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508Y1 -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508Y1
KR200323508Y1 KR20-2003-0014558U KR20030014558U KR200323508Y1 KR 200323508 Y1 KR200323508 Y1 KR 200323508Y1 KR 20030014558 U KR20030014558 U KR 20030014558U KR 200323508 Y1 KR200323508 Y1 KR 200323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tricycle
support
transfer means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목
Original Assignee
김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목 filed Critical 김유목
Priority to KR20-2003-0014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드(20)와, 상기 베드(20)를 지지부(10)에 대해 수평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베드이송수단(30)과, 상기 베드(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반구형의 몸체(41), 물공급을 조절하는 밸브(43), 공급된 물을 여러갈래로 분기시키는 분기도관(45)을 포함하는 세발부(40)와,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직육면체의 외통(51), 상기 외통(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통(53), 상기 내통(5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 전체에 걸쳐 수개의 토출구(63)가 형성되는 중앙회전봉(61),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그 내부에 발열수단(71)이 설치되는 연결도관(69), 상기 연결도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73), 상기 외통(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수단(75)을 포함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지지부(1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 세발부(40) 및 건조부(5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AUTOMATIC HAIR CLEANING ANG DR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자동 세발 및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장소를 이송할 필요없이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세발 및 건조 뿐만 아니라 각종 헤어트리트먼드가 자동적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세발 및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1-0018611 호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프레임의 상면에 세척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이 설치되고 그 차단판의 선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수 공급관이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에 접촉 및 분리되면서 세척하는 복수개의 핑거가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핑거 세발부와, 상기 핑거 세발부가 사용자의 머리에 근접되도록 핑거 세발부를 직선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긴머리 양측으로 승강되면서 그 긴머리를 세척하는 승강 세발부와,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박스와 전선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장치가 공지된다.
상기 자동 세발장치에서는 오직 세발 만이 행해지므로,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또다른 헤어트리트먼트를 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젖은 머리를 수건으로 대강 말리거나 감싼 후에 다른 장소로 이송하여 헤어드라이어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별도로 헤어트리트먼트를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롤출원 제 20-2002-0022147 호에는 머리수용부, 목받침부, 덮개를 구비하여 양측 상부에는 샴푸통, 린스통수납부가 설치되고, 그 내부로는 세발조와 프레임이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머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센서) 및 다수개의 핑거, 노즐을 구비하는 반구형의 세발구와, 상기 세발구를 회전가능하여 지지하여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머리둘레와 같은 원을 그리도록 세발구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세발구 내로 물, 샴푸, 린스, 에어를 각각 분사시키도록 분사파이프를 통해 노즐에 연결되는 급수부, 샴푸통, 린스통, 드라이어와, 상기 이송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긴 모발 사이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빗살을 구비하는 보조세발구와, 상기 보조세발구를 좌우로 진동시키는 진동부재와, 및 이들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 세발장치가 공지된다.
상기 자동 세발장치는 거동이 불편환 중환자 또는 장애우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 세발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세발 장소에서 건조가 또다시 행해짐에 따라 세발로 인한 잔존 액체들에 의해 건조장치 등이 고장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헤어트리트먼트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객이 장소를 이송할 필요없이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세발 및 건조 뿐만 아니라 각종 헤어트리트먼드가 자동적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세발 및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드와, 상기 베드를 수평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베드이송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반구형의 몸체, 물공급을 조절하는 밸브, 공급된 물을 여러 갈래로 분기시키는 분기도관을 포함하는 세발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직육면체의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통, 상기 내통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에 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중앙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그 내부에 발열수단이 설치되는 연결도관, 상기 연결도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 상기 외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건조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 세발부 및 건조부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에 있어서, 베드가 이송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에 있어서, 수평베드이송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10 : 지지부
20 : 베드
30 : 수평베드이송수단
31 : 랙기어
33 : 피니언
37 : 롤러
39 : 가이드
40 : 세발부
43 : 밸브
45 : 분기도관
50 : 건조부
51 : 외통
53 : 내통
61 : 중앙회전봉
71 : 발열수단
73 : 송풍팬
75 : 수직이송수단
80 : 스팀공급부
81 : 스팀발생기
83 : 스팀공급관
90 : 제어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에 있어서, 베드(20)가 수평이송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에 있어서,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드(20)와, 상기 지지부(10) 및 베드(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드(20)를 지지부(10)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베드이송수단(30)과, 상기 베드(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반구형의 몸체(41), 물공급을 조절하는 밸브(43), 공급된 물을 여러 갈래로 분기시키며 그 단부가 상기 몸체(41)의 내부면에 이르는 분기도관(45), 상기 각 분기도관(45)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기토출구(47)를 포함함으로써, 소정의 압력으로 모발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세발부(40)와,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직육면체의 외통(51), 상기 외통(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통(53), 상기 내통(5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 전체에 걸쳐 수개의 토출구(63)가 형성되는 중앙회전봉(61),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그 내부에 발열수단(71)이 설치되는 연결도관(69), 상기 연결도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73), 상기 외통(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수단(75)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베드(20)가 수평이송됨과 동시에 수직이송수단(75)에 의해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되고, 송풍팬(73)에 의해 발생되는 풍량을 발열수단(71)으로 가열시켜 모발에 제공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지지부(1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 세발부(40) 및 건조부(5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0)는 상부에서 수평 이송되는 베드(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0)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발을 딛고 오를 수 있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베드(20)가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베드(20)는 매트부를 구비하는 상부베드프레임(21), 및 하부베드프레임(23)을 포함한다. 상기 베드(20)는 사용자가 편안히 기대어 누울 수 있도록, 상부베드프레임(21) 부분이 사용자의 허리 이상 부분에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단부에서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부분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드(20)는 사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도록상기 하부베드프레임(23)이 사용자의 허리 이상 부분의 1/2 지점에서부터 상부베드프레임(21) 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드(20)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10)의 계단 형상에 상응하도록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베드(20)의 높이까지 용이하게 오를 수 있으며, 상기 베드(20)에 기대어 눕는 경우에는 편안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베드(20)는 지지부(10) 상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으로 이송 가능한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0) 및 베드(20) 사이에는 수평베드이송수단(30)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드(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랙기어(31)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31)와 맞물리는 피니언(33)과, 상기 피니언(33)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피니언구동모터(3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피니언구동모터(3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구동모터(35)의 축에 직렬 연결된 상기 피니언(33)이 지지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3)과 맞물리는 랙기어(31)에 의해 상기 베드(20)는 지지부(10) 상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 이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피니언구동모터(35)가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베드(20)는 역으로 수평 이송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드(20)를 자동적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베드(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수개의 롤러(37)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들(37)을 안내하는 가이드(39)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39)의 단부측에는 상기 롤러(37)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3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람이 베드(20)를 잡고 일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롤러(37)가 가이드(39) 내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베드(20)는 지지부(10) 상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 이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베드(20)를 잡고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면 롤러(37)가 가이드(39) 내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베드(20)는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베드(20)를 수동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드(20)가 이중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랙기어(31), 피니언(33), 피니언구동모터(35)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롤러(37) 및 가이드(39)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드(2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평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베드(20)의 일측 상부에는 세발부(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세발부(40)는 소정의 압력으로 모발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발부(40)는 반구형의 몸체(41)와, 외부의 수도관로 상에 설치되어 물공급을 조절하는밸브(43)와, 상기 밸브(43)의 조절에 의해 공급된 물을 여러 갈래로 분기시키며 그 단부가 상기 몸체(41)의 내부면에 이르는 분기도관(45)과, 상기 각 분기도관(45)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기토출구(47)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세발부(40)는 샴푸 또는 린스가 소정의 양으로 분출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41)는 사용자의 머리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약간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도기로 제조되거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제,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기도관(45)은 수압을 고려하여 6개 내지 10개 정도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4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분기토출구(47)는 샤워기와 유사한 형태로서 물이 위에서 아래로 경사져서 모발에 골고루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발이 실제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물이 상기 몸체(41)의 외부로 튀겨나오지 않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제외하고 덮을 수 있는 차폐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는 건조부(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건조부(50)는 상기 베드(20)가 수평이송됨과 동시에 수직이송수단(75)에 의해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되고, 송풍팬(73)에 의해 발생되는 풍량을 발열수단(71)으로 가열시켜 모발에 골고루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조부(50)는 크게 상기 베드(20)가 수평이송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수단(75)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상승 가능한 직육면체의 외통(51)과, 상기 외통(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통(53)과, 상기내통(5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 전체에 걸쳐 수개의 토출구(63)를 통해 송풍팬에서 발생되어 발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골고루 제공하는 중앙회전봉(61)을 포함한다.
상기 외통(51)은 건조부(5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며, 상기 내통(53)은 건조가 실제로 행해지는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다.
상기 내통(53)은 외통(5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내통(53)의 회전수단은 내통(53)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종동기어(55)와, 상기 종동기어(55)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구동기어(57)와, 상기 구동기어(57)에 회전축이 커플링되는 구동모터(5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57)의 지름은 종동기어(55)의 지름에 비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59)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시 내통(53)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회전봉(61)은 열풍을 토출시키는 구성부재로서,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회전수단은 중앙회전봉(61)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종동기어(65)와, 상기 종동기어(65)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구동기어(66)와, 상기 구동기어(66)에 회전축이 커플링되는 구동모터(6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66)의 지름은 종동기어(65)의 지름에 비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67)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내통(53) 및 중앙회전봉(61)의 회전수단의 구성부재들도 상기 수직이송수단(75)에 의한 이송시 동일한 높이로 승강되도록 소정의 부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회전봉(61)은 그 내부에 발열수단(71)이 설치되는 연결도관(69)을 통하여 송풍팬(73)에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팬(73)에 의해 발생된 풍량은 연결도관(69)을 거치면서 발열수단(71)에 의해 가열되며, 이렇게 가열된 열풍은 최종적으로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토출구(63)를 통해 모발에 골고루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표면에는 수개의 빗살돌기(6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빗살돌기(62)는 상기 중앙회전봉(61)이 회전함에 따라 젖은 모발을 휘저면서 열풍이 골고루 모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빗살돌기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내통(53)의 내부면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중앙회전봉(61)에 형성된 빗살돌기(62)와 사로 충돌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53) 및 중앙회전봉(6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내통(53) 및 중앙회전봉(61)에 각각 빗살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 젖은 모발을 더욱 효과적으로 휘저을 수 있으므로 열풍이 훨씬 골고루 모발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통(51)의 하부에는 수직이송수단(75)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베드(20)의 수평이송에 따라 건조부(50) 전체를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이송수단(75)은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을 통하여 베드(20)의 수평이송시에 자동적으로 건조부(50)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베드(20)의 원위치 시에는 베드(20)가 역방향으로 수평이송되면서 45도 정도의 경사도를 가지는 하부베드프레임(23)의 전면부가 자동적으로 건조부(50)를 눌러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은 상술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수직이송수단(75)은 실시예에 따라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한 공압의 제공 또는 해제를 통해, 베드(20)의 수평이송에 따라 건조부(50)를 자동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건조가 실제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열풍이 상기 내통(53)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제외하고 덮을 수 있는 차폐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발부(40)의 하부에는 스팀공급부(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팀공급부(80)는 모발에 스팀을 제공함으로써, 부가적으로 헤어트리트먼트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팀공급부(80)는 상부의 물통(85)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스팀발생기(81)와, 상기 발열수단(71)의 상부 지점에서 연결도관(69)과 연결되는 스팀공급관(8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기(81)는 가열 및 초음파진동자의 이용을 통해 스팀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스팀발생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공급관(83)은 비교적 고압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부(80)만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스팀공급관(83)이 연결되는 지점 이하의 연결도관(69)을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발생기(81)로부터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관(83)을 거쳐 연결도관(69)에 공급되고, 이후부터는 풍량과 마찬가지로 최종적으로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토출구(63)를 통해 모발에 골고루 제공된다.
또한, 스팀에 의한 트리트먼트가 실제로 행해지는 경우에도 스팀이 상기 내통(53)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제외하고 덮을 수 있는 차폐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0)의 전면측에는 제어부(9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어부(90)는 수평베드이송수단(30), 세발부(40), 건조부(50) 및 스팀공급부(8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90)에는 수평베드이송버튼 등과 같은 조작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베드(20) 상에 기대어 눕게 되면, 베드(20)의 일단부측에 사용자의 목이 지지되어 모발은 자동적으로 세발부(40)의 몸체(41) 내에 위치된다. 시술자가 밸브(43)를 열면 물이 분기도관(45)을 거쳐 분기토출구(47)를 통해 모발에 제공된다. 시술자가 샴푸 및 린스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43)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세발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세발공정이 완료된 후 시술자가 제어부(90)에 설치되는 수평베드이송버튼을 누루게 되면, 수평베드이송수단(30)이 작동됨으로써 베드(20)의 일단부측에 사용자의 목이 지지된 상태로 베드(20)가 지지부(10)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수평이송됨과 동시에, 수직이송수단(75)의 작동에 의해 건조부(50)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은 내통(53) 내에 위치된다.
연이어, 송풍팬(73)이 작동되면서 풍량을 발생시키고, 연결도관(69)을 통과하면서 발열수단(71)에 의해 가열되어 중앙회전봉(61)의 토출구(63)를 통해 열풍이 배출되어 사용자의 모발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73)의 작동과 함께, 내통(53) 및/또는 중앙회전봉(61)이 각각의 회전수단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빗살돌기(62)에 의해 젖은 모발이 휘저어지면서 열풍이 모발에 골고루 작용함에 따라 건조공정이 완료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스팀공급부(80)를 작동시키게 되면, 스팀발생부(81)로부터 스팀이 간헐적으로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스팀은 비교적 고압으로 스팀공급관(83), 연결도관(69), 중앙회전봉(61)의 토출구(63)를 차례로 통과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모발에 제공됨으로써 트리트먼트공정이 완료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팀의 제공은 열풍 제공방식과 거의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건조공정, 트리트먼트공정이 교호적으로 수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공정이 완료되면 베드(20)가 다시 원위치되면서 자동적으로 건조부(50)도 원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1)의 전체 작동은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는 고객이 장소를 이송할 필요없이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세발 및 건조 뿐만 아니라 각종 헤어트리트먼드가 자동적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드(20);
    상기 지지부(10) 및 베드(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드(20)를 지지부(10)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베드이송수단(30);
    상기 베드(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반구형의 몸체(41), 물공급을 조절하는 밸브(43), 공급된 물을 여러 갈래로 분기시키며 그 단부가 상기 몸체(41)의 내부면에 이르는 분기도관(45), 상기 각 분기도관(45)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기토출구(47)를 포함함으로써, 소정의 압력으로 모발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세발부(40);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직육면체의 외통(51), 상기 외통(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통(53), 상기 내통(5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 전체에 걸쳐 수개의 토출구(63)가 형성되는 중앙회전봉(61),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그 내부에 발열수단(71)이 설치되는 연결도관(69), 상기 연결도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73), 상기 외통(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수단(75)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베드(20)가 수평이송됨과 동시에 수직이송수단(75)에 의해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되고, 송풍팬(73)에 의해 발생되는 풍량을 발열수단(71)으로 가열시켜 모발에 제공하는 건조부(50);
    상기 지지부(1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수평베드이송수단(30), 세발부(40) 및건조부(5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부(40)의 하부에는 스팀공급부(80)가 설치되며, 상기 스팀공급부(80)는 물통(85)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스팀발생기(81)와, 상기 발열수단(71)의 상부 지점에서 연결도관(69)과 연결되는 스팀공급관(8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추가적으로 스팀공급부(8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은 상기 베드(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랙기어(31)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31)와 맞물리는 피니언(33)과, 상기 피니언(33)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피니언구동모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베드이송수단(30)은 상기 베드(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수개의 롤러(37)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들(37)을 안내하는 가이드(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표면에는 수개의 빗살돌기(6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3)의 회전수단은 내통(53)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종동기어(55)와, 상기 종동기어(55)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구동기어(57)와, 상기 구동기어(57)에 회전축이 커플링되는 구동모터(59)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회전봉(61)의 회전수단은 중앙회전봉(61)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종동기어(65)와, 상기 종동기어(65)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구동기어(66)와, 상기 구동기어(66)에 회전축이 커플링되는 구동모터(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3) 및 중앙회전봉(6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수단(75)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KR20-2003-0014558U 2003-05-12 2003-05-12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KR200323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58U KR200323508Y1 (ko) 2003-05-12 2003-05-12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58U KR200323508Y1 (ko) 2003-05-12 2003-05-12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508Y1 true KR200323508Y1 (ko) 2003-08-21

Family

ID=4941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58U KR200323508Y1 (ko) 2003-05-12 2003-05-12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50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60B1 (ko) 2003-09-15 2008-06-17 정관선 긴머리용 헤어드라이장치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0913274B1 (ko) 2008-02-05 2009-08-21 이병인 환자용 두발 세척장치
KR101046089B1 (ko) 2009-08-25 2011-07-01 최재철 헤어스타일링 로봇
KR20200015249A (ko) 2018-08-03 2020-02-12 배상옥 자동 세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60B1 (ko) 2003-09-15 2008-06-17 정관선 긴머리용 헤어드라이장치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0913274B1 (ko) 2008-02-05 2009-08-21 이병인 환자용 두발 세척장치
KR101046089B1 (ko) 2009-08-25 2011-07-01 최재철 헤어스타일링 로봇
KR20200015249A (ko) 2018-08-03 2020-02-12 배상옥 자동 세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0400B2 (ja) 足マッサージ器
US20100043137A1 (en) Automatic Apparatus for Washing Feet
KR200323508Y1 (ko)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CN114467788A (zh) 浴盆组件
CN105463763A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KR100846191B1 (ko) 자동샤워 장치
KR20190119958A (ko)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KR101922242B1 (ko) 부스형 전신 스프레이 장치
CN106511063B (zh) 一种脚部护理用具
KR100991179B1 (ko) 소변기 및 이를 이용한 비데장치
KR102107333B1 (ko) 자동 샤워 장치
KR10115928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손 세정장치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102072936B1 (ko) 좌변기용 시트 세척 장치
KR200347816Y1 (ko) 자동 세발 및 건조 장치
CN205511508U (zh) 一种宠物洗脚装置
AU3882001A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hair of the head of humans
KR20140139749A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KR100668624B1 (ko)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장치
JPS636965Y2 (ko)
JPH02268762A (ja) エステテイツク装置
KR20090087668A (ko) 헤어 관리 머신의 헤드에 기체 및 액체를 공급하는공급장치
AU2003296394A1 (en) Multifeature foot spa
JP2001046459A (j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CN2294050Y (zh) 坐浴熏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