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29Y1 - 액상의 약 도포기 - Google Patents

액상의 약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29Y1
KR200324929Y1 KR20-2003-0016879U KR20030016879U KR200324929Y1 KR 200324929 Y1 KR200324929 Y1 KR 200324929Y1 KR 20030016879 U KR20030016879 U KR 20030016879U KR 200324929 Y1 KR200324929 Y1 KR 200324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edicine
applicator
flow
h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오
Original Assignee
김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오 filed Critical 김영오
Priority to KR20-2003-0016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 약제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내부에 구비한 가늘고 긴 형상의 복수의 빗살 형상의 분배기와, 상기 액상 약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유로를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액상약제의 유동속도를 조절하는 유동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액상 약 도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의 약 도포기{TOOL FOR APPLYING LIQUID MEDICINE}
본 고안은 액상의 약을 도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모제 등과 같이 두피에 바르는 액상의 약을 머리카락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배 및 도포할 수 있는 액상 약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약, 예를 들면, 발모제 등을 두피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어려운 점이 많다.
먼저, 발모제를 바르려고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머리에 아직 많은 수의 머리카락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 머리카락의 방해로 인해 약을 두피 표면에 도달시키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한 손으로 머리카락을 제치고, 다른 한 손으로 약을 도포하는 식의 번거로운 방법으로 도포작업을 행해야 한다.
또한, 탈모부위는 환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거울을 보며 도포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 역시 자연스럽지 못하여 도포작업에 예를 들면 수십분 정도의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한다. 그러나, 바쁜 현대 생활에 있어서 약을 도포하기 위해 이러한 시간을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두피에 약을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액상의 약을 두피에 도포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액상 약제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내부에 구비한 가늘고 긴 형상의 복수의 빗살 형상의 분배기와, 상기 액상 약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유로를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액상약제의 유동속도를 조절하는 유동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액상 약 도포기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액상의 약은 발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 약 도포기는 상기 분배기의 상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조절수단은 상기 액상 약제 수용부에 배치된 다공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액상 약 도포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상 약 도포기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도포기 마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포기 마개의 4-4'선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액상 약 도포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상 약 도포기
12: 몸체
14: 분배기
18: 액상 발모제
19: 약실
20: 제1 유동지연재
22: 제2 유동지연재
30: 도포기 마개
32: 마개 몸체
34: 수용구
36: 돌출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액상의 약을 두피에 도포하는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액상의 약으로서 발모제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구는 발모제뿐만 아니라 두피에 도포하는 액상의 다른 약의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포 기구(10)는 내부에 발모제(18)를 수용하는 약실(19)이 형성된 몸체(12), 몸체(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빗살 형상의 분배기(14), 그리고 약실(19)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발모제(18)의 유동속도를 지연시키는 제1 유동지연재 및 제2 유동지연재(20, 22)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빗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2)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가요성 부재(flexible member)로 형성되어 내부의 약실(19)의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몸체(12)를 가압함으로써 약실(19)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반복된 사용에 의해 약실(19)의 발모제(18)의 양이 줄어들면, 발모제(18)의 자중의 감소로 인해 발모제(18)의 유출 속도가 떨어져 도포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약실(19)의 체적을 감소시켜 내부 압력을 높이고 이러한 압력 증가에 의해 발모제(18)의 유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분배기(14)는 빗살 모양의 가늘고 긴 형태의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12)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분배기(14)의 내부에는 약실(19)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유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24)의 직경은 적절한 발모제(18) 유출속도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발모제(18)의 점성이 큰 경우에는 직경을 크게 하고, 발모제 도포 부위의 면적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직경을 작게 하여 발모제가 조금씩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빗살과 같은 형태로 유로(24)를 배치함으로써 한 번에 넓은 영역에 걸쳐 발모제(18)를 분배시키고 또한 머리카락 등의 방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배기(14)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2렬 이상의 다중 렬 혹은 지그재그 등의 다양한 배치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약실(19)에 수용된 발모제(18)가 약실(19)로부터 유로(24)를 거쳐 외부로 유출될 때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약실(19)에는 제1 유동지연재(20) 및 제2 유동지연재(22)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유동지연재(20)는 유로(24)를 폐쇄하는 위치의 약실(19)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스폰지 등과 같은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제2 유동지연재(22)는 제1 유동지연재(20)와 유로(2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여과지 등과 같은 얇은 다공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유동지연재(22)는 발모제(18)를 여과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응고되기 쉬운 발모제(18)의 경우, 응고된 부분이 유로(24)에 진입하여 유로(24)를 폐색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 및 4에는 본 고안의 도포기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분배기(14)의 유로(24)를 폐쇄하는 도포기 마개(30)가 도시되어 있다. 도포기 마개(30)는 마개 몸체(32)와, 몸체에 형성된 분배기(14)와 동수의 복수의 수용구(34)를 포함한다. 수용구(34)의 배치는 분배기(14)의 배치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꼭 일렬일 필요 없으며, 분배기(14)의 배치 형태에 따라 그배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4-4'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수용구(34)는 분배기(14)의 외형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닥에 유로(24)를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돌출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용구(34)의 형태를 분배기(14)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포기 마개(30)와 도포기(10)는 압입 관계로 견고하게 서로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돌출부(36)의 직경은 돌출부(36)가 유로(24) 내부로 삽입 가능하면서도 둘 사이에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결정된다. 유로(24)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남은 발모제(18)의 응고 혹은 증발을 방지할 수 있고, 부주의하게 발모제(18)가 누출되어 의류 등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액상의 약 도포기(1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모제 등의 약을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포기 마개(30)를 열어 발모제 도포 부위의 두피에 도포기(10)를 위치시키고 빗질과 유사한 형태로 도포기(10)를 이동시켜 머리카락 사이로 두피에 발모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빗살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분배기(14)는 머리카락에 의한 도포동작의 방해를 자연스럽게 피할 수 있게 한다. 도포과정에서 제1 및 제2 유동지연재(20, 22)는 발모제(18)의 급격한 유출을 방지하면서 적절한 유동속도를 유지시켜 일정한 유량으로 발모제가 두피에 고루 도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약실(19) 내부에 발모제(18)가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서와 같이 발모제의 유출속도가너무 느린 경우에는 사용자가 몸체(12)를 가압하여 유출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발모제 도포가 끝난 후에는 도포기 마개(30)의 수용구(34) 안으로 도포기(10)의 분배기(14)를 삽입 수용시켜 돌출부(36)에 의해 유로(24)를 폐쇄시키고 도포기(10)를 사용자 의복의 주머니 등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도포기(10)는 약실에 약을 수용한 상태로 출시되어 약의 최종 소비가 끝난 후 버리는 식의 일회용 제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몸체(12)는 약액을 보충할 수 있는 별도의 유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용도의 별도의 유로를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액상의 약 도포기에 의하면 원하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액상의 약을 두피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포기 마개를 구비하여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빗형으로 구성되어 거울을 보지 않고도 빗질과 유사한 동작으로 두피에 약을 도포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액상 약제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내부에 구비한 가늘고 긴 형상의 복수의 빗살 형상의 분배기와,
    상기 액상 약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유로를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액상약제의 유동속도를 조절하는 유동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액상 약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약은 발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약 도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상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액상 약 도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수단은 상기 액상 약제 수용부에 배치된 다공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약 도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약 도포기.
KR20-2003-0016879U 2003-05-30 2003-05-30 액상의 약 도포기 KR200324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79U KR200324929Y1 (ko) 2003-05-30 2003-05-30 액상의 약 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79U KR200324929Y1 (ko) 2003-05-30 2003-05-30 액상의 약 도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929Y1 true KR200324929Y1 (ko) 2003-09-02

Family

ID=4941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79U KR200324929Y1 (ko) 2003-05-30 2003-05-30 액상의 약 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29B1 (ko) 모발용 도포구 및 그 도포구 부착 화장재료 용기
JP4726439B2 (ja) 髪用塗布具及びその塗布具付き化粧料容器
US6378529B1 (en) Application tooth for the hair and/or scalp treatment
US4867183A (en) Dispenser for hair cosmetics
EP0944339B1 (en) Hair styling comb
JP6657050B2 (ja)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US5937873A (en)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KR20010086210A (ko) 유체 도포기
US6450720B1 (en) Applicator and method for applying fluid or paste product to targeted surface
KR200324929Y1 (ko) 액상의 약 도포기
KR102363101B1 (ko) 에센스 브러시
US4846201A (en) Applicator bottle with metering means
WO1988009632A1 (en) Hair treatment liquid delivery apparatus
US8770207B2 (en) Applicator and partial hair dyeing device
AU2000277477B2 (en) Liquid-reservoir hairbrush system
AU2000277477A2 (en) Liquid-reservoir hairbrush system
WO2007100188A1 (en) Cosmetics container for containing cosmetics
EP1092361A1 (en) Application tooth for the hair and/or scalp treatment
KR101171130B1 (ko) 모발용 도포구 및 그 도포구 부착 화장재료 용기
JPS61240905A (ja) 染髪用または整髪用櫛具
US2465014A (en) Comb and liquid container combined
JP3008926U (ja) 毛髪化粧用具
GB2237036A (en) Hair-styling device and method
KR200169580Y1 (ko) 머리빗
KR200357039Y1 (ko) 몸통과 마개 사이의 분리방지구조를 갖는 약 도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