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990Y1 -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990Y1
KR200322990Y1 KR20-2003-0013557U KR20030013557U KR200322990Y1 KR 200322990 Y1 KR200322990 Y1 KR 200322990Y1 KR 20030013557 U KR20030013557 U KR 20030013557U KR 200322990 Y1 KR200322990 Y1 KR 200322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sorting
waste food
cyclon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일환
Original Assignee
고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일환 filed Critical 고일환
Priority to KR20-2003-0013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Abstract

본 고안은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이물질에서 금속과 비금속 및 비닐을 능률적으로 효율좋게 그리고 성력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폐음식물 파쇄기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고형물과 비닐로 선별하는 선별 사이클론과; 선별 사이클론에서 낙하되는 고형물을 금속과 비금속으로 선별하여 각각 배출시키는 금속 선별기와; 선별 사이클론 속의 비닐을 흡입팬으로 빨아내어 비닐 필터로 수집하는 비닐 수거기로 이루어진 폐음식물 파쇄기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Different material sorter of crusher for waste food}
본 고안은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금속편 등의 고형물과 비닐지 조각 등의 부유성 이물질로 효율좋게 분리 수거할 수 있게 한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폐음식물에는 순수한 잔반이기 보다는 이물질이 섞인 경우가 더 많다. 이물질이 섞인 폐음식물은 사료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뿐만아니라 탈수하여 유기질 비료화하기도 곤란하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나 민간이 운영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에서는 이러한 이물질을 파쇄하기 전 또는 후에 이물질을 인력을 빌어서 혹은 기계화된 선별기를 이용하여 골라내는 선별작업을 필수적 요건일 정도로 중요시 하고 있다. 이물질 선별기 중에는 자동 선별기능을 가진 파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파쇄하여 순수 폐음식물과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도록 한 것도 있다.
이물질 자동 선별기능을 가진 폐음식물용 파쇄기에서 파쇄된 후 순수 폐음식물과 따로 배출되는 배출물 중에는 나무 또는 금속제 젓가락이나 그 토막·이쑤시개·뼈조각처럼 무게가 나가는 고형 이물질과 비닐봉투·비닐조각과 같은 부유성 이물질이 있다. 고형 이물질은 금속과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을 포함한다.
고형 이물질 중의 금속과 비닐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이지만 한데 섞이면 별도의 선별과정을 통하여 분리해야 한다. 종래의 폐음식물 파쇄기는 금속과 비닐지를 선별하는 것을 수작업에 의존해 왔다. 모든 분야가 대부분 그렇듯이 수작업 의존형은 비능률·비효율적인데다 인건비가 차지하는 이율이 높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기도 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된 후 배출되는 이물질을 금속과 비금속 및 비닐을 능률적으로 효율좋게 그리고 성력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폐음식물 파쇄기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고형물과 비닐로 선별하는 선별 사이클론과; 선별 사이클론에서 낙하되는 고형물을 금속과 비금속으로 선별하여 각각 배출시키는 금속 선별기와; 선별 사이클론 속의 비닐을 흡입팬으로 흡출하여 수거하는 비닐 수거기로 구성된 폐음식물 파쇄기용 이물질 선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부가 절개된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파쇄기의 단면도
도 3은 금속 선별기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비닐 수거통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5는 비닐 필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폐음식물 파쇄기 20: 선별 사이클론
30: 금속 선별기 40: 비닐 수거기
41: 흡입팬 42: 수거통
43: 비닐 필터
도 1에서, 본 고안은 폐음식물 파쇄기(10)와 선별 사이클론(20), 금속 선별기(30) 및 비닐 수거기(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폐음식물 파쇄기(10)는 하부가 순폐음식물과 폐수가 빠져나갈 수 있게 금망 또는 타공판으로 된 파쇄통(11)과 파쇄통(11)의 천장 선단에 처리할 폐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2), 파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13), 파쇄날(14a)이 나선상으로 배열된 회전축(14b)으로 이뤄져서 파쇄된 이물질은 나선상으로 배열된 파쇄날(14a)의 영향을 받아 파쇄되는 동안 이물질 배출구(13)를 향해이송되어 선별돼 나가는 형식의 것이다.
다시 도 1에서, 선별 사이클론(20)은 폐음식물 파쇄기(10)의 이물질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파쇄된 이물질 중에서 고형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고 부유성 이물질은 후술하는 흡입팬에 흡출되도록 하므로서 고형물과 비닐이 분리되도록 도와주는 중간 경유처이다. 폐음식물 파쇄기(10)의 이물질 배출구(13)와 선별 사이클론(20)의 유입구(21)는 덕트(51)로 연결하고 비닐 배출구(22)는 덕트(52)로 비닐 수거기(40)에 소속된 흡입팬(41)의 흡입구(44)에 연결한다.
도 3에서, 금속 선별기(30)는 선별 사이클론(20)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고형물 중에서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선별하여 각각 배출시키는 것으로, 회전드럼(31)의 내면에 자석(32)을 부착하여 자성체만 회전드럼(31)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부호 (33)은 회전드럼(31)의 표면에 흡착되어 다가오는 자성체(a)를 걷어서 떨구는 스크레이퍼이다.
다시 도 1에서, 비닐 수거기(40)는 흡입팬(41)과 수거통(42) 및 비닐 필터(43)로 구성된다. 흡입팬(41)의 토출관(45)은 수거통(42)의 유입측에 연결한다. 흡입팬(41)은 고성능 터보팬이며, 덕트(52)를 통하여 선별 사이클론(20) 속의 비닐을 빨아들여 수거통(42)으로 보내게 된다. 또, 수거통(42)의 천장에는 비닐이 수거된 후의 내부공기가 빠져나가는 배기구(42a)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수거된 비닐이 배출되는 호퍼(42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서, 비닐 필터(43)는 하부가 열린 탈착형 망통(도 5 참조)이며, 수거통(42)의 내면에 부착된 필터 받침(47)에 얹어서 비닐을 수집하게 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폐음식물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언급한다. 파쇄기(10)와 금속 선별기(20) 및 비닐 수거기(40)가 가동 중일 때 투입구(12)로 폐음식물을 투입하면 고속회전 중인 파쇄날(14a)에 의해 금속, 나무 젓가락, 뼈, 질긴 김치줄거리나 그 뭉치, 비닐지,비닐봉투 등의 이물질이 잘게 파쇄되면서 파쇄날(14a)의 나선형 배열에 힘입어 배출구(13)를 향해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물질은 부유공간(15)으로 튕겨 오르기도 한다. 특히 비닐은 파쇄날(14a)이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으로 부유공간(15)을 떠다니다가 배출구(13)쪽으로 차츰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마침내 파쇄된 이물질이 배출구(13)로 접어들 무렵부터는 흡입팬(41)의 영향을 받아 덕트(51)를 타고 선별 사이클론(20)으로 유입된다. 선별 사이클론(20)에서 금속, 뼈조각과 같이 무거운 고형물은 중력에 의해 금속 선별기(30)로 떨어지고, 비닐조각은 흡입팬(41)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비닐 수거기(40)로 보내진다.
금속 선별기(30)로 낙하되는 고형물 중에서 자성체(a)는 자석(32)의 영향으로 흡착되어 회전하다가 스크레이퍼(33)에 의해 수거돼 호퍼(34)로 배출되고 비자성체(b)는 회전드럼(31)에서 미끄러져 호퍼(35)로 배출된다. 비닐 수거기(40)의 비닐 필터(43)에는 비닐만 걸리고 공기는 배기구(42a)로 빠져나가게 된다. 비닐 필터(43)에 걸린 비닐은 폐음식물 처리작업을 마치고 흡입팬(41)의 가동을 중지한 후 문(46)을 열고 필터(43)를 꺼내 수거된 비닐을 폐기하고 재장전하거나 비닐만 수거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은 폐음식물 파쇄기에서 파쇄된 후에 배출되는 이물질을 금속과 비금속 및 비닐을 아주 효율적이면서도 성력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폐음식물 파쇄기(10)에서 파쇄되어 배출구(13)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고형물과 비닐로 선별하는 선별 사이클론(20)과; 선별 사이클론(20)에서 낙하되는 고형물을 자성체와 비자성체로 선별하여 별도의 호퍼(34,35)로 분리 배출시키는 금속 선별기(30)와; 선별 사이클론(20) 내의 비닐을 흡입팬(41)으로 흡입하여 비닐 필터(43)에 수집되도록 한 비닐 수거기(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2003-0013557U 2003-04-30 2003-04-30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22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57U KR200322990Y1 (ko) 2003-04-30 2003-04-30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57U KR200322990Y1 (ko) 2003-04-30 2003-04-30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990Y1 true KR200322990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557U KR200322990Y1 (ko) 2003-04-30 2003-04-30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9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74B1 (ko) * 2010-04-23 2012-11-28 정기창 폐비닐 처리 시스템
KR20150021802A (ko) * 2013-08-21 2015-03-03 고영재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KR20220032281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영동테크 배출공기 리턴수단이 구비된 폐음식물 자동선별 파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74B1 (ko) * 2010-04-23 2012-11-28 정기창 폐비닐 처리 시스템
KR20150021802A (ko) * 2013-08-21 2015-03-03 고영재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KR101595155B1 (ko) 2013-08-21 2016-02-17 고영재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KR20220032281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영동테크 배출공기 리턴수단이 구비된 폐음식물 자동선별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CN206763590U (zh) 一种垃圾分类回收系统
JP5058203B2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101135104B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CN105665409B (zh) 餐厨垃圾分选制浆装置及方法
US20140299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CN101658853B (zh) 城市垃圾分类回收方法及其装置
CN108472696A (zh) 用于处理固体废物的方法和装置
CN217491199U (zh) 一种建筑垃圾回收用分类破碎一体化处理系统
KR102299148B1 (ko) 고추씨 분리장치
KR200322990Y1 (ko) 폐음식물 파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234951B1 (ko) 음식물 폐기물의 미세 파쇄 및 선별 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CN210410956U (zh) 一种城市生活垃圾自动化筛分装置
JP3509714B2 (ja)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KR200246793Y1 (ko) 어패류 폐각의 파쇄를 겸한 목줄 분리수거기
CN113811399A (zh) 棕榈树干的分选方法以及分选装置
KR10143266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11564014U (zh) 一种易腐垃圾预处理装置
KR200324922Y1 (ko) 파쇄된 이물질 선별기능을 가진 폐음식물 파쇄기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CN107413827B (zh) 一种生活垃圾湿分拣制浆方法及设备
Khankelov Device for sorting solid household waste
KR102605671B1 (ko) 생활폐기물 선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