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850Y1 - 체성분 분석결과지 - Google Patents
체성분 분석결과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2850Y1 KR200322850Y1 KR20-2003-0014845U KR20030014845U KR200322850Y1 KR 200322850 Y1 KR200322850 Y1 KR 200322850Y1 KR 20030014845 U KR20030014845 U KR 20030014845U KR 200322850 Y1 KR200322850 Y1 KR 2003228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composition
- fat
- composition analysis
- visceral fat
- measur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성분측정결과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내외의 체수분 균형, 복부의 내장지방 및 체지방량을 도형화한 체성분측정결과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체성분분석, 골격근 및 지방의 분석,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 비만진단, 부위별 신체균형을 나타내는 체성분분석기의 체성분분석결과지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표준범위의 영역을 좌표평면상에 도시하고 수검자의 측정치를 상기 도시된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좌표평면상에 각각 좌표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측정결과지에 의해 세포내외의 체수분의 균형과 성인병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복부의 내장지방의 면적을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체발달점수를 나타내는 체형좌표를 측정자의 체성분축에 위치를 표시하여 어떤 방식으로 체중감량을 하여야 할 지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성장그래프상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자 또는 보호자로 하여금 소아의 현재 비만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체성분측정결과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내외의 체수분 균형, 복부의 내장지방 및 체지방량을 도형화한 체성분측정결과지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합은 체중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개별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인체 성분 분석이라 한다.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량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체지방측정기의 개발이 활성화되어 왔다. 체내지방량은 비만을 판단하는 주요지표로 성인병의 발생원인이며 미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수분의 양은, 몸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근육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체내의 근육량은 개인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의학적 응용범위가 넓다. 특히, 암 환자나 투석기 환자와 같이 영양상태와 관련이 있는 환자는 그들 인체중의 근육의 양을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속도나 치료효과를 진단할 수 있으며 소아의 성장이나 발육상태 또는 노약자의 영양상태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체성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인체의 가장기초적인 검진으로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생체전기 임피던스방법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 생체전기임피던스 방법은 인체내로 약한 교류전류를 보내어 인체의 전기저항 또는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과 함께 피측정자의 신장 및 체중을 측정하거나 입력시키며 피측정자의 연령, 성별을 키보드 입력을 통하여 입력시킨 후 이들 측정치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체액의양, 근육량 및 체지방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미 대한민국특허 제123,408호, 161,602호, 323,838호를 통해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및 왼다리 수분의 정량화와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제지방의 체성분을 정량화하는 측정기술을 부위별 임피던스, 신장 및 체중의 함수로부터 개발하였다.
인체 각부위별로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양은 Ht2/Z 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 때 Z는 각 해당부위의 임피던스 값이며 Ht는 피측정자의 신장이다. 몸전체의 수분량(TBW)은 각 부위별 수분량을 합해서 계산된다. 인체의 구성성분중에서 체지방은 수분의 함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체지방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은 무시되며 지방이외의 성분은 약 73%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지방이외의 성분(FFM)은 TBW/0.73으로 계산된다.
체지방의 양(FAT)은 체중에서 지방이외의 성분을 뺀 것으로
FAT=체중-FFM 으로부터 계산된다.
종래의 체성분분석결과지는 제1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체성분분석(10)과 비만진단(20) 및 체수분검사(30)결과와 함께 종합평가(40)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다시 체성분 분석항목은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을 구분하여 각 성분을 정량화한 것이다. 여기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은 체수분량이 되는 것이며, 상기 체수분량에 단백질량을 합하면 근육량이 되며 다시 무기질을 합하면 체지방을 제외한 성분이 되는 것이다. 즉 체지방과 체지방을 제외한 양이 몸 전체의 체중이 된다.
한편 비만진단(20)은 각각 가로축상단에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구분하고 표준을 100%로 보았을 때 95%에서 105%까지 표준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좌측 세로축에는 신장,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복부지방율로 구분하여 각 항목에 대해 용이하게 표준범위에 속하는 지 혹은 표준이하인지 혹은 표준이상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체수분검사는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 등으로 각 부위별로 구분하고 이를 비만진단과 마찬가지로 부위별 수분분포(30)를 두고 표준(80% 에서 120%)과 표준이하(80% 이하)와 표준이상(120%)로 구분하였다. 한편 체수분에는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이 있는데 전체체수분중에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부종지수라 한다. 부종은 세포내외의 수분의 불균형상태로, 노화에 의한 영양부족, 저 근육형 비만, 질환에 의한 수분불균형, 일시적인 피로 및 붓기가 있는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종합평가 항목은 상기 체성분분석, 비만진단, 체수분검사항목을 종합한 것으로 근육형태, 영양상태, 상하균형, 좌우균형을 표준,표준이하(혹은 저체중), 표준이상의 3 단계로 구분하여 ??표기하여 수진자로 하여금 자기의 체성분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표화된 평가는 각 부위별로 평가하기 위해서나 측정항목별로 구분하는데 필요한 표시방법이다. 상기 종래의 체성분석의 결과는 상기 부종지수에 대한 표기를 단순히 체수분검사항목에 그 수치만을 표기하여 일반 수검자가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문검사자라 할지라도 단지 수치만을 표기하는데 그쳐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부위별 체성분항목에서 내장지방이 중요한 항목으로 부각되는데 이는 복부내장지방면적으로 내장지방이 높아지면 신체노화를 의미하며 특히 성인병 발병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내장지방이 높은 경우 그 표시를 더욱 명확하게 하여 수진자로 하여금 꾸준한 건강관리를 하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체형좌표를 도입하여 수검자가 일견하여 용이하게 자기의 체형이 어디에 속하는 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세포내외의 체수분의 균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성인병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복부의 내장지방의 면적을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중감량 혹은 복부의 내장지방의 감소정도를 쉽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발달점수를 나타내는 체형좌표를 측정자의 체성분축에 위치를 표시하여 어떤 방식으로 체중감량을 하여야 할 지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소아의 경우에는 성장그래프상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자 또는 보호자로 하여금 소아의 현재 비만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체성분분석 결과지이고
도 2는 연령에 따른 표준 부종지수에 대한 영역을 좌표평면상에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연령에 따른 표준 내장지방의 영역을 좌표평면상에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성인의 체지방량과 골격근량에 따른 체형좌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소아의 성장그래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와 도 6b는 성인의 체성분분석 결과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종지수의 정상범위 200. 내장지방의 정상범위
310. 체형좌표의 정상범위 320. 운동인의 범위
330. 허약체형의 범위 340. 비만의 범위
350. 측정자의 체형좌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체성분분석표, 골격근 및 지방의 분석표,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 비만진단표, 부위별 신체균형을 나타내는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표준범위의 영역을 좌표평면상에서 도시하고 수검자의 측정치를 상기 도시된 좌표평면상에 좌표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좌표평면상에 표준값인 부종지수 0.3과 0.35, 내장지방 100을 가로축에 선으로 도시함과 동시에 부종지수 0.35 이상과 내장지방 100 cm2이상의 영역을 다른 색이나 혹은 무늬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성분결과지에는 골격근량 대 지방량을 좌표평면에 도시하고 각각 허약체질, 표준, 운동인, 비만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수검자의 측정좌표를 상기 체형좌표평면에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성분결과지에는 소아 측정자인 경우 연령에 따라 신장, 연령에 따른 체중의 표준그래프를 도시함과 동시에 측정자의 좌표를 상기 표준그래프에 함께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성분결과지에는 과거의 측정일시에 따라 체중, 제지방, 체지방, 신장에 대한 체중의 평가지표(BMI), 복부지방률(WHR), 내장지방, 부종의 도표화 하여 과거의 이력을 함께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성분분석결과지에는 과거의 측정이력을 체지방, 제지방, 적정체중을 막대그래프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체성분분석결과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종지수를 도형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부종지수는 전체 체수분 중에서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노화에 의한 영양부족, 저근육형 비만, 질환에 의한 수분불균형, 일시적인 피로 및 붓기가 있는 경우 그 수치가 증가하게 되는데 대개 정상범위는 0.3에서 0.35 정도이다. 그러나 연령이 60 이상이 되면 비록 정상이라 하더라도 부종지수가 0,35 이상이 되는데 이에 해당되는 정상범위를 고려하여 부종지수의 정상범위를 영역(100)으로 도형화하였다. 0.3과 0.35를 가로축으로 선을 그어 정상범위를 더욱 명확히 하였다. 상기 연령에 따른 부종지수의 정상범위를 도형화함과 동시에 측정자의 좌표를 표시하여 측정자로 하여금 상기 부종지수가 정상범위인 지를 알기 쉽게 표시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정자의 내장지방을 도형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내장지방은 복부내장지방의 면적으로서 내장지방이 높아지면 비만과 신체노화를 의미하며, 특히 성인병 발병률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내장지방의 면적은 각종 임상실험에 의해 연령에 따라 그 표준범위가 알려져 있는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인의 내장지방의 면적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 표준범위를 가로축을 연령으로 두고 세로축을 내장지방으로 하여 연령에 따라 표준에 해당되는 내장지방면적을 영역(200)으로 도형화하였다. 내장지방이 100 cm2에 해당하는 곳에 가로축으로 선을 그어 정상범위를 더욱 명확히 하였다. 상기 연령에 따른 내장지방의 정상범위를 도형화함과 동시에 측정자의 측정점을 좌표로 표시하여 측정자로 하여금 상기 내장지방이 정상범위인 지를 알기 쉽게 표시하였다.
도 4는 체형좌표를 나타낸 것으로 체지방과 근육량의 과부족과 균형발달을 나타낸다. 체지방량과 근육량에 따라 신체발달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70~90 점을 표준범위(310)로 하고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운동인의 영역(320)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표준범위보다 근육량이 적은 경우 허약체질의 범위(330)로 분류하였으며 표준보다 체지방이 과다한 사람은 비만(340)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좌표(350)로 표시하여 상기 좌표평면에 함께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자는 자신의 신체발달정도를 한눈에 알 수 있고, 표준에 해당되기 위해 자신이 감량해야할 체중과 유지 혹은 증가시켜야 할 근육량을 알 수 있다.
한편 소아인 경우는 체질이 성인과 다르기 때문에 상기에서와 같은 체형좌표를 적용할 수 없다. 그 대신에 소아의 체성분분석 결과지에는 도 5와 같이 성장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즉, 연령에 따라 신장과 체중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래프선도를 도시하였으며 선도내가 표준범위로 분류될 수 있으며, 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해당좌표(410)에 표시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과거의 이력을 포함하는 체성분변화를 표로 나타내거나 막대그래프로 나타낼 수도 있다. 표로 나타낼 때는 측정일시, 체중, 체지방, BMI, 체지방률, WHR, 내장지방, 부종 및 신체발달을 포함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는 체지방과 제지방으로 분류해서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적정체중을 가로축에 선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측정결과지는 체성분분석, 골격근 및 지방의 분석,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 비만진단, 부위별 신체균형을 나타내는 체성분분석기의 체성분분석결과지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표준범위의 영역을 좌표평면상에 도시하고 수검자의 측정치를 상기 도시된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좌표평면상에 각각 좌표로 표시함으로써 세포내외의 체수분의 균형과 성인병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복부의 내장지방의 면적을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측정결과지는 신체발달점수를 나타내는 체형좌표를 측정자의 체성분축에 위치를 표시하여 어떤 방식으로 체중감량을 하여야 할 지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성장그래프상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자 또는 보호자로 하여금 소아의 현재 비만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 체성분분석, 골격근 및 지방의 분석,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 비만진단, 부위별 신체균형을 나타내는 체성분분석기의 체성분분석결과지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표준범위의 영역을 좌표평면상에 도시하고 수검자의 측정치를 상기 도시된 부종지수와 내장지방의 좌표평면상에 각각 좌표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부종지수좌표평면상에 부종지수의 하한 표준값과 상한표준값을 가로축에 평행한 직선으로 도시하고 상기 부종지수의 상한표준값 이상과 상한표준값 이하의 영역을 각기 다른 색 또는 무늬로 표시하고, 상기 내장지방의 좌표평면상에는 내장지방의 표준값을 가로축에 평행한 직선으로 도시함과 동시에 내장지방의 표준값 이상의 영역과 이하의 영역을 각기 다른 색 혹은 다른 무늬로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 청구항 1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체성분결과지에는 소아 측정자인 경우 연령에 따라 신장, 연령에 따른 체중의 표준그래프를 도시함과 동시에 측정자의 좌표를 상기 표준그래프에 함께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 체성분분석, 골격근 및 지방의 분석,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 비만진단, 부위별 신체균형을 나타내는 체성분분석기의 체성분분석결과지에 있어서,골격근량 대 지방량을 좌표평면에 도시하고 각각 허약체질, 표준, 운동인, 비만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수검자의 측정좌표를 상기 체형좌표평면에 표기하고 상기 측정좌표와 원점을 잇는 직선을 도시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845U KR200322850Y1 (ko) | 2003-05-14 | 2003-05-14 | 체성분 분석결과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845U KR200322850Y1 (ko) | 2003-05-14 | 2003-05-14 | 체성분 분석결과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2850Y1 true KR200322850Y1 (ko) | 2003-08-14 |
Family
ID=494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845U KR200322850Y1 (ko) | 2003-05-14 | 2003-05-14 | 체성분 분석결과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285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4521B1 (ko) | 2010-03-24 | 2013-07-16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비만 관련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KR20200110110A (ko) * | 2019-03-13 | 2020-09-23 | 주식회사 인바디 | 생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
2003
- 2003-05-14 KR KR20-2003-0014845U patent/KR2003228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4521B1 (ko) | 2010-03-24 | 2013-07-16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비만 관련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KR20200110110A (ko) * | 2019-03-13 | 2020-09-23 | 주식회사 인바디 | 생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2297681B1 (ko) * | 2019-03-13 | 2021-09-06 | 주식회사 인바디 | 생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itchie et al. | Tanita foot-to-foot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ystem validated in older adults | |
Mathews et al. |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ollegiate American football players, by position | |
Owen | Measurement, recording, and assessment of skinfold thickne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report of a small meeting | |
JPH0951885A (ja) | 部分インピーダンス及び複数の周波数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身体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の獲得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 |
Johnson et al. | Validation of three body composition techniques with a comparison of ultrasound abdominal fat depths against an octopolar bioelectrical impedance device | |
CN106562788A (zh) | 一种应用于智能健康马桶的人体成分检测分析方法 | |
CN104217095A (zh) | 人体健康功能状态评估模型 | |
KR100909400B1 (ko) |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 |
RU2394483C2 (ru) | Прибор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става тела | |
Essendrop et al. | Measures of low back function: a review of reproducibility studies | |
Sigulem et al. | Diagnosis of child and adolescent nutritional status | |
JP3120546U (ja) |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 |
Peterson et al. | Accuracy of consumer grad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devices compared to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 |
KR200322850Y1 (ko) | 체성분 분석결과지 | |
Golja et al. | Direct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 |
Dobroch et al. | Body composition measurements in paediatrics–a review. Part 1 | |
Tauber et al. | Comparison of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to assess body composition in college-aged adults | |
JP3112717U (ja) |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 |
JP3112317U (ja) | 体成分分析結果紙 | |
Sykes |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mmunity physical fitness—concept and controversy | |
KR101409090B1 (ko) | 체형 판정 및 관리 장치 그리고 이의 방법 | |
KR200388380Y1 (ko) | 체성분분석 결과지 | |
D'Alonzo et al. | A comparison of field methods to assess body composition in a diverse group of sedentary women | |
KR200386931Y1 (ko) | 체성분분석 결과지 | |
Nickerson et al. | Comparison of BIA and DXA for estimating body composition in collegiate female athlet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