용 레버의 괘해지 조작에 따른 커버판과 흡착판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걸이대만의 분리 교체에 따른 다양한 형태를 갖는 피 고정물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 고정물에 맞는 각각의 흡착구를 일일이 구입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흡착구의 이용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흡착판의 가장자리가 커버판의 밀착면으로 형성된 요철부에 의해 강한 압착력이 발휘되기 때문에 그 만큼 흡착구의 진공 흡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경량의 피 고정물은 물론 중량의 피 고정물도 장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에 대한 용도를 욕실용품을 고정하는 피 고정물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고나 가구벽면 등에 부착하여 기타 다른 물품의 장착 사용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5)
- 피 고정물(500)을 벽면(600)에 대하여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진공 흡착구(10)를 구성함에 있어서:흡착봉(1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벽면(600)에 대하여 진공 흡착되는 구면상의 연질 흡착판(100)과;상기 흡착판(100)의 외주면으로 위치되고, 중앙부로는 상기 흡착봉(110)이 관통 지지되는 관통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0)이 형성된 일 측 후면으로 사각 형상의 장착돌기(2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압착하기 위한 대응 밀착면(210)으로 요철부(212)가 형성된 구면상의 경질 커버판(200)과;상기 커버판(200)의 장착돌기(230)에 대하여 착탈 자재되고, 상기 장착돌기(230)와 대응되는 장착홈(310) 및 걸림돌기(320)가 단지게 형성되며, 피 고정물(500)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걸이편(330)이 구비된 걸이대(300); 및상기 커버판(200)과 걸이대(300)의 외측으로 관통 노출되는 흡착봉(110)의 축홈(120)에 대하여 핀축(410)으로 착탈 자재되게 탄성 결합되고, 그 전면의 압착 구면(430)으로는 상기 걸이대(300)의 걸림돌기(320)와 대응되는 걸림턱(430)이 형성되어진 흡착 조작용 레버(4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봉(110)과 커버판(200)의관통공(220)으로는 진공 흡착에 따른 이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편(130)과 가이드 홈(240)이 대응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0)의 걸이편(330)으로는 수건 걸이봉과 같은 피고정물(500)을 관통 지지하기 위한 구멍(332)이 형성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0)의 걸이편(330)으로는, 비누곽과 같은 피 고정물(500)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334)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0)의 걸이편(330)으로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비누곽 형태의 피 고정물(500)을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축(33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8501U KR200325101Y1 (ko) | 2003-06-12 | 2003-06-12 | 진공 흡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8501U KR200325101Y1 (ko) | 2003-06-12 | 2003-06-12 | 진공 흡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5101Y1 true KR200325101Y1 (ko) | 2003-09-02 |
Family
ID=4933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8501U KR200325101Y1 (ko) | 2003-06-12 | 2003-06-12 | 진공 흡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510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75895A1 (en) * | 2006-12-19 | 2008-06-26 | Young Suck Son | Apparatus for connecting sucking plate and tablewares for table provided with the same |
KR200446406Y1 (ko) * | 2007-10-31 | 2009-10-27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좌변기 변좌의 착탈장치 |
KR20190140583A (ko) | 2018-06-12 | 2019-12-20 | 박현규 | 욕실용 압착행거 |
KR102083126B1 (ko) * | 2019-08-05 | 2020-02-28 | 이정숙 | 진공 흡착구 |
-
2003
- 2003-06-12 KR KR20-2003-0018501U patent/KR2003251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75895A1 (en) * | 2006-12-19 | 2008-06-26 | Young Suck Son | Apparatus for connecting sucking plate and tablewares for table provided with the same |
KR200446406Y1 (ko) * | 2007-10-31 | 2009-10-27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좌변기 변좌의 착탈장치 |
KR20190140583A (ko) | 2018-06-12 | 2019-12-20 | 박현규 | 욕실용 압착행거 |
KR102083126B1 (ko) * | 2019-08-05 | 2020-02-28 | 이정숙 | 진공 흡착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308995A1 (en) | Multi-purpose hanging device adapted for anchoring on a mounting wall | |
KR200325101Y1 (ko) | 진공 흡착구 | |
JP4415286B1 (ja) | 物掛け用ポール受具 | |
JP2009213678A (ja) | 物品保持具 | |
KR101127041B1 (ko) | 거울 선반 | |
KR20180034865A (ko) | 비누홀더 | |
CN215053632U (zh) | 一种挂便器安装机构 | |
CN204500283U (zh) | 一种挂物架 | |
KR101623307B1 (ko) |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 |
KR100431497B1 (ko) | 물품걸이용 벽면 고정장치 | |
KR200262176Y1 (ko) | 흡착식 샤워기 걸이구 | |
CN219048204U (zh) | 一种卫浴挂件 | |
KR200418583Y1 (ko) | 흡착식 칫솔걸이 | |
US2340274A (en) | Fixture | |
KR200369508Y1 (ko) | 샤워기 홀더 | |
KR200183631Y1 (ko) | 욕실용품 지지대 | |
KR20080004131U (ko) | 탈부착이 용이한 선반 | |
KR101427373B1 (ko) |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 |
KR100776318B1 (ko) | 회전에 의한 흡착 및 제거 기능을 갖는 흡착식 걸이구 | |
CN212200616U (zh) | 一种淋浴管固定座 | |
CN215815147U (zh) | 一种吊镲架超级快拆组件 | |
JP3060248U (ja) | キー又は工具ホルダ | |
CN213019536U (zh) | 一种用于灯具的快装卸手柄 | |
JP3099941U (ja) | 吸着ホルダ | |
KR102110653B1 (ko) | 욕실용 압착행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