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343Y1 -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343Y1
KR200323343Y1 KR20-2003-0015326U KR20030015326U KR200323343Y1 KR 200323343 Y1 KR200323343 Y1 KR 200323343Y1 KR 20030015326 U KR20030015326 U KR 20030015326U KR 200323343 Y1 KR200323343 Y1 KR 200323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jection
present
injection molding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한상훈
이시호
김선우
신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3-0015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6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plastics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채광 목적의 유리창을 가지는 실내 혹은 실외에 사용되어지는 건축용 도어를 생산함에 있어서, 도어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완충재료나 강도 향상 목적의 목재를 삽입하지 않은 채로 제품 자체의 리브(Rib)를 이용하여 강성과 완충 특성을 지니게 하고, 별도로 조립을 위한 접착재나 나사 등 부재료의 사용없이 제품자체에 성형된 후크(Hook)와 홈으로 조립함으로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특히 앞 뒷면을 동일한 한개 제품으로 성형하고 조립할 수 있게 설계함으로써 투자비 최소화를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plactic door using injection molding}
본 고안은 사출성형공법을 적용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공법의 장점인 디자인 자유도를 극대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최소화하며, 금형 투자비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동일형상의 앞면과 뒷면을 형성한 사출성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나무나 나무류 소재를 이용하여 만든 나무도어를 대체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도어들이 생산되고 있다.
플라스틱 도어는 주로 PVC나 ABS 혹은 섬유보강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여 도어 형틀을 만들고, 표면에는 Deco sheet film을 부착하며, 도어 내부에는 확장 가능한 합성수지(expandable synthetic thermoplastic reins such as expandable polystyrene, impact polystyrene or rubber reinforced polystyrene)를 발포 충진하거나 벌집 모양의 종이 보강재를 채운 후 도어의 가장 외곽쪽에 목재 심지를 집어넣어 주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크기별로 재단하여 판매된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도어는 나무 도어에 비해 내구성이나 치수 안정성 및 수분 저항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도어 형틀의 압출, 충진재 발포, 표면에 Deco sheet 부착, 도어 크기별 절단/조립 등 복잡한 조립 공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도어로서의 장점을 최대한 유지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제조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플라스틱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중인 플라스틱 도어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 도어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도어의 앞/뒷면(또는 상/하면)의 조립구조(스냅핏)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기존 제품의 모서리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도어의 모서리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손잡이부 및 힌지부에 목재류 심재가 보강된 사출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문틀
3: 리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도어에 있어서, 확장가능한 합성수지 폼의 발포 충진이나 벌집 형태의 보강재 없이 사출성형된 자체의 리브(Rib)에 의해 강성을 유지하며, 상기 리브를 포함한 각 도어 부재가 스냅핏(Snap fit) 체결 또는 후크결합으로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도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사출도어는 하나의 금형만을 사용하여 제조비를 최소화하도록, 도어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하부가 동일 형상의 축대칭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사출성형 제품의 앞 뒷면(혹은 상·하면)을 한 개의 금형(One mold)으로부터 축대칭 사출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사출도어는 원활한 개폐를 목적으로, 측면 모서리부가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도어 내부를 향해 1 내지 20°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이 너무 크면 기밀성과 외관미가 저하되며, 너무 작으면 목적하는 원활한 개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사출도어는 보강 목적 및 시공용이를 위하여, 손잡이부 및 힌지부나 경첩부에 목재류의 심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용중인 플라스틱 도어인 강화섬유 플라스틱 SMC(Sheet Molding Compound)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출도어(1)는 내부에 채광 목적의 유리창을 가지는 실내 혹은 실외에 사용되어지는 건축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 내부 전체를 강도 향상 목적의 확장가능한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충진하거나 벌집모양의 보조재를 충진하지 않는 대신, 도어 자체의 하중이나 예상치 못한 외부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굽힘이나 뒤틀림 혹은 도어의 파손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구조 강도(Rigidity) 및 충격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출성형 제품 자체의 사각형 그물구조의 리브(3) 배치를 가진다.
상기 사각형 그물구조의 리브(3) 배치는 도어 손잡이부, 힌지부 및 유리 지지부를 중심으로 설계된다.
도어 크기는 보통 1.5 m 이상이므로 1.5 m 이상에서도 무리없이 충진될 수 있는 고유동의 플라스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별도 조립을 위한 접착재나 나사 등 부재료의 사용없이 제품을 조립하기 위해 사출성형 제품 자체에 성형된 스냅 핏(Snap-fit)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A와 B 부분이 대표적인 스냅 핏 또는 후크(Hook) 구조이다.
도 4는 기존 도어의 시공시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대패질한 모서리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도어는 한 번 대패질하면 좌/우(또는 상/하)가 구분되어 시공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과의 원활한 개폐를 목적으로 측면 모서리부가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도어(1) 내부를 향해 1 내지 20°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앞/뒷면 도어에 축대칭 구조 설계를 적용하여 한 개의 금형(One mold)으로부터 사출한 제품으로 플라스틱 도어를 만들 수 있게 한 구조로서, 제조 투자비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손잡이부 및 힌지부에 목재류 심재가 보강된 사출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어 손잡이부(D)와 힌지부(C) 혹은 경첩부에는 제품 조립시 나무와 같은 보강 목적의 다른 소재를 채워넣어 잠금장치 및 경첩의 시공이 용이하게 하며, 이들의 체결력 및 충격저항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출도어는 종래의 플라스틱 도어와 압출도어처럼 절단이 필요없으며, 강도 향상 목적의 합성수지 폼의 발포충진이나 벌집 모양의 보강재가 필요없다. 또한, 조립을 위한 접착재나 나사 등의 부재료가 필요없으며, 다수의 금형으로 사출하지 않고 하나의 금형만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금형비를 포함하는 투자비의 절감, 조립공정의 획기적인 단순화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Claims (4)

  1.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도어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자체의 리브(Rib)에 의해 강성을 유지하며,
    상기 리브를 포함한 각 도어 부재가 스냅핏(Snap fit) 체결 또는 후크결합으로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도어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하부(앞뒷면)가 동일 형상의 축대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모서리부가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도어 내부를 향해 1 내지 20°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도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 힌지부 또는 경첩부에 목재류의 심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도어.
KR20-2003-0015326U 2003-05-19 2003-05-19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KR200323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326U KR200323343Y1 (ko) 2003-05-19 2003-05-19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326U KR200323343Y1 (ko) 2003-05-19 2003-05-19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343Y1 true KR200323343Y1 (ko) 2003-08-14

Family

ID=4941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326U KR200323343Y1 (ko) 2003-05-19 2003-05-19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638B2 (en) Press molded doo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stile structure
JP5162171B2 (ja) クォータウインドウ
CA2342547C (en) A refined assembly structure of hubbed door installed with glass
DK2191090T3 (da) Dør- eller vinduesrammesamling af ekstruderet plast og fiberforstærket koekstrudat
KR101306421B1 (ko)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럭 데크
CA2477529A1 (en) Load bearing article
US20030145532A1 (en) One-piece injection molded window frame and sash
US8925751B2 (en) Door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ion device
WO2005035928B1 (en) Window sleeve for mounting framed windows
CN201723067U (zh) Pvc塑木复合门窗
KR200323343Y1 (ko) 사출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도어의 조립구조
KR101228352B1 (ko) 마감캡이 구비된 도어
KR101281409B1 (ko) 조립식 도어
US3985175A (en) Foam plastic injection molding
KR200346972Y1 (ko) 무기심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도어
KR100614835B1 (ko) 합성수지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390872Y1 (ko) 창호용 보강재
KR100356410B1 (ko) 골조를 갖는 압출성형재 문짝과 문틀 및 그 제조방법
CN209972127U (zh) 车辆角窗和车辆
KR200355664Y1 (ko) 미닫이 문틀 및 창문틀의 조립구조
KR200373340Y1 (ko)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몰딩마감재
JP3910238B2 (ja)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80000757U (ko) 발포성 합성수지 문틀구조
JP3067844U (ja) 新規な内部補強部材又は封辺角材を有するシ―トモ―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からなる戸又はウイング構造物
KR100747698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건물 벽체용 발포플라스틱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