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31Y1 - 욕실용품 지지대 - Google Patents

욕실용품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31Y1
KR200183631Y1 KR2019980000969U KR19980000969U KR200183631Y1 KR 200183631 Y1 KR200183631 Y1 KR 200183631Y1 KR 2019980000969 U KR2019980000969 U KR 2019980000969U KR 19980000969 U KR19980000969 U KR 19980000969U KR 200183631 Y1 KR200183631 Y1 KR 200183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support
connector body
bathroo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676U (ko
Inventor
양병호
Original Assignee
양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호 filed Critical 양병호
Priority to KR2019980000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631Y1/ko
Publication of KR980000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휴지나 컵 및 비누나 수건등을 걸거나 받쳐줄때에 사용되는 욕실용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휴지나 컵 및 비누와 수건등을 걸거나 받쳐줄 때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설치하도록 이면에는 접착지를 부착시켰고, 전면 양측에는 못등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에는 내측에 각각의 돌기를 형성시킨 끼움구를 형성시켜서된 고정체와, 후방내측에는 상기 끼음구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덧살부를 형성시켰고 전방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나사부를 형성시켜서된 연결구몸체와, 상기 연결구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두루마리 휴지를 끼울수 있도록 하단부에는 체결부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화장지받침판을 형성시키며, 상기 화장지받침판의 상면 중앙에는 화장지가 끼워지는 환봉을 형성시켜서 된 화장지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품 지지대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휴지나 컵 및 비누나 수건등을 걸거나 받쳐줄때에 사용되는 욕실용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휴지나 컵 및 비누와 수건등을 걸거나 받쳐줄 때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휴지걸이대는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본체(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구(10a)상에 덮개(10b)가 설치된 휴지걸이구(10c)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컵을 받쳐주고자 할 때에는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대본체(11)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구(11a)상에 링형상으로 된 컵받침대(11b)를 장착하여 컵(11c)의 저부를 안착시킨후 사용하며, 비누를 올려놓고 사용할때에는 도 1c에서 도시된바와같이 지지대본체(1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구(12a)에 비누받침대(12b)를 설치하고 이 비누받침대(12b)상에 비누받침구(12c)를 올려놓은 다음 사용한다.
또한 수건을 걸어놓고 사용할 때에는 도 1d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 설치된 지지대본체(13)의 선단에 형상된 고정구(13a)에 수건걸이봉(13b)을 설치한 후 이에 수건을 걸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종래의 지지대본체와 목적물을 걸거나 받쳐주는 구성품들은 한번 결합하면 분해하기가 어려워 사용도중 일부분이 훼손되거나 파손되게 되면 전체를 패기처분하고 다시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함으로 그에 따른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지지대본체들은 지지대본체자체의 분해결합이 난해하고 벽면에 부착설치하기가 어려워 설치후 필요에 따라 이를 해체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지지대본체들은 금속재에 고가의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단가의 상승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가격역시 고가가되어 소비자에게 가격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하나의 지지대본체에 여러종류(휴지걸이구, 컵받침대, 비누받침대, 수건걸이봉)의 것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본체 자체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도중 어느 일부분이 훼손되거나 파손되었다 해도 그 훼손되거나 파손된 부분의 구성품만 교환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벽면에 부착시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한 구성을 갖춘 욕실용품 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설치하도록 이면에는 접착지를 부착시켰고, 전면 양측에는 못등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에는 내측에 각각의 돌기를 형성시킨 끼움구를 형성시켜서된 고정체와, 후방내측에는 상기 끼음구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덧살부를 형성시켰고 전방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나사부를 형성시켜서된 연결구몸체와, 상기 연결구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두루마리 휴지를 끼울수 있도록 하단부에는 체결부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화장지받침판을 형성시키며, 상기 화장지받침판의 상면 중앙에는 화장지가 끼워지는 환봉을 형성시켜서 된 화장지고정구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구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저부에 체결부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컵이나 비누갑의 저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를 형성시켜서 된 재치대를 형성시켜 컵이나 비누갑등을 선택적으로 안착시킨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 다른 특진은 연결구몸체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수건걸이봉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전방에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된 고정구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도 1a,b,c,d는 종래의 욕실용품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욕실용품 지지대에 휴지걸이구를 체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욕실용품 지지대에 휴지걸이구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욕실용품 지지대에 컵받침대나 비누받침대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욕실용품 지지대에 수건걸이봉을 체결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욕실용품 지지대에 수건걸이봉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고정체 21 : 접착지
22 : 구멍 23 : 끼움구
24 : 돌기 30 : 연결구 몸체
31 : 덧살 32 : 나사부
40 : 화장지고정구 41 : 체결부
42 : 화장지 받침판 43 : 환봉
50 : 재치대 51 : 체결부
52 : 수용부 60 : 고정구
61 : 탄성편 62 : 수건걸이봉
본 고안의 도 2는 욕실용품 지지대에 휴지걸이구를 체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욕실용품 지지대에 휴지걸이구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욕실용품 지지대에 컵받침대나 비누받침대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욕실용품 지지대에 수건걸이봉를 체결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욕실용품 지지대에 수건걸이봉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먼저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체(20)를 형성시키되, 이면에는 접착지(21)를 부착시켰고, 전면 양측에는 못등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22)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에는 내측에 각각의 돌기(24)를 형성시킨 끼움구(23)를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끼움구(23)에 끼워지는 연결구뭄체(30)를 형성시키되, 이 연결구몸체(30)의 후방내측에는 상기 끼음구(23)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24)와 결합되어 연결구몸체(3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덧살부(31)를 형성시켰고 전방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나사부(32)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몸체(30)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두루마리 휴지를 끼울수 있도록 하는 화장지고정구(40)를 형성시키되, 이 화장지고정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부(32)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41)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화장지받침판(42)을 형성시키며, 상기 화장지받침판(42)의 상면 중앙에는 화장지가 끼워지는 환봉(43)을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몸체(3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2)에 체결되도록 저부에 체결부(51)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컵이나 비누갑의 저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52)를 형성시켜서 된 재치대(50)를 형성시켜 컵이나 비누갑등을 선택적으로 안착시킨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몸체(30)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수건걸이봉(62)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전방에 다수의 탄성편(61)이 형성된 고정구(6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두루마리 휴지를 걸고 사용할 수 있는것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고정체(30)를 욕실의 벽면에 부착해야하는데, 이때에는 고정체(20)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지(21)를 벽면에 부착시켜 1차고정한 다음 양측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하여 못이나 나사못 등으로 최종적으로 고정시킨다.
그후 상기 고정체(20)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구(23)에 연결구몸체(30)의 후방부를 끼워서 결합하는데 이때의 결합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기 끼움구(23)의 내측에는 상하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각각을 돌기(24)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구 몸체(30)의 후방부 내측에 형성된 덧살부(31)가 상기 돌기(24)를 수용하도록 체결되 연결구 몸체(30)가 체결후 회전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 몸체(30)의 전방에 상향하도록 형성된 나사부(32)에는 화장지 고정구(40)를 체결하되, 이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저부에 형성된 체결부(41)와 나사부(32)를 체결한 후 환봉(43)에 화장지를 끼우게 되며 회장지의 저부는 화장지 받침판(42) 상에 걸치게 되어 도 3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장지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화장지의 선단부를 잡고 잡아당기면 환봉(43)을 축으로 화장지가 회전하면서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누나 컵등을 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치대(50)와 나사부(32)를 상호 체결한후 상기 재치대(50)에 컵이나 비누갑을 선택전으로 올려놓은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수건걸이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나사부(32)에 고정구(60)의 후방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후 전방에 다수로 형성된 탄성편(61)을 수건걸이봉(62)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여 삽입하면 탄성편(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건걸이봉(62)이 긴밀히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받침대본체에 여러종류(휴지걸이구, 컵받침대, 비누받침대, 수건걸이대)의 것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받침구본체 자체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도중 어느 일부분이 훼손되거나 파손되었을 때에도 그 부분의 구성품만 교환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벽면에 부착시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할 수 있어 사용상의 실용성을 갖추었다.

Claims (3)

  1. 벽면에 고정설치하도록 이면에는 접착지(21)를 부착시켰고, 전면 양측에는 못등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22)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에는 내측에 각각의 돌기(24)를 형성시킨 끼움구(23)를 형성시켜서된 고정체(20)와, 후방내측에는 상기 끼음구(23)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24)와 결합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덧살부(31)를 형성시켰고 전방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나사부(32)를 형성시켜서된 연결구몸체(30)와, 상기 연결구몸체(30)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두루마리 휴지를 끼울수 있도록 하단부에는 체결부(41)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화장지받침판(42)을 형성시키며, 상기 화장지받침판(42)의 상면 중앙에는 화장지가 끼워지는 환봉(43)을 형성시켜서 된 화장지고정구(40)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욕실용품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몸체(3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2)에 체결되도록 저부에 체결부(51)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부에는 컵이나 비누갑의 저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52)를 형성시켜서 된 재치대(50)를 형성시켜 컵이나 비누갑등을 선택적으로 안착시킨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품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몸체(30)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32)에 나사결합되어 수건걸이봉(62)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전방에 다수의 탄성편(61)이 형성된 고정구(60)를 형성시켜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욕실용품 지지대.
KR2019980000969U 1998-01-30 1998-01-30 욕실용품 지지대 KR200183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969U KR200183631Y1 (ko) 1998-01-30 1998-01-30 욕실용품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969U KR200183631Y1 (ko) 1998-01-30 1998-01-30 욕실용품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6U KR980000676U (ko) 1998-03-30
KR200183631Y1 true KR200183631Y1 (ko) 2000-06-01

Family

ID=1953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969U KR200183631Y1 (ko) 1998-01-30 1998-01-30 욕실용품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6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6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800B1 (en) Paper holding device
US5402978A (en) Spare toilet tissue holder apparatus
US1962739A (en) Fixture attachment
US5664751A (en) Article holder
US20020023993A1 (en) Wall mountable accessory assembly
KR200183631Y1 (ko) 욕실용품 지지대
KR20180034865A (ko) 비누홀더
KR100431497B1 (ko) 물품걸이용 벽면 고정장치
JPS5818790Y2 (ja) 衛生設備室における受け具
KR200325101Y1 (ko) 진공 흡착구
KR200201292Y1 (ko) 욕실용 물품걸이 지지구
KR200306731Y1 (ko) 욕실용 물품걸이 고정구
KR20100021128A (ko) 잡지꽂이 겸용 휴지걸이
KR200320354Y1 (ko) 욕실용품 지지대 체결구
JP5061684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JPH0114230Y2 (ko)
KR200306730Y1 (ko) 욕실용 물품걸이 고정구
US2340274A (en) Fixture
CN219048204U (zh) 一种卫浴挂件
KR200263037Y1 (ko) 조립식 고정대
KR200254623Y1 (ko) 비누 걸이구
KR20090060464A (ko) 욕실용품 지지대 체결구
JPH047828Y2 (ko)
CN209798912U (zh) 一种淋浴管固定座
KR200237568Y1 (ko) 가구 설치용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