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089B1 - 헤어스타일링 로봇 - Google Patents

헤어스타일링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089B1
KR101046089B1 KR1020090078623A KR20090078623A KR101046089B1 KR 101046089 B1 KR101046089 B1 KR 101046089B1 KR 1020090078623 A KR1020090078623 A KR 1020090078623A KR 20090078623 A KR20090078623 A KR 20090078623A KR 101046089 B1 KR101046089 B1 KR 10104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ubject
microprocessor
comb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052A (ko
Inventor
최재철
Original Assignee
최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철 filed Critical 최재철
Priority to KR102009007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0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팅, 염색, 파마, 드라이, 셋팅 등 모든 종합적인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로봇을 통해 수행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자신의 취향에 맞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헤어스타일링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텐드 형상의 지주에 본체가 고정되고, 본체에는 컷팅부, 퍼머부, 수세부, 셋팅 건조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상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선택된 부위가 본체 전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본체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각 부위에 구비된 로봇팔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를 자동으로 컷팅하거나, 퍼머하거나, 수세하거나, 셋팅 및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발소나 미용실에 가서 해결해야 하는 헤어 스타일링을 일반적인 가정내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어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자신의 취향에 맞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고, 이러한 미용로봇을 미용실 등에 구비하게 되면 로봇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항상 동일한 수준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한군데에서 모든 헤어스타일링, 수세, 셋팅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스타일링 로봇{?}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링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컷팅, 염색, 파마, 드라이, 셋팅 등 모든 종합적인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로봇을 통해 수행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자신의 취향에 맞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헤어스타일링은 헤어를 컷팅하거나, 퍼머를 하거나, 셋팅을 하거나, 드라이를 하는 등 헤어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아름답게 꾸미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미용실에 가서 미용사를 통해 컷팅이나 퍼머 등의 헤어스타일링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헤어스타일링을 수행하는 미용사에 따라 그 작업 숙련도, 미적 감각 등이 다양하므로 미용사에 따라 또는 미용실에 따라 헤어스타일링의 완성도가 달라지게 되어 마음에 드는 헤어스타일을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헤어스타일링을 위해서는 무조건 미용실에 직접 나가야 하는 관계로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미용실의 입장에서도 직접 헤어스타일링을 책임지는 헤어디자이너, 컷 팅 또는 퍼머 후 머리를 감겨주는 보조 등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었음은 물론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드는 헤어스타일링 실력이 출중한 전문적인 헤어디자이너를 구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컷팅, 퍼머, 수세, 드라이 및 셋팅 등 종합적인 헤어스타일링을 로봇을 통해 수행토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굳이 미용실에 가지 않고도 자신의 취향에 맞게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토록 한 헤어스타일링 로봇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텐드 형상의 지주에 본체가 고정되고, 본체에는 컷팅부, 퍼머부, 수세부, 셋팅 건조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상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선택된 부위가 본체 전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본체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각 부위에 구비된 로봇팔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를 자동으로 컷팅하거나, 퍼머하거나, 수세하거나, 셋팅 및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자의 모드선택에 의해 헤어스타일링 로봇이 자동으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컷팅해주거나, 퍼머해주거나, 수세해주거나, 셋팅 및 건조시켜주는 것이므로 이발소나 미용실에 가서 해결해야 하는 헤어 스타일링을 일반적인 가정내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어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자신의 취향에 맞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미용로봇을 미용실 등에 구비하게 되면 로봇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항상 동일한 수준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한군데에서 모든 헤어스타일링, 수세, 셋팅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머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팅 건조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부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로봇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잘라주는 컷팅부(20),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퍼머해주는 퍼머부(30), 컷팅 또는 퍼머 후 대상자의 머리를 감겨주는 수세부(40),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셋팅해주면서 건조시켜주는 셋팅 건조부(5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컷팅부(20), 퍼머부(30), 수세부(40), 셋팅 건조부(50)의 각각의 캡(21)(31)(41)(51)이 본체(10)의 전면에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체(12)에 각각 고정되어 본체(10) 일측에 구비된 키입력부(13)의 모드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의 전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본체(10)는 스텐드 형상의 지주(14) 상단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다양한 헤어스타일링 정보와 인물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내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당해 정보를 로딩하여 연산하고 헤어스타일링 명령을 각 부위에 하달하도록 구성된다.
컷팅부(20)는 캡(2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2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머리카락의 길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캡(21)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23), 가위작동부(24), 이발기작동부(25)를 가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컷팅하며, 캡(21) 내부 일측에 구비된 진공 흡입구(26)를 통해 상기 잘려진 머리카락을 흡입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빗작동부(24)는 빗(27)과 연결된 아암(27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거나 자를 수 있는 길이로 빗어주도록 구성되며, 가위작동부(24)는 가위(28)를 작동시키는 가위작동기구(28b)와 연결된 아암(28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함과 동시에 가위작동기구(28b)를 통해 가위(28)를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빗(26) 위쪽의 대상자 머리카락을 자르도록 구성되고, 이발기작동부(25)는 이발기(29)와 연결된 아암(29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빗 위쪽의 짧은 머리카락을 이발기(29)를 통해 자르도록 구성된다.
퍼머부(30)는 캡(3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3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머리카락의 길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감지신호를 송출하 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캡(31)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33)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주면서 빗(36)에 구비된 퍼머액분출구(36b)를 통해 퍼머액을 분사하고, 집게작동부(34)와 고정틀작동부(35)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말아올리도록 구성된 것으로, 빗작동부(33)는 빗(36)과 연결된 아암(36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며, 빗(36)에 구비된 퍼머액분출구(36b)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퍼머액을 발라주도록 구성되고, 집게작동부(34)는 집게(37)를 작동시키는 집게작동기구(37b)와 연결된 아암(37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함과 동시에 집게작동기구(37b)를 통해 집게(37)를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빗(36)을 통해 빗겨진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아래로부터 말아올리도록 구성되며, 고정틀작동부(35)는 고정틀(38)과 연결된 아암(38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집게(37)를 통해 말아올린 머리카락 위쪽에 고정틀(38)을 고정해주도록 구성되고, 고정틀(38)을 고정한 다음 집게(37)를 빼낼 때 슬립작용이 일어나도록 집게(37)에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가락지(39)가 더 구비된다.
수세부(40)는 캡(4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4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캡(41) 내부 일측에 구성된 세척액분출구(43)를 통해 세척액을 뿌려주면서 캡(41) 내부에 구비된 인조손작동부(44)을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수축 신장시키면서 세척해주고, 캡(41) 내부 일측에 구성된 다수의 물분 출구(45)를 통해 물을 뿌려 대상자의 머리를 감겨주도록 구성된 것으로, 인조손작동부(44)의 인조손(46)을 작동시키는 인조손작동기구(미도시)와 연결된 아암(46a)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인조손작동기구를 통해 인조손(46)을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감져주도록 구성되며,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감긴 다음 물이 캡(41) 외부로 누수되지 않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캡(41) 내부 앞쪽에는 대상자의 머리카락 경계부위와 밀착되는 튜브(47)가 구비되고, 캡(41) 하부에는 배수구(4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수세부(40)에는 대상자의 머리카락이 긴 경우 머리카락을 담아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머리카락을 감겨주는 에어튜브주머니(49)가 더 구비된다.
셋팅 건조부(50)는 캡(5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5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캡(51)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액분출구(53)를 통해 스프레이액을 분사하면서 캡(51)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54), 드라이작동부(55)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셋팅 및 건조해주도록 구성된 것으로, 빗작동부(54)는 빗(56)과 연결된 아암(56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거나 자를 수 있는 길이로 빗어주도록 구성되며, 드라이작동부(55)는 드라이어(57)와 연결된 아암(57a)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바람을 불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스피커(15)가 구비되어 대상자가 컷팅부(20) 또는 퍼머부(30)에 위치하면 각 부위의 카메라(22)(32)를 통해 감지된 대상자의 머리 모양과 머리카락 길이 정보를 연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대상자의 헤어스타일에 대해 충고 및 권장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5)를 통해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컷팅부(20)와 퍼머부의 빗(27)(36)에는 열감지센서(27c)(36c)가 부착되고, 수세부(40)의 인조손(46) 손가락 끝부분에도 머리카락과 머리의 거리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46c)가 각각 부착된다.
또한, 지주(14)는 대상자의 키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지주(14)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6)가 고정되고, 지지대(16)의 하면에는 헤어스타일링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17)가 장착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8은 각 부위와 회전체(12)를 연결해주는 연결대이고, 19는 각 부위를 접을 수 있도록 연결대(18)에 구비된 힌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로봇은 각 부위의 캡(21)(31)(41)(51)이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캡(21)(31)(41)(51)을 접어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장소에 이동시켜 보관하면 되고, 사용할 때에는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 각각의 캡(21)(31)(41)(51)을 펴서 사용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본체(10) 일측에 구비된 키입력부(13)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드로 선택해주게 되면 본체(10) 내부의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키입력부(13) 를 통해 선택된 부위가 본체(10)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는 본체(10)의 전면 중앙에 앉은 상태로 키입력부(13)에 구비된 작동버튼을 누르면 각 부위의 로봇팔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컷팅해주거나, 퍼머해주거나, 수세해주거나, 셋팅 및 건조해주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컷팅부(20), 퍼머부(30), 수세부(40), 셋팅 건조부(50)의 작동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컷팅부(20)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메모리에 입력된 모든 정보에 따라 스포츠의 짧은 머리부터 긴 머리 헤어스타일까지 컷팅할 수 있는 것으로, 캡(21)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카메라(2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머리카락 길이 등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메모리에 입력된 데이터를 로딩시켜 상기 접수된 대상자 정보와 비교 연산하여 대상자의 헤어스타일에 대하여 충고 및 권장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5)를 통해 송출하게 되며, 사용자는 그 음성정보를 듣고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을 키입력부(13)를 통해 선택한 후 작동시작 버튼을 눌러 컷팅작동이 시작된다.
컷팅동작은 크게 빗작동부(23), 가위작동부(24), 이발기작동부(25)가 각기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컷팅해주는 것으로, 빗작동부(23)의 빗(27)에 연결된 아암(27a)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주게 되며, 이때 빗(27)에 장착된 열감지센서(27c)를 통해 대상자 두피 열을 감지함과 동시에 두피와 머리카락 사이의 길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대상자의 두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머리카락만을 컷팅해주도록 가위작동부(24)와 이발기작동부(25) 구동명령을 하달하게 된다.
가위작동부(24)의 가위(28)와 이발기작동부(25)의 이발기(29)와 연결된 각각의 아암(28a)(29a) 역시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가위(28)와 이발기(29)를 마치 사람의 손이 움직이면서 머리카락을 컷팅하는 것과 같이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가위작동부(24)의 가위(28)에는 가위작동기구(28b)가 연결되어 있어 가위(28)를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빗(27) 위쪽의 머리카락을 잘라주게 되고, 이발기(29)는 머리카락과 피부의 경계부위쪽 짧은 머리를 잘라주게 된다.
물론, 각 부위의 모든 동작시 다수의 카메라(22)는 지속적으로 이를 감시하여 그 감시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그 신호에 따라 각 부위를 적절히 구동하게 됨은 자명하다.
또한, 빗작동부(23), 가위작동부(24), 이발기작동부(25)의 각 아암(27a)(28a)(29a)은 도면상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린더, 스크류, 모터, 크랭크 등 다양한 기계 기구를 연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하달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자명하다.
또한, 가위(28) 또는 이발기(29)에 의해 대상자의 머리카락이 컷팅되는 순간 컷팅된 머리카락이 대상자의 몸 또는 옷에 떨어지지 않도록 진공흡입구(26)를 통해 컷팅된 머리카락들을 흡입 배출해주게 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캡(21)에는 진공흡입구(26)와 통하도록 진공발생기가 구비되고, 이러한 진공발생기 역시 마이크 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따라 작동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한 빗작동부(23), 가위작동부(24), 이발기작동부(25)를 캡(21) 내부에 4개씩 구비한 상태에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임의로 4등분하여 4면에서 동시에 컷팅작업을 해주게 되면 컷팅작업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퍼머부(30)에서도 캡(4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4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및 머리카락 길이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메모리에 입력된 데이터를 로딩시켜 상기 접수된 대상자 정보와 비교 연산하여 대상자에 맞는 퍼머에 대해 충고 및 권장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5)를 통해 송출하게 되며, 사용자는 그 음성정보를 듣고 자신이 원하는 퍼머 스타일을 키입력부(13)를 통해 선택한 후 작동시작 버튼을 눌러 퍼머작동이 시작된다.
퍼머동작은 크게 빗작동부(33), 집게작동부(34), 고정틀작동부(35)가 각기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주면서 퍼머액을 발라주고, 집게(37)로 집어 아래로부터 차례차례 말아준 후 고정틀(38)을 끼워 고정해주는 동작이 연속진행되는 것으로, 빗작동부(33)의 빗(36)에 연결된 아암(36a)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주면서 빗(36)에 구비된 퍼머액분출구(36b)를 통해 퍼머액이 흘러나와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퍼머액을 묻혀주면 집게작동부(34)가 구동하여 집게(37)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집은 상태에서 집게(37)를 360°회전시켜 말아주고, 고정틀작동부(35)가 작동하여 고정틀(38)을 집게(37) 위쪽에 씌운 상태에서 집게(37)를 빼내면 되고, 이러한 동작을 대상자의 머리카락 하단부에 서부터 순차 위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퍼머부(30)에는 다수의 파이프가락지(39)가 구비되어 있어 집게(37)에 파이프가락지(39)를 끼운 상태에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말아주게 되면 집게(37)를 통해 머리카락을 말아준 상태에서 고정틀(38)을 끼우고 집게(37)를 빼낼 때 집게(37)가 슬립되면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퍼머액이 머리카락에 스며들어 머리카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동안 일정시간 대기상태에 있다가 다시 퍼머해제모드를 선택하면 고정틀작동부(35)가 구동하여 고정틀(38)을 대상자의 머리카락으로부터 벗겨내면 퍼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빗(36)에 열감지센서(36c)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빗으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줄 때 두피의 열을 감지함과 동시에 두피로부터 머리카락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면 그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집게작동부(34)를 구동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두피로부터 머리카락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만 머리카락을 감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퍼머부(30)의 각 부위에 연결되는 아암(36a)(37a)(38a) 역시 컷팅부(2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스크류, 모터, 크랭크 등 다양한 기계 기구를 연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하달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자명하다.
머리카락을 컷팅하거나 퍼머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수세해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도 대상자는 키입력부(13)를 통해 수세모드를 선택하여 수 세부(40)를 본체(10)의 전면 중앙에 오게 한 후 수세부(40)의 튜브(47)를 자신의 머리카락 경계부에 씌워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 후 수세부(40)를 동작시키게 된다.
수세부(40)는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물을 적셔준 후 세척액을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분출하고 인조손(46)을 통해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감겨주며, 물을 분사하여 세척액을 씻어내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캡(4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4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송출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물분출구(45)를 통해 물을 분출시켜 대상자의 머리를 적셔주고, 이후 세척액분출구(43)를 통해 세척을 분출한 후 대상자의 머리 위치에 맞게 인조손작동부(44)를 구동하게 된다.
인조손작동부(44)의 인조손(46)에 연결된 아암(46a)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 위치에 맞게 인조손(46)을 위치시키게 되고, 인조손작동기구를 통해 인조손(46)을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세척해주게 되고, 세척이 완료되면 물분출구(45)를 통해 물이 분출되어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묻은 세척액을 씻어주게 되는데, 수세부(40)의 캡(41)에는 튜브(47)가 대상자의 머리카락 경계부와 밀착되어 있고, 캡(41) 하부에는 배수구(4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물이 캡(41)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배수구(48)를 통해 그대로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조손(46)의 손가락 끝에는 열감지센서(46c)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 인조손(46)이 대상자의 머리카락과 접촉될 때 대상자의 열을 감지하여 두피로부터 머리카락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인조손(46)을 구동하여 대상자의 두피를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로 머리카락을 감겨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머리카락이 긴 경우 머리카락을 에어튜브주머니(49)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세부(40)를 구동하게 되면 에어튜브주머니(49)가 마치 손가락으로 주무르는 것과 같이 머리카락을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머리카락을 감겨줄 수 있어 머리카락이 길거나 짧은 것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머리를 감겨줄 수 있는 것이다.
머리를 감은 후에는 머리카락을 셋팅하면서 건조시켜주게 되는데, 셋팅 건조부(50)에서도 캡(51)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52)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는 빗작동부(54)와 드라이작동부(55)를 대상자의 머리위치에 맞게 구동해주게 된다.
빗작동부(54)의 빗(56)과 드라이작동부(55)의 드라이어(57)에 연결된 각각의 아암(56a)(57a)이 전후진, 스윙, 회전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 위치에 맞게 드라이어(57)를 통해 바람을 발생시켜 머리카락을 건조시켜줌과 동시에 빗질을 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페레이액분출구(53)를 통해 스프레이액이 대상자의 머리에 분출되어 셋팅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수세부(40)와 셋팅 건조부(50)의 각 부위에 연결된 아암(46a)(56a)(57a)은 컷팅부(20) 및 퍼머부(3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스크류, 모터, 크랭크 등 다양한 기계 기구를 연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하달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하나의 헤어스타일링 로봇을 통해 컷팅, 퍼머, 수세, 셋팅 건조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헤어스타일링 로봇은 일반적인 가정에 구비할 경우 굳이 미용실이나 이발소에 가지 않고도 집안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미용실에 구비할 경우에도 인력없이도 자동으로 헤어스타일링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퍼머부에 지짐머리,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셋팅 건조부에도 건조와 동시에 헤어스타일을 다양한 형상으로 셋팅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추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머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팅 건조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부위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회전체 13 : 키입력부
14 : 지주 15 : 스피커
16 : 지지대 17 : 캐스터
18 : 연결대 19 : 힌지
20 : 컷팅부 21,31,41,51 : 캡
22,32,42,52 : 카메라 23,33,54 : 빗작동부
24 : 가위작동부 25 : 이발기작동부
26 : 진공 흡입구 27,36,56 : 빗
27a,28a,29a,36a,37a,38a,46a,56a,57a : 아암
27c,36c,46c : 열감지센서 28 : 가위
28b : 가위작동기구 29 : 이발기
30 : 퍼머부 34 : 집게작동부
35 : 고정틀작동부 36b : 퍼머액분출구
37 : 집게 37b : 집게작동기구
38 : 고정틀 39 : 파이프가락지
40 : 수세부 43 : 세척액분출구
44 : 인조손작동부 45 : 물분출구
46 : 인조손 47 : 튜브
48 : 배수구 49 : 에어튜브주머니
50 : 셋팅 건조부 53 : 스프레이액분출구
55 : 드라이작동부 57 : 드라이어

Claims (9)

  1.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양한 헤어스타일링 정보와 인물 정보를 메모리에 내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당해 정보를 로딩하여 헤어스타일링 명령을 하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캡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머리카락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 가위작동부, 이발기작동부를 가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컷팅하며, 상기 캡 내부 일측에 구비된 진공 흡입구를 통해 상기 잘려진 머리카락을 흡입 배출하는 컷팅부;
    캡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모양, 머리카락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빗어주면서 빗에 구비된 퍼머액분출구를 통해 퍼머액을 분사하고, 집게작동부와 고정틀작동부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말아올리는 퍼머부;
    캡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캡 내부 일측에 구성된 세척액분출구를 통해 세척액을 뿌려주면서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된 인조손을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수축 신장시키면서 세척해주고, 캡 내부 일측에 구성된 다수의 물분출구를 통해 물을 뿌려 대상자의 머리 를 감겨주는 수세부; 및
    캡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액분출구를 통해 스프레이액을 분사하면서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된 빗작동부, 드라이작동부를 구동하여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셋팅 및 건조해주는 셋팅 건조부로 구성되며;
    상기 컷팅부, 상기 퍼머부, 상기 수세부, 상기 셋팅 건조부의 각각의 캡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키입력부의 모드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는 스텐드 형상의 지주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정보를 입력하거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대상자가 상기 컷팅부 또는 상기 퍼머부에 위치하면 상기 각 부위의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대상자의 머리 모양과 머리카락 길이 정보를 연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대상자의 헤어스타일에 대해 충고 및 권장하는 음성정보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의 빗작동부는 빗과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거나 자를 수 있는 길이로 빗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위작동부는 가위를 작동시키는 가위작동기구와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가위작동기구를 통해 상기 가위를 오므렸다폈다하면서 상기 빗 위쪽의 대상자 머리카락을 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발기작동부는 이발기와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상기 빗 위쪽의 짧은 머리카락을 상기 이발기를 통해 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머부의 빗작동부는 빗과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며, 상기 빗에 구비된 퍼머액분출구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퍼머액을 발라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게작동부는 집게를 작동시키는 집게작동기구와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집게작동기구를 통해 상기 집게를 오므렸다폈다하면서 상기 빗을 통해 빗겨진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아래로부터 말아올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틀작동부는 고정틀과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상기 집게를 통해 말아올린 머리카락 위쪽에 고정틀을 고정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틀을 고정한 다음 상기 집게를 빼낼 때 슬립작용이 일어나도록 상기 집게에 끼워지는 다수의 파이프가락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부의 인조손을 작동시키는 인조손작동기구와 연결된 아암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상기 인조손작동기구를 통해 상기 인조손을 오므렸다폈다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감져주도록 구성되며;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감긴 다음 물이 캡 외부로 누수되지 않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캡 내부 앞쪽에는 대상자의 머리카락 경계부위와 밀착되는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캡 하부에는 배수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부에는 대상자의 머리카락이 긴 경우 머리카락을 담아 오므렸다폈 다하면서 머리카락을 감겨주는 에어튜브주머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 건조부의 빗작동부는 빗과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을 쓸어내리거나 자를 수 있는 길이로 빗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드라이작동부는 드라이어와 연결된 아암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후진 동작, 스윙 동작, 회전 동작하면서 대상자의 머리카락에 바람을 불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 또는 상기 퍼머부의 빗에는 두피와 머리카락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부의 인조손 손가락 끝부분에는 두피와 머리카락의 거리를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로봇.
KR1020090078623A 2009-08-25 2009-08-25 헤어스타일링 로봇 KR10104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23A KR101046089B1 (ko) 2009-08-25 2009-08-25 헤어스타일링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23A KR101046089B1 (ko) 2009-08-25 2009-08-25 헤어스타일링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52A KR20110021052A (ko) 2011-03-04
KR101046089B1 true KR101046089B1 (ko) 2011-07-01

Family

ID=4393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623A KR101046089B1 (ko) 2009-08-25 2009-08-25 헤어스타일링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919A (zh) * 2017-01-03 2018-07-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头罩及其控制方法、终端及其处理方法
US20200245738A1 (en) * 2019-02-06 2020-08-06 CEBU Consulting, LLC Automatic Brush for Creating Waves in Hair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KR102166209B1 (ko) * 2019-12-30 2020-10-15 박진숙 헤어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508Y1 (ko) 2003-05-12 2003-08-21 김유목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JP2008161652A (ja) 2007-01-03 2008-07-17 Yojiro Takai 収納一体型吸引式整髪機器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20090041959A (ko) * 2007-10-25 2009-04-29 박동용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파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508Y1 (ko) 2003-05-12 2003-08-21 김유목 자동 세발 및 건조장치
JP2008161652A (ja) 2007-01-03 2008-07-17 Yojiro Takai 収納一体型吸引式整髪機器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20090041959A (ko) * 2007-10-25 2009-04-29 박동용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파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52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089B1 (ko) 헤어스타일링 로봇
US10791813B2 (en) Automatic hair washing device
TW200808217A (en) Permanent wav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LV14229B (lv) Kombinēta ierīce matu apstrādei
CN114650747A (zh) 头发造型设备
JP2010504780A (ja) ドレッドロックス状態に絡みついた長い房となるように髪の毛を整える装置
US20100031970A1 (en) Hair scruncher
US5765253A (en) Hair brush with replaceable second handle
US4471791A (en) Hair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CN206534270U (zh) 免洗头发梳
KR100473380B1 (ko) 자동 세발장치
KR101810330B1 (ko) 에어 분사기능이 구비된 머리빗
KR20090060556A (ko) 퍼머용 롯드
CA3204197A1 (en) Hairstyling edge-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3101502B2 (ja) 自動洗髪機
CN206238981U (zh) 一种浴室镜
KR200304031Y1 (ko) 자동 세발장치
KR20170096914A (ko) 분사장치를 탑재한 헤어 드라이기
KR20030083580A (ko) 곱슬머리 교정 용구와 곱슬머리 교정 방법
EP0107748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combinés d'aspiration et de séchage pour effectuer la mise en forme des chevelures
KR20200142434A (ko) 메이크업용 브러쉬 세척기
CN108835830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自动化洗头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60029B1 (ko) 초음파 세척을 이용한 무인 자동 세발 장치
KR102433058B1 (ko) 헤어 스타일러
CN218898687U (zh) 头部洗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