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836B1 -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836B1
KR100333836B1 KR1019990013521A KR19990013521A KR100333836B1 KR 100333836 B1 KR100333836 B1 KR 100333836B1 KR 1019990013521 A KR1019990013521 A KR 1019990013521A KR 19990013521 A KR19990013521 A KR 19990013521A KR 100333836 B1 KR100333836 B1 KR 100333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urface portion
door
bui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437A (ko
Inventor
전대우
Original Assignee
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우 filed Critical 전대우
Priority to KR101999001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8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2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between a jamb and the threshold or sill of window or do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06B2003/225Means for stabilising the insert
    • E06B2003/226Means for stabilising the insert by adhesives or filling up the remainder of the cavity, e.g. together with f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경량화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면 강화제를 이용하여 도어프레임의 외곽을 형성하는 표면부와 도어프레임의 골조를 이루고 상기 표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표면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표면부의 내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고착시키고 상기 표면부의 형상을 보지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DOOR FRAME STRUCTURE FOR A BUILDING DOOR}
본 발명은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경량화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건축물에 적용되는 도어는 개폐방식 및 형상에 따라 여닫이식, 미닫이식, 셔터식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은 여닫이식에 관계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여닫이식 도어의 구성은 도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의 개공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과, 이 도어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에 장착되어 이의 개폐에 따라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도어를 건축물에 고정시켜주고, 도어의 테두리 부분과 정합되면서 그 내부를 밀폐시켜 주는 도어 프레임은 그 용도상 도어를 충분히 지지하여 줄 수 있는 강성과, 장기간 사용해도 변형 및 파손이 되지 않는 내구성 및 내식성을 보유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시공시 편리함을 위하여 경량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매끈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만일의 화재 사고 발생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도어 프레임을 살펴보면, 옛부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재 프레임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시멘트 프레임과,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PVC 프레임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목재 프레임의 경우에는 주위에서 쉽게 목재를 구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습기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약하여 그 사용범위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시멘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비틀림이 적고 부식이 없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다른 물체와 부딪치는 경우에 쉽게 깨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VC 프레임의 경우에는 압축성형으로 제작이 용이하며, 경량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화재 발생시 연소되면서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화재 진압에 장애가 되고, 질식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을 증대시키고, 경량화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켜서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자체중량을 경량화하여 용이한 시공으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실시예의 조립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Ⅱ-Ⅱ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조립부위의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표면부 4 : 지지부재
6 : 발포성충진제 8 : 보강망
10 : 도어프레임 12 : 경첩고정부
14 : 도어 록킹부 16 : 도어 경첩
18 : 도어경첩 고정볼트 20 : 고정브라켓
22 : 캡 24 : 돌출부
26 : 오목부 28 : 도어프레임 고정볼트
30 : 가이드 32 : 너트
34 : 와셔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강화제를 이용하여 도어프레임의 외곽을 형성하는 표면부와 도어 프레임의 골조를 이루고 상기 표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표면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표면부의 내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고착시키고 상기 표면부의 형상을 보지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을 갖는 표면부(2)와, 상기 표면부 내측에 위치하여 보강수단을 형성하는 지지부재(4)와 상기 표면부 내측 공간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충진제(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표면부는 표면 강화제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강화 프라스틱등의 원료로서,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표면부(2)는 도어 프레임의 외곽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재질의 특성상 일정 강성이 유지되고, 외측면이 매끈하게 처리됨으로서, 이의 외측면에 각종 도료를 도포할 수 있게 되는 바, 외관을 장식하는 데 많은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부를 내부가 밀폐공간이 되도록 밀폐형으로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시공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벽측으로 은폐되는 부위는 개구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부에 내장되는 상기의 지지부재는 도어 프레임의 골조로서, 봉상의 부재가 적용되며, 적용숫자는 도어 프레임의 단면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부의 각 모서리마다 지지부재를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에는 또 다른 보강수단으로 보강망(8)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의 보강망은 철망, 화이버 글라스 매시(Fiber Glass Mesh)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인장 및 압축 하중에 대하여 견고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면부(2)의 형상을 따라 상기 보강망(8)을 형성하고, 벽측으로 은폐되는 부위는 개구시킴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상기 표면부(2)의 내측 공간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충진재(6)는 기포 콘크리트, 폴 콘크리트와 같은 원료가 사용되는데, 이들 원료는 기존 콘크리트에 비하여 크게 경량화할 수 있으나, 이들의 약점인 취성등은 충진재의 타설에 의해 매몰되는 지지부재(4)와 보강망(8) 등에 의하여 기존 콘크리트 프레임보다 뛰어난 강성과 내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내부 단면은 외측으로부터 표면부와 이 표면부에 내장되는 지지부재, 그리고 표면부 내부로 충진되는 충진재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은 격자구조, 원형구조, 아치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구조의 도어프레임 조립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실시예의 조립 정면도로서, 부호 10은 도어 프레임을 총칭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0)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한쌍의 종방향 부재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상, 하단부에 조립되는 한쌍의 횡방향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에는 도어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경첩고정부(12)가 도어의 개폐에 적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도어 프레임의 중간부에는 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도어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장착되는 도어록킹부(14)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Ⅰ-Ⅰ부의 단면도로서 상기 경첩고정부(12)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경첩고정부위의 표면부와 보강망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의 힌지부를 형성하는 도어경첩(16)을 고정하는 고정볼트(18)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20)을 상기 보강망(8)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시에 신속히 도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Ⅱ-Ⅱ부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어록킹부(14)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어록킹부위의 표면부와 보강망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도어 스트라이커를 안착시키기 위한 캡(22)을 상기 관통홀에 삽입하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이를 고정하여 시공시에 신속히 도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탈식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각 도어 프레임의 단부에는 조립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의 조립시 피팅(fitting)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조립후 각 도어 프레임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편의 도어 프레임의 경사면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는 다른 한 쌍의 도어 프레임의 경사면에는 상기 돌출부(24)와 끼워맞춤될 수 있는 오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4)와 오목부(26)의 형상으로는 사각형상, 테이퍼진 사각형상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각 형상으로서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를 가진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은 시공시에 상기 돌출부(24)를 오목부(26)에 끼워맞춤으로써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의 고정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접착방식과 볼트 너트 체결 방식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너트 체결방식에 의한 체결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어느 한 쪽 도어프레임에는 볼트를 고정하고, 이에 조립되는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어 너트가 체결될 수 있는 조립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프레임 고정볼트(28)의 내단부를 상기 오목부(26)에 삽입하고 지지부재(4)에 의해 고정시킴과 동시에 충진재에 의해 매몰된 상태에서 그 나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28)를 관통시키며 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24)에는 가이드(30)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24)가 벽면과 닿는 부분은 사각형상의 쳄퍼를 주어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조립부를 통해 고정볼트(28)가 너트(32) 및 와셔(34)에 의해 체결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12)은 보다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형성되고 조립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창호로 된 도어 프레임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도어 프레임과 형상만 다르고 제조 공정과 조립되는 과정이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도어 프레임은 도어 프레임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켜서 도어 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하고, 착탈식으로 조립되므로 조립이 간편하며 외관이 미려하며 도어 프레임 자체의 중량을 경감시킴으로써 운반이나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표면 강화제를 이용하여 도어프레임의 외곽을 형성하는 표면부, 도어프레임의 골조를 이루며 상기 표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표면부의 내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고착시키고 상기 표면부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충진제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으로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표면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보강망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와 보강망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보강망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와 보강망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 스트라이커를 안착시키기 위한 캡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표면부와 보강망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에는 조립시 피팅(fitting)이 용이하도록 조립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조립후 각 도어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편의 도어프레임의 경사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는 도어프레임의 경사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끼워맞춤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추가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에 형성되는 고정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KR1019990013521A 1999-04-16 1999-04-16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KR10033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521A KR100333836B1 (ko) 1999-04-16 1999-04-16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521A KR100333836B1 (ko) 1999-04-16 1999-04-16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437A KR20000066437A (ko) 2000-11-15
KR100333836B1 true KR100333836B1 (ko) 2002-04-25

Family

ID=1958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521A KR100333836B1 (ko) 1999-04-16 1999-04-16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18B1 (ko) * 2010-10-12 2011-10-19 김종식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범창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48B1 (ko) * 2006-07-04 2007-08-22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 및 도어세트
KR100751544B1 (ko) * 2006-07-04 2007-08-22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 및 도어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70B1 (ko) * 1988-02-06 1992-01-06 조성호 합성수지새시 및 그 새시로서 이루어지는 창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70B1 (ko) * 1988-02-06 1992-01-06 조성호 합성수지새시 및 그 새시로서 이루어지는 창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18B1 (ko) * 2010-10-12 2011-10-19 김종식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범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437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420A (en) Casement window
EP2394013B1 (en) A window having a sash and an improved connection to the hinge
US6430889B1 (en) Framing structure for openings, particularly doorway side lights
KR100333836B1 (ko) 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KR200448768Y1 (ko) 방음벽용 프레임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US20060236622A1 (en) Storm panel assembly
CA2296157C (en) Patio door with integral glazing frame
CZ286692B6 (en) Window or door with louver box
US6550204B1 (en) Composite door construction
JP6938148B2 (ja) 建具
JPS6224705Y2 (ko)
KR101223465B1 (ko) 조립형 돌출마감재를 이용한 창호프레임 시공방법
KR100870240B1 (ko) 덧판을 가진 문틀 및 창틀 구조
KR19990022655U (ko) 도어고정용문틀
KR940006125Y1 (ko) 유리문용 단부프레임
ES1064237U (es) Cerco con premarco para puertas y ventanas en fachadas.
JP2001090416A (ja) サッシ施錠装置の受け具取付構造およびサッシ
JPS6343345Y2 (ko)
JPS6028765Y2 (ja) 出隅・入り隅部用サッシ
JP2002213169A (ja) 後付けシャッターの取付構造
KR200400151Y1 (ko) 목조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JP6614814B2 (ja) サッシ
KR100512471B1 (ko) 건축물 외벽 창호 소음 저감 시공 방법
KR970003400Y1 (ko) 써멀 브레이크(thermar brea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