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938A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938A
KR20060129938A KR1020060003079A KR20060003079A KR20060129938A KR 20060129938 A KR20060129938 A KR 20060129938A KR 1020060003079 A KR1020060003079 A KR 1020060003079A KR 20060003079 A KR20060003079 A KR 20060003079A KR 20060129938 A KR20060129938 A KR 20060129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eg
hole
fix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명
Original Assignee
박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명 filed Critical 박진명
Priority to KR102006000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938A/ko
Publication of KR2006012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s, by weigh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판;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몸체의 상부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1다리; 상부 중공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가 상기 다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제2다리; 상기 제2다리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상부에는 상기 제2다리가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수용홈을 나누는 벽면에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길이 방향의 중간 양측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홈이 형성된 판재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앙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하우측의 일측 내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면의 하부 및 중앙에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통공에 삽입됨과 아울러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의 홈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조절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는 하우징의 연통공과 제1다리의 관통공 및 제2다리의 관통공에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파지한 후 상기 조절부재를 들어올리면 상기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홈 일면 및 고정부재의 저면과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제2다리의 관통공을 이탈하여 상판을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상판, 제1다리, 제2다리, 하우징, 고정부재, 조절부재, 스프링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The desk which a high and low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20 : 제1다리
30 : 제2다리
40 : 하우징
50 : 고정부재
60 : 스프링
70 : 조절부재
*본 발명은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冊床, desk)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이고, 서양에서는 수도원의 사자실(寫字室)에 비치한 사자대(寫字臺)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학교, 학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은 상판과, 상판 저부에 설치되는 서랍과, 상판과 서랍의 저면 양쪽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책상은, 다리들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높이를 조절 할 수 없게 이루어져 있다.
특히,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생이나 중, 고등학생들은 한 학년씩 진급할 때 마다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서 각자의 체형에 알맞는 책상을 배정 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같은 학년 생 이더라도 체격이 큰 학생과 체격이 작은 학생이 다 같이 동일한 책상을 배정 받게 되는 바, 체격이 큰 학생은 장기간 등을 구부린 상태로 필기를 하면서 수업을 받아야 하므로 척추가 휘어져 디스크 등의 심각한 질병을 가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세로 책을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시력이 극도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책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특징은, 상판;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몸체의 상부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1다리; 상부 중공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가 상기 다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제2다리; 상기 제2다리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상부에는 상기 제2다리가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수용홈을 나누는 벽면에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길이 방향의 중간 양측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홈이 형성된 판재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앙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하우측의 일측 내부면 사이 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면의 하부 및 중앙에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통공에 삽입됨과 아울러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의 홈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조절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는 하우징의 연통공과 제1다리의 관통공 및 제2다리의 관통공에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파지한 후 상기 조절부재를 들어올리면 상기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홈 일면 및 고정부재의 저면과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제2다리의 관통공을 이탈하여 상판을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크게 상판(10), 제1다리(20), 제2다리(30), 하우징(40), 고정부재(50), 스프링(60), 조절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적당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다리(20)는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21)로 이루어지고, 이 몸체(21)의 상부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관통공(23)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을 지지한다.
상기 제2다리(30)는 상부 중공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31)가 상기 제1다리(2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됨과 아울러 상단부는 상기 상판(10)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31)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제2다리(3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몸체(41)의 일측에 상하부가 개구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2)의 상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제2다리(30)가 걸리도록 걸림돌기(4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타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과 수용홈(44)을 나누는 구획벽(45)에 한 쌍의 연통공(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44)의 구획벽(45) 타측면에 후술할 스프링(6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60) 내부에 수용되는 돌기(미도시함) 또는 스프링(60)을 수용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돌기(4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50)는 길이 방향의 중간 양측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홈(51)이 형성된 판재(53)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고정돌기(55)가 형성되며, 이 고정돌기(55)가 상기 하우징(40)의 연통공(46)과 제1다리(20) 및 제2다리(30)의 관통공(23,33)에 동시에 연속적으로 관통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40)의 수용홈(45) 중앙에 수용되어 상기 제2다리(30)의 높낮이를 고정시킨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하우징(40)의 구획벽(45) 타측면에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형돌기(47)에 개재되며, 상기 수용홈(44)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부재(50)를 계속적으로 밀어준다.
상기 조절부재(70)는 상부에 손잡이(71)가 형성된 몸체(72)의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와 대응되는 면의 하부 및 중앙에 경사면(74)을 갖는 한 쌍의 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72)는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돌기(55)가 통공(73)에 삽입됨과 아울러 몸체(72)의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75)가 상기 고정부재(50)의 홈(51)에 개재되고,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75)가 상기 고정부재(50)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수용홈(44)에 수용한 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70)의 돌기(75)는 상면에 경사면(7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70)의 손잡이(71)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조절부재(70)를 들어올리면 상기 조절부재(70)의 중앙 및 하부에 형성된 돌기(75)의 경사면(74)이 고정부재(50)의 홈(51) 일면 및 고정부재(50)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조절부재(70)의 돌기(75)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74)을 타고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돌기(55)가 제2다리(30)의 관통공(33)을 이탈하여 상판(10)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 저면 양측부 각각에 제2다리(30)의 상단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하우징(40)의 몸체(41)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42)에 제1다리(20)의 상부를 삽입시킨다.
계속해서, 제1다리(2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2다리(30)를 수용시킨다.
이때, 제1다리(20)의 관통공(23)과 제2다리(30)에 형성된 관통공(33) 및 하우징(40)의 구획벽(45)에 형성된 연통공(46)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후에, 하우징(40)의 관통공(42)과 인접되는 수용홈(44) 일측에 조절부재(7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50)의 고정돌기(55)가 상기 조절부재(70)의 통공(73)을 관통함과 아울러 하우징(40)의 연통공(46)과 제1다리(20)의 관통공(23) 및 제2다리(30)에 형성된 관통공(33)을 연속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수용홈(44)에 개재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의 양측에 형성된 홈(51) 및 고정부재(50)의 하부에 상기 조절부재(70)의 돌기(75)가 위치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40)의 구획벽(45) 타측면에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형돌기(47)에 스프링(60)을 삽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사용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조절부재(70)의 손잡이(71)를 파지한 다음에 상기 조절부재(70)를 들어올리면 조절부재(70)의 돌기(75)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74)이 고정부재(50) 양측에 형성된 홈(51) 일면 및 고정부재(50)의 하단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조절부재(70)의 돌기(75) 경사면(7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제1다리(20)의 관통공(23) 및 제2다리(30)의 관통공(33)에 연속적으로 삽입된 고정부재(50)의 고정돌기(55)가 이탈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50)는 제2다리(30)의 관통공(33)에서만 완전히 이탈 하면된다.
계속해서,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상판(1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에, 상기 조절부재(70)의 손잡이(71)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조절 부재(70)를 내리다.
그리고, 조절부재(70)의 돌기(75)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74)에 고정부재(50) 양측에 형성된 홈(51) 일면 및 고정부재(50)의 하단면이 위치하면 상기 고정부재(50)를 계속해서 밀어주는 스프링(60)에 의해 고정부재(50)가 상기 조절부재(70)의 경사면(74)을 타고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고정부재(50)의 고정돌기(55)는 제1다리(20)의 관통공(23) 및 제2다리(30)의 관통공(33)을 연속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판(10)의 높이를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다리와 제2다리에 형성된 관통공을 동시에 관통삽입하여 상판을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조절부재의 중앙 및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돌기가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손쉽게 상판의 높낮이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돌기를 이용함으로써, 상판의 높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는 의자 뿐만 아니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가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상판;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몸체의 상부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1다리;
    상부 중공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가 상기 다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제2다리;
    상기 제2다리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상부에는 상기 제2다리가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수용홈을 나누는 벽면에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길이 방향의 중간 양측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홈이 형성된 판재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앙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면과 하우측의 일측 내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면의 하부 및 중앙에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통공에 삽입됨과 아울러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의 홈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조절부재;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는 하우징의 연통공과 제1다리의 관통공 및 제2다리의 관통공에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파지한 후 상기 조절부재를 들어올리면 상기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홈 일면 및 고정부재의 저면과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조절부재의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제2다리의 관통공을 이탈하여 상판을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060003079A 2006-01-11 2006-01-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60129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79A KR20060129938A (ko) 2006-01-11 2006-01-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79A KR20060129938A (ko) 2006-01-11 2006-01-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78U Division KR200396059Y1 (ko) 2005-06-13 2005-06-1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938A true KR20060129938A (ko) 2006-12-18

Family

ID=3781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079A KR20060129938A (ko) 2006-01-11 2006-01-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99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34B1 (ko) * 2008-09-22 2011-03-04 우진교구산업(주)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92146B1 (ko) * 2019-11-28 2020-03-25 우진교구산업(주)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KR102246019B1 (ko) * 2021-03-09 2021-04-29 주식회사 야흥금속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34B1 (ko) * 2008-09-22 2011-03-04 우진교구산업(주)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92146B1 (ko) * 2019-11-28 2020-03-25 우진교구산업(주)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KR102246019B1 (ko) * 2021-03-09 2021-04-29 주식회사 야흥금속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775B2 (en) Office chair armrest
KR20039605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KR2006012993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US20190328126A1 (en) Gaming table
KR200323943Y1 (ko)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KR102198928B1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KR200353767Y1 (ko) 상판 각도조절식 책상
KR100943198B1 (ko) 각도 조절 용이성 및 지지안정성을 갖는 독서대
KR200444889Y1 (ko) 피씨방용 테이블의 칸막이 설치구조
KR100724501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96463Y1 (ko) 책받침판 이동식 수강용 책상
KR100991215B1 (ko) 독서대
KR102653059B1 (ko) 승강식 독서대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JP2012120732A (ja) デスク装置
KR200191676Y1 (ko) 책걸상 높이조절구
KR200386548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61885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78394Y1 (ko) 책꽂이
KR200323928Y1 (ko)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
KR200393416Y1 (ko) 길이 가변 책꽂이
KR20024141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 걸상용 지지다리
KR200355589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200237544Y1 (ko) 교구용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