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579Y1 - 다용도 썬캡 - Google Patents

다용도 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579Y1
KR200324579Y1 KR20-2003-0015543U KR20030015543U KR200324579Y1 KR 200324579 Y1 KR200324579 Y1 KR 200324579Y1 KR 20030015543 U KR20030015543 U KR 20030015543U KR 200324579 Y1 KR200324579 Y1 KR 200324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wearing
suncap
coupl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환
Original Assignee
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환 filed Critical 임영환
Priority to KR20-2003-0015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으로,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착용부(10)와, 상기 착용부(10)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지거나 하나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차단부(20)와,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20)를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무줄(30) 및, 상기 차단부(20)를 상기 착용부(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0)으로 구성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함은 물론 부채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차단부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와 휴대가 간편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썬캡{ A multiuse suncap }
본 고안은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띠와 부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썬캡은 머리에 착용하고 안면부에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 주는 모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썬캡은 차단부(110)와, 상기 차단부(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창(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10)는 차단창(120)과 분리할 경우 차단부(110)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차단창(120)과 결합하여 햇볕을 차단하게 된다.
종래의 차단창(120)은 1쌍의 결합단추(150)에 의해 차단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데, 숫단추와 암단추를 차단창(120)과 차단부(110)에 분리하여 구비하게 되므로 차단창(120)을 차단부(110)로부터 탈거할 경우 결합단추(150)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 등이 쉽게 걸려 차단부(110)의 기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차단창(120)은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이 대부분인데, 햇볕을 차단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다.
한편, 여름철에는 차단창(120)을 분리하여 부채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부채질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채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한 다용도 썬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지거나 하나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차단부와,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를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무줄 및, 상기 차단부를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썬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차단부가 부채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차단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단부 20 : 차단부
21 : 결합슬릿 25 : 힌지축
25a : 숫결합부 25b : 암결합부
30 : 고무줄 35 : 걸림돌기
40 : 고정클립 41 : 절곡부
51 : 숫단추 51a : 결합돌기
52 : 암단추 60 : 고정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은,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착용부(10)와, 상기 착용부(10)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지거나 하나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차단부(20)와,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20)를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무줄(30) 및, 상기 차단부(20)를 상기 착용부(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0)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착용부(10)는 일측이 개방되어 탄성적으로 확개가능하고, 머리에 끼워져 고정가능함으로써 머리띠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0)는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하나의 차단부(20)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힌지축(25)은 숫결합부(25a)와 암결합부(25b)로 구성되어 서로 탈착가능하게 되고, 암결합부(25b)를 차단부(20)에 결합시켜 차단부(20)를 부채로 사용할 경우에 숫결합부(25a)를 분리함으로써 차단부(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각의 차단부(20)는 일측에 결합슬릿(21)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차단부(20)를 끼워 일측이 겹쳐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하나의 차단부(20)는 양단의 차단부(20)를 제외하고는 인접하는 다른 차단부(20)의 결합슬릿(21)에 일측이 각각 끼워져 지지되고, 또 다른 차단부(20)를 자신의 결합슬릿(21)으로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차단부(20)들이 연속하여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차단부(20)들의 사이로 직사광선을 통과시키지 않게 되고, 착용부(1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차단부(20)들끼리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어 공기의 저항에도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아 바람을 잘 일으켜 부채로도 효용성이 높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차단부(20)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힌지축(25)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하여 하나의 차단부(20) 위로 겹쳐질 수 있게 되고, 차단부(20)들이 하나의 차단부(20) 위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고무줄(30)로 고정시켜 착용부(10)의 외측에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줄(30)은 상기 각 차단부(20)들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차단부(20)들이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차단부(20)들을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게 되고, 차단부(20)들을 착용부(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무줄(30)은 상기 차단부(20)들이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양단에 위치하는 각각의 차단부(20)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착용부(10)의 외주면에 감겨 차단부(20)들을 고정시키게 되고, 차단부(20)들이 겹쳐진 상태에서는 차단부(20)들의 외측과 착용부(10)를 수회에 걸쳐 감아 차단부(20)들을 착용부(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줄(3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35)가 형성되어 고무줄(30)이 감겨진 후 체결된다.
상기 차단부(20)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고무줄(30)과 함께 고정클립(40)에 의해 착용부(1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클립(40)은 다수개의 절곡부(41)가 형성되어 차단부(20)들의 힌지축(25)에 일측이 끼워지고 다른 일측이 착용부(10)를 물어 잡게 된다.
즉, 상기 고정클립(40)은 차단부(20)들이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져 착용부(10)에 결합될 경우 힌지축(25)을 착용부(10)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단부(20)가 선회하는 것을 저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착용부(10)와 차단부(20)를 결합단추(51,52)로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단추(51,52)는 착용부(10)와 차단부(20)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숫단추(51)와 암단추(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숫단추(51)는 일측 외주면에 결합돌기(51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암단추(52)에 억지끼움되고, 결합돌기(51a)의 외주면에 고정스토퍼(60)가 끼워져 숫단추(51)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숫단추(51)는 암단추(52)에 탈착가능하고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됨으로써 차단부(20)가 착용부(10)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부(10)와 차단부(20)는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어 착용시에는 사용자가 차단부(20)를 위쪽으로 소정각도 만큼 선회시키거나 착용부(10)를 기울어지게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스토퍼(60)는 고무재질로 되고 숫단추(51)와 암단추(52)의 사이에 끼워져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숫단추(51)의 회전을 저지하여 차단부(20)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부(20)의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홈(도면미도시)을 형성하고 착용부(10)에 결합돌기(도면미도시)를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차단부(2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상기 고정스토퍼(60)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에 의하면, 직사광선을 차단함은 물론 부채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차단부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와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착용부(10)와;
    상기 착용부(10)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지거나 하나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차단부(20);를 포함하는 다용도 썬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20)를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무줄(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20)를 상기 착용부(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
KR20-2003-0015543U 2003-05-20 2003-05-20 다용도 썬캡 KR200324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43U KR200324579Y1 (ko) 2003-05-20 2003-05-20 다용도 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43U KR200324579Y1 (ko) 2003-05-20 2003-05-20 다용도 썬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579Y1 true KR200324579Y1 (ko) 2003-08-25

Family

ID=4941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43U KR200324579Y1 (ko) 2003-05-20 2003-05-20 다용도 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5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455A (en) Ear cover
KR20030034416A (ko) 챙 꺾임이 자유로운 캡
US20110083251A1 (en) Hat construction
KR200324579Y1 (ko) 다용도 썬캡
KR200254484Y1 (ko) 접철식 모자
KR200390272Y1 (ko) 접철식 모자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200327114Y1 (ko) 보조 모자챙
KR100950077B1 (ko) 보조 차양을 갖는 차양 모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206301Y1 (ko) 보조차양을 갖는 모자
KR200335686Y1 (ko) 보조 차양을 갖는 모자
KR200201495Y1 (ko) 보조챙이 구비된 모자
KR200295959Y1 (ko) 모자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JP2022087773A (ja) 帽子
KR200265812Y1 (ko) 우비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243052Y1 (ko) 회전차양모자
JP2009018132A (ja) 携帯陽焼け防止手日傘
KR200180283Y1 (ko) 자외선 차단 모자
KR200344839Y1 (ko) 햇빛가리개 겸용 부채
KR200239261Y1 (ko) 보조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24256Y1 (ko) 휴대가 용이한 선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