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853Y1 - 제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제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853Y1
KR200322853Y1 KR20-2003-0014872U KR20030014872U KR200322853Y1 KR 200322853 Y1 KR200322853 Y1 KR 200322853Y1 KR 20030014872 U KR20030014872 U KR 20030014872U KR 200322853 Y1 KR200322853 Y1 KR 200322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yer
base layer
dou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민
이강희
김장현
조형식
장춘학
Original Assignee
박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민 filed Critical 박광민
Priority to KR20-2003-0014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장의 플레이트 사이에 양면테이프를 개입한 제진 플레이트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제진 플레이트에 개입된 양면테이프는 양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또 양면테이프가 개입된 상태의 플레이트를 성형할 때 쉽게 소성변형되어 어떠한 성형조건에서도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또 플레이트를 성형하여 진동체를 내장하는 케이스로 사용할 경우 내부의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게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을 보면, 제 1플레이트(11a)와 제 2플레이트(1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기재층(13)과,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1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12a)과,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11b)와 접착되는 제 2점착제층(12b)으로 구성된 양면테이프(14)가 개입된 것이다.
또, 제 1플레이트(21a)와 제 2플레이트(2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제 1기재층(23a)과 제 2기재층(23b)을 적층하고, 상기 제 1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제 1플레이트(2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22a)을 도포하며, 또 상기 제 1기재층과 제 2기재층의 사이에는 이들 기재층을 접착하는 제 2점착제층(22b)을 제 1기재층 또는 제 2기재층중 어느 한쪽에 도포하고, 또 상기 제 2기재층(23b)의 하면에는 제 2플레이트(21b)와 접착되는 제 3점착제층(22c)을 도포하여 구성된 양면테이프(24)가 개입된 것이다.

Description

제진 플레이트{Mo oscillation plate}
본 고안은 2장의 플레이트 사이에 양면테이프를 개입한 제진 플레이트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제진 플레이트에 개입된 양면테이프는 양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또 양면테이프가 개입된 상태의 플레이트를 성형할 때 쉽게 소성변형되어 어떠한 성형조건에서도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또 플레이트를 성형하여 진동체를 내장하는 케이스로 사용할 경우 내부의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게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유리재, 아크릴재 등과 같이 경도를 갖는 재질은 제진 및 차음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제품의 케이싱으로(예컨데, 하드디스크의 케이스)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진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 제진수단으로 PET 또는 PU 등의 고분자 기재에 아크릴계 및 러버계의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또는 일면의 제진테이프를 이용하여 복층의 플레이트 사이 또는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진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째, 2장의 플레이트 사이 또는 1장의 플레이트 표면에 제진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프레스 및 펀치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성형시켰을 때 PET 또는 PU로 된 기재층 복원력에 의해 시간을 두고 무정형(amorphous) 점착제의 응력완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절단(cutting) 혹은 밴딩(banding)된 부분의 제진테이프의 접착력이 떨어져 플레이트와 제진테이프 간에 미세한 틈새(들뜸현상)가 벌어지게 된다.
특히,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된 제진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된 경우에는 제진테이프가 박리되는 원인이 되고,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입된 제진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된 경우에는 플레이트간의 결속력을 약화시켜 적층된 플레이트가 이간(離間)되므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둘 째, 플레이트를 TEC(trichloro etane) 등에 의해 세척할 때 플레이트 테두리 부분의 접착제 및 기재의 일부가 용출 또는 침출되어 제품의 모양새가 좋지 못하며, 또한 용출 또는 침출된 부분의 접착력이 떨어져 첫 번째 문제점에서 언급된 바 있는 제진테이프의 박리현상 또는 플레이트 간의 결속력 약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세 째, 플레이트의 표면에 제진테이프를 부착한 경우에는 제진효율이 떨어진다. 즉, 플레이트의 표면에 제진테이프가 부착된 경우에는 제진테이프의 일면에만 접착제가 도포되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가장 큰 제진효과를 가져오는 접착제층이 단일층이기 때문에 접착제가 양면에 도포된 제진테이프에 비해 제진효과가 극히 떨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분자 기재층 대신에 알루미늄 기재층을 사용하여 양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제조된 양면테이프를 2장의 플레이트를 합지하는데 사용하므로써 프레스 및 펀칭등의 성형가공 후 잔류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접착력 저하 및 틈새 벌어진 현상을 방지하여 TCE등의 고온 세척시에도 손상되지 않는 강한 내성을 갖는 제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진 플레이트의 제 1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진 플레이트의 제 2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진 플레이트 11a,21a : 제 1플레이트
11b,21b : 제 2플레이트 12a,22a : 제 1점착제층
12b,22b : 제 2점착제층 22c : 제 3점착제층
13 : 기재층 23a,23b : 제 1, 2기재층
14, 24 : 양면테이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과,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와 접착되는 제 2점착제층으로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개입되므로써 달성되며,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제 1기재층과 제 2기재층을 적층하고, 상기 제 1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을 도포하며, 또 상기 제 1기재층과 제 2기재층의 사이에는 이들 기재층을 접착하는 제 2점착제층을 제 1기재층 또는 제 2기재층중 어느 한쪽에 도포하고, 또 상기 제 2기재층의 하면에는 제 2플레이트와 접착되는 제 3점착제층을 도포하여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개입되므로써 또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제 1실시예의 제진 플레이트(10)는 금속, 유리, 아크릴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2장의 플레이트(11a,11b) 사이에 양면테이프(14)를 샌드위치형으로 부착하여 구성하되, 상기 양면테이프(14)는 알루미늄 박으로 된 기재층(13)의 양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이하 "점착제"라 통칭함)(12a,12b)를 도포하여 층(layer)을 형성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플레이트(11a)와 제 2플레이트(1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기재층(13)과, 이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1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12a)과,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제 2플레이트(11b)와 접착되는 제 2점착제층(12b)으로 구성된 양면테이프(14)가 개입된 것이다.
이때, 상기 양면테이프(14)는 2장의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재층(13)은 소음 및 진동을 차폐하는 역할과 함께 성형시 2장의 플레이트와 함께 소성변형되면서 잔류응력이 남지 않아 어떠한 성형조건에서도 들뜨지 않고 양호한 접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재층(13)의 양면에 도포된 점착제층(12a,12b)은 기재층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2차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켜주므로써 기존 대비 양호한 제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진효과는 점착제층과 기재층이 많을 수록 더 효과적임은 이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제 2실시예가 제시된다.
제 2실시예의 제진 플레이트(20)는 도 2에서와 같이 금속, 유리, 아크릴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2장의 플레이트(21a,21b) 사이에 양면테이프(24)를 샌드위치형으로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상기 양면테이프(24)를 구성하고 있는 알루미늄 기재층(23a,23b)과 점착제층(22a,22b,22c)이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상이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플레이트(21a)와 제 2플레이트(2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제 1기재층(23a)과 제 2기재층(23b)을 적층하고, 상기 제 1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제 1플레이트(2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22a)을 도포하며, 또 상기 제 1기재층과 제 2기재층의 사이에는 이들 기재층을 접착하는 제 2점착제층(22b)을 제 1기재층 또는 제 2기재층중 어느 한쪽에 도포하고, 또 상기 제 2기재층(23b)의 하면에는 제 2플레이트(21b)와 접착되는 제 3점착제층(22c)을 도포하여 구성된 양면테이프(24)가 개입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점착제층(22a,22b,22c)의 두께는 동일하다.
이러한 제 2실시예의 양면테이프(24)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장의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2실시예는 2개의 기재층(23a,23b)과 3개의 점착제층(22a,22b,22c)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실시예에 비해서 제진효과는 양호하다. 다만, 제 1실시예의 제진테이프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지긴 하지만 성형성 저하 및 박리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2실시예의 양면테이프(24)는 공통적으로 각 기재층(23a,23b)의 두께(t1)를 5 ~ 100㎛로 하고, 또 각 점착제층(22a,22b,22c)의 두께(t2)는 0.01 ~ 3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재층(23a,23b)의 두께 설정은 두께를 5㎛이하로 할 경우 차음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100㎛이상인 경우에는 유연성에 문제가 발생됨을 근거로 두고 있으며,
또, 상기 점착제층(22a,22b,22c)의 두께 설정은 두께가 0.01mm이하인 경우에는 흡음효과가 떨어지고, 3mm이상인 경우에는 필요이상의 점착제가 소요되고 또 플레이트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근거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점착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의 고분자 점착제는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위해 유리전이온도(the glass transition)가 낮으며 금속과 2차 결합력을 강하게 발휘하는 장점, 외부변형에 대한 에너지 저장이 큰 장점이 있어 이를 채택하였다.
또, 상기 기재층(23a,23b)은 도체인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진 플레이트(10,20)를 대량생산할 때 광 또는 전자기 센서로서 제품(제진 플레이트)의 불량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며, 제 2실시예의 경우 점착제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서 고유한 공진주파수가 발생되므로 보안카드 및 품질관리에도 일조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양면테이프(14,24)는 한쪽 점착제층에 양면 이형지 또는 양면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롤(roll) 상태로 제조 및 보관되며, 여기서 제진테이프를 롤형으로 와인딩(winding)할 때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의 한쪽면은 중박리로 하고, 다른 한쪽면은 경박리로 한다. 이때, 중박리 면은 이형지가 점착제층에 직접 부착되는 면이고, 경박리 면은 그 이면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진 플레이트는 양면테이프를 철판이나 아크릴판등의 라미네이팅에 사용하므로써 프레싱이나 펀칭등의 외부응력에 대해 알루미늄 기재층이 소성변형되어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간에 따른 점착력 감소를 방지하여 펀칭된 테두리 부분의 박리 없이 영구부착된다.
또, 제진 플레이트가 펀칭 및 프레싱 작업으로 오염되어 오염된 이물질을 TCE에 의해 세척할 때 양면테이프의 알루미늄 기재층은 고온 세정액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용출 및 침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기재층의 재료인 알루미늄은 광이나 전자기 센서로서 감지가 수월하므로 기존의 수동작업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2장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팅의 5층 제진테이프는 점착제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서 고유한 공진주파수를 발생하게 되므로 보안카드 및 품질관리에도 수월하다.

Claims (4)

  1. 제 1플레이트(11a)와 제 2플레이트(1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기재층(13)과,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1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12a)과,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11b)와 접착되는 제 2점착제층(12b)으로 구성된 양면테이프(14)가 개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점착제층(12a,12b)은 폴리올레핀계 소재로 하되 그 두께는 0.01 ~ 3mm로 하고, 상기 기재층(13)의 두께는 5 ~ 10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플레이트.
  3. 제 1플레이트(21a)와 제 2플레이트(21b)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된 제 1기재층(23a)과 제 2기재층(23b)을 적층하고, 상기 제 1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제 1플레이트(21a)와 접착되는 제 1점착제층(22a)을 도포하며, 또 상기 제 1기재층과 제 2기재층의 사이에는 이들 기재층을 접착하는 제 2점착제층(22b)을 제 1기재층 또는 제 2기재층중 어느 한쪽에 도포하고, 또 상기 제2기재층(23b)의 하면에는 제 2플레이트(21b)와 접착되는 제 3점착제층(22c)을 도포하여 구성된 양면테이프(24)가 개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플레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점착제층(22a,22b,22c)은 폴리올레핀계 소재로 하되 그 두께는 0.01 ~ 3mm로 하고, 상기 제 1, 2기재층(23a,23b)의 두께는 5 ~ 10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플레이트.
KR20-2003-0014872U 2003-05-14 2003-05-14 제진 플레이트 KR200322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72U KR200322853Y1 (ko) 2003-05-14 2003-05-14 제진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72U KR200322853Y1 (ko) 2003-05-14 2003-05-14 제진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853Y1 true KR200322853Y1 (ko) 2003-08-14

Family

ID=4941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72U KR200322853Y1 (ko) 2003-05-14 2003-05-14 제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741B1 (ko) 2011-11-02 2013-12-27 이든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스카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741B1 (ko) 2011-11-02 2013-12-27 이든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스카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2643A1 (en) Methods and materials for reducing damage from environmental electromagnetic effects
WO2010001273A3 (en) Elastic composite containing a low strength and lightweight nonwoven facing
JP6101347B2 (ja) ハニカム系高温構造ダンパー
EP1332867A4 (en) MULTI-LAYER MET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36002B1 (ko) 캐리어 부착 구리박 및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MY136583A (en) Packaging laminate,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and packaging container manufactured from the packaging laminate
WO2009069661A1 (ja) 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貼合方法
US8623485B2 (en) Adhesive unit for emble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ig for adhering emblem and emblem for adhesion
KR200322853Y1 (ko) 제진 플레이트
WO2001023178A3 (en)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foam adhesive
EP3160747B1 (en) Film laminated, water activated paper tap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H02307296A (ja) 保護された伝導フオイル及び処理中の電着金属フオイルを保護するための処理方法
EP1641611B1 (en) Laminate with fill layer
JP2005056625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分解方法
WO2004013829A2 (en) Security label
JP4201882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
WO2018216586A1 (ja) ライナー付き両面粘着シート
JPH06228513A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2940B2 (ja) タッチパネル用接着用シート
CN218879806U (zh) 可分离双面胶带
JP293430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JP2004010854A (ja) 離型用タブ付き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3577469B2 (ja) 両面粘着部材保持構造体
KR200297130Y1 (ko) 전자파 차폐지
JPH10151601A (ja) 単板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