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43Y1 -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43Y1
KR200323943Y1 KR20-2003-0017539U KR20030017539U KR200323943Y1 KR 200323943 Y1 KR200323943 Y1 KR 200323943Y1 KR 20030017539 U KR20030017539 U KR 20030017539U KR 200323943 Y1 KR200323943 Y1 KR 200323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desk
screw ho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명
Original Assignee
박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명 filed Critical 박진명
Priority to KR20-2003-0017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상판 저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수납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ㄷ"자형 슬라이딩부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상부 일측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ㄷ"자형 가이드부와, 그 외주면의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돌기를 갖는 결합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공과 상기 가이드부의 결합공에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시켜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키는 "ㄷ"자형 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A desk having high and low regul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책상의 다리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은 상판과, 상판 저부에 설치되는 서랍과, 상판과 서랍의 저면 양쪽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책상은, 다리들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높이를 조절 할 수 없게 이루어져 있다.
특히,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생이나 중, 고등학생들은 한 학년씩 진급할 때 마다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서 각자의 체형에 알맞는 책상을 배정 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같은 학년 생 이더라도 체격이 큰 학생과 체격이 작은 학생이 다 같이 동일한 책상을 배정 받게 되는 바, 체격이 큰 학생은 장기간 등을 구부린 상태로 필기를 하면서 수업을 받아야 하므로 척추가 휘어져 디스크 등의 심각한 질병을 가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세로 책을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시력이 극도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높낮이 조절되는 책상이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은 책과 필기구가 놓여지는 상판(10)과, 상판(10) 저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연결대(12)와, 상기 연결대(12)와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사공(14)이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봉(1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봉(16)과,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봉(20)과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6)이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봉(18)과, 가이드봉(1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봉(16)이 사용자(학생 등)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했을 경우 가이드봉(18)의 나사공(22)과 슬라이딩봉(16)의 어느 한 나사공(14)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6)을 고정하는 조절나사(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판(12)을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가이드봉(18)의 나사공(22)과 슬라이딩봉(16)의 나사공(14)에 삽입된 조절나사(24)를 푼다.
그리고,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상판(10)을 들어올리거나 내린다.
이에따라, 슬라이딩봉(16)이 가이드봉(1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그런후에,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슬라이딩봉(16)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했을 경우, 슬라이딩봉(16)의 나사공(14)과 가이드봉(18)의 나사공(22)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봉(18)의 나사공(22)과 슬라이딩봉(16)의 나사공(14)으로 조절나사(24)를 삽입시켜 슬라이딩봉(16)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은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슬라이딩봉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난 후, 좌 또는 우측 가이드봉의 나사공과 슬라이딩봉의 나사공으로 조절나사를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슬라이딩봉을 고정시키는 바, 이러한 다리구조로는 상판을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였고, 전후방향으로 약간만 밀리게 되어도 쉽게 쓰러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좌 또는 우측에 하나씩 체결되는 조절나사의 나사산이 파손될 경우, 슬라이딩봉의 나사공과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판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의 특징은,
책과 필기구가 놓여지는 상판(100)과, 조절나사(124)를 구비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 저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수납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10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04)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0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ㄷ"자형 슬라이딩부(106)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10)와 일체로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상부 일측 중앙에 나사공(1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ㄷ"자형 가이드부(108)와;
그 외주면의 중앙에 나사공(11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6)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18)를 갖는 결합공(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상기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에 상기 결합돌기(118)를 삽입시켜 상기 슬라이딩부(106)를 고정시키는 "ㄷ"자형 고정부(122)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도 2의 고정부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의 요부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판
102 : 수납공
104 : 결합공
106 : 슬라이딩부
108 : 가이드부
110 : 지지부
112 : 나사공
114 : 결합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도면이고,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은 책과 필기구가 놓여지는 상판(100)과, 상판(100) 저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수납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10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04)이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부(10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ㄷ"자형 슬라이딩부(106)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10)와 일체로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상부 일측 중앙에 나사공(1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ㄷ"자형 가이드부(108)와, 그 외주면의 중앙에 나사공(11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6)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8)를 갖는 결합공(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상기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에 상기 결합돌기(118)를 삽입시켜 상기 슬라이딩부(106)를 고정시키는 "ㄷ"자형 고정부(122)와, 가이드부(10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106)가 사용자(학생 등)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했을 경우 고정부(122)의 나사공(116)과 가이드부(108)의 나사공(112)과 슬라이딩부(106)의 나사공(102)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를 고정하는 조절나사(124)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106)에 복수개 형성된 결합공(104)의 간격과 가이드부(108)에 복수개 형성된 결합공(114)의 간격이 일치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8)에 복수개 형성된 결합공(114)의 간격과 고정부(122)에 복수개 형성된 결합공(120)의 간격이 일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두 손으로 상판(100)을 잡고, 신체의 일부(예를들어, 무릅, 발 등)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100)을 고정시킨다.
그런후에, 손으로 고정부(122)의 나사공(116)과 가이드부(108)의 나사공(112)과 슬라이딩부(106)의 나사공(102)에 삽입된 조절나사(124)를 푼다.
그리고,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에 삽입된 결합돌기(118)를 인출시켜 고정부(122)를 탈거시킨다.
또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상판(100)을 들어올리거나 내린다.
이에따라, 슬라이딩부(106)가 가이드부(10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그런후에,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슬라이딩부(106)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했을 경우,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일치된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으로 고정부(122)의 결합돌기(118)를 삽입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슬라이딩부(106)는 결합돌기(118)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가이드부(108)의 나사공(112)과 고정부(122)의 나사공(116)이 일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2)에는 6개의 결합돌기(118)가 형성되는 바, 상기 슬라이딩부(106)와 가이드부(108)는 6개의 조절나사(124)에 의해 결합된 것과 같다.
그런후에, 가이드부(108)의 나사공(112)과 고정부(122)의 나사공(116)으로 조절나사(124)를 삽입시켜 슬라이딩부(106)를 2차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책상의 슬라이딩부(106)는 고정부(122)의 결합돌기(118)와 조절나사(12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치된 슬라이딩부의 결합공과 가이드부의 결합공으로 고정부의 결합돌기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이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는 의자 뿐만 아니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가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책과 필기구가 놓여지는 상판(100)과, 조절나사(124)를 구비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 저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수납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10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04)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08)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ㄷ"자형 슬라이딩부(106)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10)와 일체로 설치되고 그 외주면의 상부 일측 중앙에 나사공(1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2)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ㄷ"자형 가이드부(108)와;
    그 외주면의 중앙에 나사공(11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공(116)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18)를 갖는 결합공(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06)의 결합공(104)과 상기 가이드부(108)의 결합공(114)에 상기 결합돌기(118)를 삽입시켜 상기 슬라이딩부(106)를 고정시키는 "ㄷ"자형 고정부(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106)에 형성된 결합공(104)의 간격과 가이드부(108)에 형성된 결합공(114)의 간격은, 서로 일치하며,
    상기 가이드부(108)에 형성된 결합공(114)의 간격과 고정부(122)에 형성된 결합공(120)의 간격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KR20-2003-0017539U 2003-06-04 2003-06-04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KR200323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39U KR200323943Y1 (ko) 2003-06-04 2003-06-04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39U KR200323943Y1 (ko) 2003-06-04 2003-06-04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43Y1 true KR200323943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39U KR200323943Y1 (ko) 2003-06-04 2003-06-04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7B1 (ko) * 2011-11-17 2012-03-28 주식회사 팀스 서가용 선반의 지지구조
KR102376644B1 (ko) * 2022-01-24 2022-03-21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낮이 조절 책상 및 걸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7B1 (ko) * 2011-11-17 2012-03-28 주식회사 팀스 서가용 선반의 지지구조
KR102376644B1 (ko) * 2022-01-24 2022-03-21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낮이 조절 책상 및 걸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5840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KR200323943Y1 (ko)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US9049927B2 (en) Reading stand
KR200475306Y1 (ko) 다기능 학습용 책상
KR20039605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WO1997029665A1 (en) Work seat consisting of desk and chair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particularly for use at school
KR20210000578U (ko) 독서대
CN215649863U (zh) 一种学生用护眼学习桌
KR2006012993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323928Y1 (ko)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KR20040004345A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100404497B1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200378394Y1 (ko) 책꽂이
CN208228636U (zh) 一种双人课桌
KR200196463Y1 (ko) 책받침판 이동식 수강용 책상
KR100586464B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55589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100991215B1 (ko) 독서대
KR200309599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0319414Y1 (ko) 휴대용 교탁
KR20080102916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KR200269488Y1 (ko) 높낮이조절장치
KR200240189Y1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102653059B1 (ko) 승강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