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711Y1 -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711Y1
KR200324711Y1 KR2019980025651U KR19980025651U KR200324711Y1 KR 200324711 Y1 KR200324711 Y1 KR 200324711Y1 KR 2019980025651 U KR2019980025651 U KR 2019980025651U KR 19980025651 U KR19980025651 U KR 19980025651U KR 200324711 Y1 KR200324711 Y1 KR 200324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annealing furnace
roller
continuous annealing
cold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621U (ko
Inventor
김종국
정창교
백훈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71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4Tens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연강판을 소둔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연속 소둔로설비 및 소둔로 전단 또는 후단에서의 설비고장 등으로 갑자기 연속 소둔로 설비가 운전되지 못하는 현상 발생시 고온으로 가열된 소둔로 내부에 있는 냉연강판이 열수축되면서 폭방향으로의 찌그러짐(BUCKLE)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소둔로의 하부에서 소둔로로 인입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되, 프래임상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과, 상기 베어링 블록에 장착되는 강판 유도롤러와, 상기 강판 유도롤러 하부의 스트립 이동경로에 설치되되, 상하이동 가능하게 프래임상에 장착되는 핀치롤러와, 상기 핀치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스트립을 수평방항으로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핀치롤러가 상승시에 상기 핀치롤러와 접하여 있으며,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스트립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이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를 요지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소둔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둔 열처리되는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
본 고안은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연강판을 소둔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연속 소둔로설비 및 소둔로 전단 또는 후단에서의 설비고장 등으로 갑자기 연속 소둔로 설비가 운전되지 못하는 현상 발생시 고온으로 가열된 소둔로 내부에 있는 냉연강판이 열수축되면서 폭방향으로의 찌그러짐(BUCKLE)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의 연속 소둔로 내부에서 롤러(ROLLER)와 롤러(ROLLER)간에 걸쳐있는 냉연강판의 장력에 의한 롤러의 변형 발생을 방지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속 소둔 열처리하는 소둔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둔로 내부에서 강판장력 제거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번호 10은 소둔로이고, 도면번호 20은 방향전환 롤러이고, 도면번호 40은 브라이들 롤러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을 소둔 열처리시키는 소둔로(10)에 있어서는,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냉연강판은 연속 소둔로(10) 내부에서 고온의 온도에 유지된다. 상기 소둔로(10)의 입측으로부터 출측방향으로 냉연강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냉연강판은 목표 온도까지 가열 및 냉각되고, 이때 냉연강판의 이송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개의 롤러가 설치된다.
냉연강판을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BUNNER)와 냉연강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쿨러(COOLER)가 소둔로(10) 내부에 설치되며, 연속 소둔로(10) 전단에는 냉연강판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텐션 브라이들 롤러(TENSION BRIDLE ROLLER)와 냉연강판이 연속 소둔로(10)에 들어가도록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디플렉터 롤러(DEFLREC ROLLER)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연강판의 소둔열처리용 소둔로(10)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냉연강판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둔로(10) 설비, 즉 소둔로(10) 전단 또는 후단 설비의 고장 등에 의한 문제점 발생으로 부득이하게 연속 소둔로(10) 설비를 운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연속 소둔중에 냉연강판에 부여된 장력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냉연강판이 연속 소둔로(10)내부에서 급격하게 열수축되는 과정에서 폭방향으로 찌그러지는 현상(BUCKLEING)이 발생되고, 연속 소둔로 내부의 롤러와롤러간에 걸려있는 냉연강판의 장력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롤러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설비 상의 문제가 발생될 때에는, 운전자가 현장의 패널(PANNEL)에 설치된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연속 소둔로 전단에 설치된 브라이들 롤러(40)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른 작업자가 연속 소둔로 하부에서 치공구를 이용하여 냉연강판(A)을 안내하는 작업 등을 실시해야 된다.
또한, 연속 소둔로를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연속 소둔로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찌그러진 냉연강판을 제거해야 되고, 냉연강판의 장력에 의해 변형된 롤러를 교환 또는 수리해야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 소둔로 설비를 재가동하기 위한 막대한 시간 및 추가비용이 발생되어 냉연강판의 전체 생산성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최적 상태에서의 소둔공정 수행이 어렵고 고품질의 냉연강판 제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속 소둔로 전단에 냉연강판 유도용 롤러 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유도용 롤러 전단에 핀치롤러와 냉연강판 받침대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연속 소둔로 설비 운전중에 급작스런 설비가동 불능현상 발생시 소둔로 내부의 롤러와 롤러간에 걸려 있는 냉연강판의 장력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연속 소둔로 내부에서 냉연강판의 찌그러짐 및 롤러의 변형을 방지하여 냉연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둔 열처리되는 소둔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둔로 내부에서 강판장력 제거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
도 3(a)은 본 고안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장치의 냉연강판 받침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장치의 핀치롤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c)는 본 고안이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제어장치의 유도 롤우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냉연강판 10 : 소둔로
11 : 롤러 20 : 방향전환 롤러
21 : 핀치롤러 22 : 프레임
23 : 실린더 24 : 핀
25 : 베어링 블록 26 : 베어링
27 : 베어링 블록 커버 32 : 커플링
33 : 모터 35 :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
36 : 신호선 37 : 센서
60 : 유도롤러 61 : 프래임
63 : 안내판 66 : 롤러체인
69 : 베어링 블록 71 : 커플링
80 : 받침대 90 : 실린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인입되어 소둔처리되는 연속 소둔로에서, 상기 소둔로의 하부에서 소둔로로 인입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프레임상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과, 상기 베어링 블록에 장착되는 강판 유도롤러와, 상기 강판 유도롤러 하부의 스트립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상하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핀치롤러와, 상기 핀치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스트립을 수평방항으로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핀치롤러가 상승시에 상기 핀치롤러와 접하여 있으며,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스트립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이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고,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장치의 냉연강판 받침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자동제거장치의 핀치롤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소둔로 내부에서의 강판장력 제어장치의 유도롤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냉연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롤러가 소둔로 외부에 설치되고, 연속 소둔로 설비 전단에는 냉연강판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롤러(20; DEFLECTOR ROLLER) 및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에 장력을 부여하는 브라이들 롤러(40; BRIDLE ROLLER)가 설치된다. 또한, 연속 소둔로 설비 전단에는 상기 냉연강판을 안내하는 프레임을 포함한 유도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냉연강판을 강제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핀치롤러는 실린더(CYLINDER)에 의해 방향전환롤러(20)로 밀착시켜 구동되도록 설치되고, 냉연강판이 땅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받침대를 설치하며 각각의 장치마다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SENSOR)가 있어 냉연강판을 강제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상자(CONTROLL BOX)에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어상자에 연결된 모터(MOTOR) 및 실린더, 밸브(VALVE)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연속 소둔로 내부에서 강판의 장력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 각각의 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고,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강판장력 제거장치는 강판 유도롤러(60)와, 핀치롤러(21)와, 받침대(80)로 구성된다.
소둔로(10) 전단에는 냉연강판(A)을 이송하기 위한 핀치롤러(21)에 인접하여 냉연강판(A)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 롤러(20)와, 연속 소둔로(10) 내부에서 냉연강판(A)의 장력을 만들어주는 브라이들 롤러(40)가 설치된다.
또한, 핀치롤러(21)에 의해서 강제로 이송된 냉연강판(A)이 연속 소둔로 전단에서 쌓이지 않게 유도하는 유도롤러(60)는 프레임(61, 63)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61, 63)은 연속 소둔로(10) 전단에 고정된다. 그리고,유도롤러(60)는 베어링 블록(6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블록(69)은 롤러 체인(66)에 의해 모터(72)와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72)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 블록(69)을 이동시키면, 유도 롤러(60)는 냉연강판(A)을 동시에 움직이게 되면서 연속 소둔로(10) 전단에 냉연강판(A)이 쌓이지 않도록 되고 있다.
프레임(63)의 양단에는 센서(7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모터(7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베어링 블록(69)이 센서(73)와 접촉하게 되면 모든 동작이 종료된다. 센서(73)의 터치상태는 신호선에 의해 중앙 운전실에 설치된 제어상자(100)에 전달된다.
냉연강판(A)을 강제로 이송하기 위한 핀치롤러(21)는 핀치롤러(21)를 고정하는 프레임(22) 상부에 베어링(26)이 체결되어 있는 베어링 블록(25)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22) 상부에 조립된 핀치롤러(21)는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35)에 의해 배관(34)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23)에 의해 작동되어 방향전환 롤러(20)에 밀착되도록 된다. 또한, 핀치롤러(21)는 동력 전달용 유니버셜 조인트(31)를 통해 모터(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프레임(22)하단부에 설치된 센서(37)의 신호에 의해 핀치롤러(21)가 방향전환 롤러(20)에 밀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냉연강판(A)용 받침대(80)는, 냉연강판(A)이 핀치롤러(21) 및 유도롤러(60)에 의해 이송될 때, 냉연강판(A)이 땅바닥에 닿아서 냉연강판(A) 표면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핀치롤러(21) 하부에 전개되어 제공된다. 받침대(80) 상부에 플레이트(81, PLATE)를 접시머리볼트(82)로 고정시켜 받침대(80)와 냉연강판(A)의접촉에 의한 긁힘현상(SCRATCH)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는 접이식으로 제작되어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93)에 의해 공급된 공기압에 의해 실린더(90)가 작동됨으로써 그 길이가 가변된다. 받침대(80) 끝단부에 베어링(86)이 조립된 롤러(88)를 설치하여 실린더(90)의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자동제거장치의 작동순서는 중앙 운전실에 설치된 제어상자(100)를 연속 소둔공정에서의 설비고장 등에 의한 문제점 발생시 운전자가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여 운전자가 "시작" 스위치 하나만을 조작하면 냉연강판(A) 받침대(80)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90)에 공기압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에, 받침대(80) 끝부분에 설치된 센서(84)에서 발생된 신호는 센서선(36)에 의해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35)에 전달되어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35)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핀치롤러(21)가 방향전환 롤러(20)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핀치롤러(21)의 프레임(22) 하단부에 설치된 센서(37)의 신호에 의해 핀치롤러(21)용 구동 모터(33)에 전원이 공급되어 핀치롤러(21)를 구동시키도록 하며 핀치롤러(21)의 동작과 동시에 연속 소둔로(10) 하부에 설치된 유도롤러(60)용 모터(72)에도 전원이 공급되면 핀치롤러(21)에 의해서 강제로 이송된 냉연강판(A)이 연속 소둔로(10) 전단에서 연속 소둔로(10) 내부의 냉연강판(A)이 열수축되는 양만큼 루프(LOOP)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속 소둔로(10) 내부에 있는 냉연강판(A)의 장력이 유도롤러(60)의 움직임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연속 소둔로(10) 설비 내부에서 냉연강판(A)의 폭방향으로 찌그러짐 현상발생 및 소둔로 내부에 설치된 롤러의 변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속 소둔로 전단에서 냉연강판(A)이 쌓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유도롤러(60)는 연속 소둔로(10) 전단에 냉연강판(A)의 루프(LOOP)를 만든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연속 소둔로(10) 내부에서의 냉연강판(A)의 장력을 제거한 후 다시 연속 소둔로(10)를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데 있어 간섭 등에 의한 문제점 발생을 없도록 하였다.
또한, 냉연강판 장력제거장치의 동작 중단은 중앙 운전실에 설치된 제어상자(100)의 중지(STOP) 스위치에 의해서 중지되고, 부분동작 종료는 각 장치에 설치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즉, 운전실에 설치된 제어상자(100)에서의 중단 스위치에 의해 모든 동작이 중단되도록 하고 각각의 장치에 연결된 신호선에 의해 각각의 장치에 동작 중지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연속 소둔 설비의 문제점 발생으로 갑작스럽게 연속 소둔로(10)설비를 운전하지 못하는 문제점 발생시에 고온으로 가열된 냉연강판(A)의 열수축에 의한 냉연강판(A)의 폭방향으로의 찌그러짐(BUCKLE)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고온의 온도에서 냉연강판(A)의 장력에 의해 냉연강판(A) 이송용 롤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소둔 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연속 소둔로에서 냉연강판을 연속 소둔처리시 연속 소둔로 및 연속 소둔로 전후단의 설비 고장 등에 의한 문제점 발생시 갑작스럽게 연속 소둔로 설비를 운전하지 못하는 현상 발생시 연속 소둔로 내부에 있는 냉연강판의 장력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냉연강판이 폭방향으로 찌그러지는 문제점과 고온으로 가열된 냉연강판 이송용 롤러의 변형발생을 방지하여 소둔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둔열처리되는 강판의 품질 향상되는 대단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인입되어 소둔처리되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둔로의 하부에서 상기 소둔로로 인입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프레임상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과,
    상기 베어링 블록에 장착되는 강판 유도롤러와,
    상기 강판 유도롤러 하부에서 상기 스트립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상하이동 가능하게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핀치롤러와,
    상기 핀치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스트립을 수평방항으로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핀치롤러가 상승하여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핀치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스트립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이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로 내부의 강판장력 제거장치.
KR2019980025651U 1998-12-19 1998-12-19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KR200324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651U KR200324711Y1 (ko) 1998-12-19 1998-12-19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651U KR200324711Y1 (ko) 1998-12-19 1998-12-19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21U KR20000012621U (ko) 2000-07-05
KR200324711Y1 true KR200324711Y1 (ko) 2003-11-20

Family

ID=4941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651U KR200324711Y1 (ko) 1998-12-19 1998-12-19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7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21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931A (en) Glass sheet conveying and bending apparatus
KR200324711Y1 (ko) 연속소둔로내부의강판장력제거장치
JPH04274814A (ja) 熱間連続圧延ラインにおける冷却時間待ち圧延材の待機装置
EP1256552B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hot glass sheet travelling on a conveyor
EP0936276B1 (en) Furnace coiler
KR20090034437A (ko) 온라인에서의 스트립 꺽임부 복구 장치
KR100502850B1 (ko)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US7155950B2 (en) Dampers for furnace coilers
JPH0810856A (ja) 曲管の製造方法および管曲装置
KR200215183Y1 (ko) 평탄불량 강판의 열처리로 장입용 가이드장치
JP3605815B2 (ja) コイル巻取搬送巻戻装置
KR20010046204A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100479999B1 (ko)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
KR19980022141U (ko) 열연 설비의 가열로내로 이송되는 슬라브 측면의 스케일 제거 장치
JPH04322806A (ja) 熱間圧延鋼板先端部の上反り矯正装置
KR100920635B1 (ko) 다단식 선재 핀치롤장치
KR200438059Y1 (ko) 냉연강판 생산 공정에서의 수냉역 로울 교환장치
KR100496539B1 (ko) 소재 비틀림 방지를 위한 소재의 그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56136B2 (ja) 走間加工台車を設置した鋼材搬送テーブルのロール復帰方法とその装置
JP2596434Y2 (ja) 真空熱処理炉
KR200257806Y1 (ko) 기-고 유동층 반응기에서 에어-쳄버로의 유동사 유출 방지장치
JPH08132168A (ja) 鍛造素材の加熱装置
KR101786259B1 (ko) 유도가열기 분해조립장치
JP3355005B2 (ja) 金属材料の熱間コーナ圧下装置
JPH03211233A (ja) 加熱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