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70Y1 -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 Google Patents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70Y1
KR200324970Y1 KR20-2003-0018277U KR20030018277U KR200324970Y1 KR 200324970 Y1 KR200324970 Y1 KR 200324970Y1 KR 20030018277 U KR20030018277 U KR 20030018277U KR 200324970 Y1 KR200324970 Y1 KR 200324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lver
electrolytic tube
soft water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Original Assignee
박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영 filed Critical 박시영
Priority to KR20-2003-0018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온교환수지층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후 즉시 전해관을 통과하면서 단시간에 은 이온수로 제조되고, 제조된 은 이온수가 정체되는 시간 없이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수와 은 이온수의 효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은 이온수의 살균 및 항균 기능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층(110)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입수구(101)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층(110)을 통과하면서 처리된 연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03)가 구비된 연수탱크(100)와, 상기 출수구(103)를 통해 연수탱크(100)에 연결 설치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되는 연수에 은 이온을 공급하는 은이온 발생기(200)을 포함하며,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는 상기 연수탱크(100)의 출수구(103)와 연결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연수가 그 내부로 흐르도록 된 전기전도성 금속재질의 전해관(220)과, 이 전해관(220)의 내부에 전해관(220) 내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길이의 은 양극체(240)와, 이 은 양극체(240)와 상기 전해관(220)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어 은 양극체(240)를 전해관(220)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전기절연체 재질의 스페이서(230)와, 상기 전해관(220)에는 음극, 상기 은양극체(240)에는 양극이 인가되도록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250)을 포함하는 은 이온수 순간 제조기능이 구비된 연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A soft water maker having the function of instant manufacture of silver ion water}
본 고안은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온교환수지층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후 즉시 전해관을 통과하면서 단시간에 은 이온수로 제조되고, 제조된 은 이온수가 정체되는 시간 없이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수와 은 이온수의 효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은 이온수의 살균 및 항균 기능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불순물 중에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중탄산, 황산, 염소, 철, 망간 등의 이온물질이 많이 포함된 물을 흔히 센물 또는 경수라 하고, 상기한 이온물질이 상대적으로 적은 물을 단물 또는 연수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이중에서 연수는 경수에 비하여 피부미용이나 피부염 예방에 좋고, 세탁물의 세척효과가 우수하며, 식물의 성장에도 도움이 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인위적으로 연수로 변화시키는 장치인 연수기의 사용도 급속히 늘어가고 있는데, 통상의 연수기는 상수도 등의 급수원과연결된 탱크 내부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이온교환수지가 흡착층을 이루도록 소정량 충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급수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기 이온교환수지층에 통과시켜 이온물질이 제거된 연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연수기에 공급되는 원수에는 상기한 이온물질 이외에도 세균과 이 세균의 영양물질이 되는 불순물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이온교환수지층을 통한 물의 흐름은 지속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온교환수지층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오히려 인체에 유해한 물을 만들어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연수기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교체와 탱크 내부의 세척 및 소독 등이 자주 필요하여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 및 노력이 소요되며, 조금만 관리가 소홀해도 심각한 위생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은 이온이 소정 농도로 함유된 물, 즉 은 이온수는 살균작용과 항균작용에 있어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효능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은 이온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은 이온수 제조장치는 통상 급수원과 연결된 상자형 또는 원통형의 비전도성 전해조 내부에 긴 판이나 봉 형태의 고순도 은으로 만들어진 양극체와 음극체가 이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양극체와 음극체가 잠기도록 물을 공급하고, 양극체와 음극체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면 전기분해에 의해 전해조 내부의 물에 은 이온이 생성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은 이온수 제조장치는 은 양극체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이 전해조 내부에 담겨 정체된 상태의 물에 혼합되어 은 이온수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적정 농도의 은 이온수가 제조되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되어 충분한 양의 은 이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전해조 및 다수의 은 양/음극체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장치의 대형화가 필연적이며, 제작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연수기에 이러한 은 이온수 제조장치를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은 이온수 제조장치는 은 이온수가 제조되는 동안 적정 농도가 될 때까지 전해조에 수용되어 있게 되므로, 생성 중인 은 이온수가 공기 중의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어 특유의 살균 및 항균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연수기에 적용되기가 더욱 어려웠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온교환수지층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후 즉시 전해관을 통과하면서 단시간에 은 이온수로 제조되고, 제조된 은 이온수가 정체되는 시간 없이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수와 은 이온수의 효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은 이온수의 살균 및 항균 기능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은이온 발생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수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 : 급수관 100 : 연수탱크
109 : 연결관 110 : 이온교환수지
111 : 배출관 200 : 은이온 발생기
210 : 케이싱 220 : 전해관
230 : 스페이서 240 : 은 양극체
250 : 전원공급부 252 : 전원제어장치
270 : 유수감지장치 271 : 관체
277 : 회동커넥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층(110)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입수구(101)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층(110)을 통과하면서 처리된 연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03)가 구비된 연수탱크(100)와, 상기 출수구(103)를 통해 연수탱크(100)에 연결 설치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되는 연수에 은 이온을 공급하는 은이온 발생기(200)을 포함하며,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는 상기 연수탱크(100)의 출수구(103)와 연결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연수가 그 내부로 흐르도록 된 전기전도성 금속재질의 전해관(220)과, 이 전해관(220)의 내부에 전해관(220) 내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길이의 은 양극체(240)와, 이 은 양극체(240)와 상기 전해관(220)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어 은 양극체(240)를 전해관(220)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전기절연체 재질의 스페이서(230)와, 상기 전해관(220)에는 음극, 상기 은 양극체(240)에는 양극이 인가되도록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250)을 포함하는 은 이온수 순간 제조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압공급수단(250)과 전해관(220) 및 은 양극체(240)가 이루는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관(220)과 연통된 수통로(211) 일측에 설치되어 전해관(220)을 통한 물흐름에 따라 전압공급수단(250)과 전해관(220) 또는 전해관(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유수감지수단(270)을 더 포함하는 은 이온수 순간 제조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은이온 발생기(20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수기는, 그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층(110)이 구비되며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연수로 변화시키는 한 쌍의 연수탱크(100)와, 상기 연수탱크(100)와 연결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공급된 연수에 은 이온을 공급하는 은이온 발생기(2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수탱크(1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층(110)을 이루는 입자를 지지하는 메쉬망(105)이 설치되며, 그 저부에는 입수구(101)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방부에는 출수구(103)가 형성된다. 각 연수탱크(100)의 입수구(101)에는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107)이 연결되고, 양측 연수탱크(100)의 출수구(103)에는 각 연수탱크(100) 내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관(109)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109)의 중앙부 하측에는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가 연결되는 연결구(109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급수관(107)을 통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연수탱크(10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층(110)을 통과하면서 연수로 변화된 후 상기 연결관(109)을 통해 은이온 발생기(200) 내부로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는 연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된 연수를 전해액으로 하여 은을 전리시킴으로써 그 내부로 이송되는 연수에 은이온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09)의 연결구(109a)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는 배출관(111)이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109a)와 배출관(111)을 연통시키는 수통로(211)가 형성된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통로(211)를 따라 삽입 설치되며 그 내부를 통해 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전해관(220)과, 이 전해관(220)의 내부에 전해관(220) 내벽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봉 형태로 이루어진 은 양극체(240)와, 이 은 양극체(2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전해관(2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스페이서(230)와, 상기 전해관(220)에는 음극이, 상기 은 양극체(240)에는 양극이 인가되도록 전기분해를 위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해관(220)은 그 내부를 통해 이송되는 연수를 전해액으로 하여 상기 은 양극체(240)의 전기분해를 위한 음극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기전도성 및 내식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은 양극체(240)는 전해관(220) 및 그 주위를 흐르는 물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의해 자체가 전기분해되어 이송되는 물에 은 이온을 공급하는 것으로, 순도 99.99% 이상의 고순도 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사각 단면 형태를 갖는 막대나 얇은 판형 막대 등 다양한 단면형태를 갖는 바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설치 개수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아닌 복수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30)는 합성수지 등의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전해관(220)의 내벽면과 은 양극체(240)를 절연시키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은 양극체(240)가 이송되는 물과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해관(220) 내벽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돌기(2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250)에는 직류전원에 연결된 전원제어장치(252)가 구비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수동식 또는 자동식의 스위치가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은 이온수의 은 이온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 소정의 제어값으로 미리 설정된 여러 단계의 공급전압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압수동가변회로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은 양극체(240)가 가늘어져 은 이온의 전리작용이 둔화되는 것을 보완하여 은 이온수의 은 이온 농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 은 양극체의 유도전압을 감지하여 소정의 보정치로 공급전압을 자동적으로 보정 증대시킬 수 있는 전압자동가변회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수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급수관(107)을 통해 상수도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연수탱크(100)에 원수가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층(110)을 통과하면서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이온이 제거되어 연수로 변화된다. 이어서, 상기 연수는 연결관(109)을 통해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의 케이싱(21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해관(220)의 내부를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 의하여 상기 전해관(220)에는 음극이, 상기 은 양극체(240)에는 양극의 직류전압이 소정 크기로 제어되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해관(220) 내부로 흐르는 연수를 전해액으로 하여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 사이에 전리작용이 발생하여 은 양극체(240)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은 양극체(240)에서 발생한 은 이온은 전해관(220)을 통해 흐르는 연수에 용해되어, 전해관(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수는 은 이온이 적정 농도로 함유된 은 이온수로 변화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한 은 이온수 제조과정 중에,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전리작용이 중지되어 연수의 이온화 작용도 중지된다. 즉,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의 온/오프에 따라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이 은이온이 포함된 연수가 될 수도 있고, 은이온이 포함되지 않은 연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수기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연수탱크(100)를 통과하면서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연수화된 후 즉시 은이온발생기(200) 내부로 공급되어,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 사이를 따라 흐르면서 단시간에 은 이온수로 제조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소형화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연수와 은 이온수의 효능을 동시에 갖는 물을 충분한 양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연수탱크(100) 내부의 세균이 은 이온수의 항균효과에 의해 멸균되어 위생적으로도 고품질의 기능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된 물이 계속적으로 흐르면서 은 이온수로 제조되어 정체됨 없이 곧바로 사용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생성 중인 은 이온수의 산화에 의한 효능 저하가 방지되어 은 이온수 특유의 살균 및 항균 효과를 온전히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30)는 작동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은 양극체(240)가 가늘어져도 전해관(220)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형태 뿐 아니라, 상기 은 양극체(240)와 전해관(2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전체적으로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외측으로 연수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여러 가지 형태의 절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은 이온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은 이온수 생성속도를 높이고, 물의 공급에 따라 자동으로 은 이온수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으로, 벽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비전도성 재질의 장방형 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급수관(107)을 통해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연수탱크(100)와, 이 연수탱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베이스판(10) 전면부에 장착되며 연수탱크(100)의 출수구(103)에 연결관(109)을 통해 연결된 은이온 발생기(200)와, 상기 연수탱크(100) 및 은이온 발생기(2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판(10) 전면부에 결합된 외장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는 베이스판(10)의 전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각 비전도성 고정클립(30)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전해관(220)과, 각 전해관(220)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은 양극체(240)와, 상기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 사이에 삽입 설치된 절연용 스페이서(230)와, 상기 외장커버(20)의 배면부에 설치되며 직류전원과 상기 전해관(220) 또는 은 양극체(240)에 연결되어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252)와, 상기 전해관(220)과 연결관(109)의 연결부에 설치되며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와 전해관(220) 및 은 양극체(24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유수감지장치(270)로 구성된다.
상기 전해관(220)의 상하단에는 각각 나사부(221)가 형성되어, 좌측 전해관(220)의 하단에는 상기 유수감지장치(270)가 결합되고, 우측 전해관(220')의 하단에는 배출관(111)이 연결되며, 각 전해관(220)의 상단부는 비전도성 재질의 관수연결관(260)에 의하여 수밀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유수감지장치(270)는 상기 전해관(22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관체(271)와, 이 관체(271)의 내측벽면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외부의 직류전원에 연결된 양전극(273) 및 음전극(274)과, 상기 관체(271)의 내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양전극(273)과 음전극(274)에 동시 접촉되어 통전시키는 회동커넥터(277)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271)를 통해 물이 흐르게 되면 상기 회동커넥터(277)가 상향 회동되어 상기 은 양극체(240)와 전해관(220)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253은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의 조작을 위한 콘트롤패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은 이온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상기 연수탱크(100)를 통과하면서 이온교환에 의해 연수화 된 후, 상기 유수감지장치(270), 좌측 전해관(220), 관수연결관(260), 우측 전해관(220) 및 배출관(111)을 차례로 거쳐서 급수대 등의 소정 사용처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장치(252)에 의해 전원이 OFF 되면 일반적인 연수기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즉, 전해관(220)들과 은 양극체(240)에 전원이 차단되어 은이온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연수탱크(100)에서 연수화된 상태 그대로의 것이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원제어장치(252)를 ON 시키면, 외부로부터 원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회동커넥터(277)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에 전압 공급이 차단되고, 외부로부터 원수 유입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회동커넥터(277)가 상향 회동되어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에 전압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리작용에 의해 연수화된 물에 은 이온이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이 연수화된 은 이온수 상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연수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수와 은 이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원수의 공급 여하에 따라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인가되거나 차단되므로 전력 및 은 양극체의 필요 없는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 상기 유수감지장치(27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고안에서 상기 유수감지장치(270)는 전해관(220) 내부를 통한 물의 흐름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 및 차단하는 통상의 스위치로 대치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물의 흐름에 따라 운동되는 기계적 유수 감지수단 또는 유속 감지 센서 등의 전기적 유수 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연수탱크(100)의 후단의 수통로 상에 파이프 형의 전해관(220) 및 바아형의 은 양극체(240)를 설치하여 연수화된 물이 전해관(220)과 은 양극체(240)를 따라 흐르면서 단시간에 은 이온수로 제조되고, 제조된 은 이온수가 정체되는 시간 없이 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수와 은 이온수의 효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은 이온수의 살균 및 항균 기능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제어장치(252)의 조작에 따라 일반적 연수와 은이온이 함유된 연수의 공급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해관(220)에 연결 설치된 유수감지장치(270)에 의해 물의 흐름에 따라 전원공급이 자동으로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이 편리한 동시에 전력과 은 양극체(240)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층(110)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입수구(101)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층(110)을 통과하면서 처리된 연수가 배출되는 출수구(103)가 구비된 연수탱크(100)와, 상기 출수구(103)를 통해 연수탱크(100)에 연결 설치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되는 연수에 은 이온을 공급하는 은이온 발생기(200)을 포함하며, 상기 은이온 발생기(200)는 상기 연수탱크(100)의 출수구(103)와 연결되어 연수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연수가 그 내부로 흐르도록 된 전기전도성 금속재질의 전해관(220)과, 이 전해관(220)의 내부에 전해관(220) 내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길이의 은 양극체(240)와, 이 은 양극체(240)와 상기 전해관(220)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어 은 양극체(240)를 전해관(220)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전기절연체 재질의 스페이서(230)와, 상기 전해관(220)에는 음극, 상기 은 양극체(240)에는 양극이 인가되도록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250)을 포함하는 은 이온수 순간 제조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수단(250)과 전해관(220) 및 은 양극체(240)가 이루는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관(220)과 연통된 수통로(211) 일측에 설치되어 전해관(220)을 통한 물흐름에 따라 전압공급수단(250)과 전해관(220) 또는 전해관(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유수감지수단(270)을 더 포함하는 은 이온수 순간 제조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KR20-2003-0018277U 2003-06-11 2003-06-11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KR200324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77U KR200324970Y1 (ko) 2003-06-11 2003-06-11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77U KR200324970Y1 (ko) 2003-06-11 2003-06-11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970Y1 true KR200324970Y1 (ko) 2003-08-27

Family

ID=4941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277U KR200324970Y1 (ko) 2003-06-11 2003-06-11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KR101015728B1 (ko) 수처리 장치
KR100597503B1 (ko) 은이온수 제조장치
JP5595213B2 (ja) 殺菌水製造装置および殺菌水の製造方法
US8062485B2 (en) Water treatment device
WO2006001115A1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機器並びに洗濯機
CN204625269U (zh) 具有自净化功能的饮用水电解反应器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CN104628093A (zh) 具有自净化功能的饮用水电解反应器
CN105692815A (zh) 中央净水器
KR200324970Y1 (ko) 은 이온수 순간 제조 기능이 구비된 연수기
KR100746826B1 (ko) 은 이온수 순간 제조장치
JP2573143B2 (ja) 滅菌水製造装置
KR20020090178A (ko) 은 이온수 순간 제조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은이온수 순간 샤워장치
JP3056511B2 (ja) 被処理水の処理装置
JP3014427B2 (ja) 被処理水の処理方法
JPH11104642A (ja) インライン塩素発生電解装置及びそのスペーサーと該装置を用いた被処理水の電解処理方法及びカップ式飲料製造装置
CN217377400U (zh) 一种电解水消毒装置
JP2000126775A (ja) 電解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73425A (ja) 小型化が可能な電解水製造装置
KR100639837B1 (ko) 이온수 제조방법 및 이온수 제조장치
JP3664274B2 (ja) 被処理水の電解処理方法
KR20050029132A (ko) 은 이온수 순간 제조방법과 장치
JP3020551B2 (ja) 微生物を含む被処理水の電気化学的処理方法
JP2000084561A (ja) 電解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