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07Y1 -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 Google Patents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07Y1
KR200322707Y1 KR20-2003-0016429U KR20030016429U KR200322707Y1 KR 200322707 Y1 KR200322707 Y1 KR 200322707Y1 KR 20030016429 U KR20030016429 U KR 20030016429U KR 200322707 Y1 KR200322707 Y1 KR 200322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water supply
water
butt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석 filed Critical 김형석
Priority to KR20-2003-0016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07Y1/ko
Priority to PCT/KR2004/001157 priority patent/WO2004107245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수버튼 및 취수레버를 작동할 경우 음용수 공급기 본체 좌·우에 설치된 각각의 버블러 및 정수기 본체 정면의 취수레버를 통해 음용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음용수 공급기 본체 좌·우 상단에 설치되 있는 광고판과 스피커를 통해 광고메시지를 노출시키고, 시민들의 음용수 공급기 이용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를 내장한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컴퓨터는 작동신호를 인식하고 저장하여 시간대별·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각 음용수 공급기가 메인서버와 연결됨으로써 각 음용수 공급기의 이용자 현황을 메인서버에서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계량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Water supplier combined with advertisement board}
본 고안은 광고판과 광고멘트를 송출할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된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필터를 장착한 정수기가 내장된 음용수 공급기에 작동의 이상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어와 광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광고판 및 스피커가 구비되며, 음용수 공급기 본체 내부에 기기 이용횟수에 대한 데이터 저장 및 중앙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컴퓨터를 내장하여, 버블러 및 취수레버로부터 음용수를 공급함과 더불어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한 광고음 발산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공장소에 설치된 버블러가 있는 음수대는 이용자가 물을 마시려면 취수버튼이나 물꼭지에 일정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해야 물을 마실 수 있으며, 수도꼭지 형태의 음수대는 이용자가 사용 후 수도꼭지 잠금을 완전하게 하지 않으면 수도꼭지로부터 물이 계속 흐르게 되어 낭비의 원인이 된다.
또한, 기존 정수기에 사용되는 각각의 단계들의 필터들은 정수량을 통해 필터 수명이 완료된 시점임을 검출한 다음에 필터를 교체해주는 것이 아니라, 필터의 사양에 따른 각각의 필터 교체 주기가 최소 3개월에서부터 길게는 1년 6개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체주기에 따라 각각의 필터들의 교체시기가 되면 해당 필터들을 교체해 줌으로써 각 필터들의 최대 정수량에 따른 교체주기와는 무관하게 일률적인 필터의 교체로 인하여 위생적, 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정수량이 많아 실질적으로 필터교체 시기가 지나버릴 경우 사용자는 정수가 제대로 안된 정수를 음용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필터 교체시기를 지나버린 필터에서 정수될 경우 정수되는 물이 2차 오염이 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정수량이 작아 실질적으로 필터 교체 시기가 아직 안된 상태에서 필터를 교체하게 되는 경우에는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뿐만 아니라 자원 활용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하철역이나 버스터미널,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기존의 옥외광고물들은 광고물 주변을 통행하는 시민들의 시선에 강제로 광고메시지를 노출시키는 방식의 옥외광고물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옥외광고물의 광고효과 측정은 옥외광고가 설치된 지역의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 중 정확히 몇 명의 사람에게 광고메시지가 노출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옥외광고물이 설치된 지역의 하루 유동인구가 몇 명이 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본 데이터로 하여 옥외광고가 설치된 지역을 통과하는 사람들 중 몇 퍼센트의 사람들에게 광고노출이 이루어졌다는 예측을 통한 비정량적인 추정에 의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음수버튼을 작동할 경우 음용수를 공급하고, 음용수 공급기 본체 좌·우 상단에 설치된 광고판과 스피커를 통해 광고 메시지를 시각과 청각으로 동시 전달하며,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컴퓨터가 시민들의 이용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광고메시지의 노출횟수를 계량화할 수 있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와 중앙 서버의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10. 음용수 공급기 본체 20. 스피커
30. 광고판 40. 디스플레이어
50. 버블러 60. 음수버튼
70. 경사면 받침대 세척노즐 80. 배수구멍
90. 사운드 버튼 100. 작동상태 표시창
110. 취수레버 120. 경사면 받침대
200. 세척용수 탱크 201. 솔레노이드 밸브
202. 정수 이송관 203. 폐수 이송관
204. 잔수 배출관 205. 정수급수용 펌프
206. 바이패스 배출구 210. 정수탱크
211. 드레인 밸브 212. 물받이용 배수구
213. 가압펌프 220. 중앙콘트롤박스
230. 컴퓨터 240. 정수필터
250. 폐수탱크 260. 공급관
270. 배출관 280. 멤브레인 필터
290. 중앙서버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의 좌·우 상단에 구비된 광고판(30) 및 스피커(2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된 정수필터(240); 상기 정수필터(240)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21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외측에 구비된 음수버튼(60), 취수레버(110) 및 사운드버튼(90); 상기 음수버튼(60), 취수레버(110) 및 사운드버튼(90)이 연결된 중앙콘트롤박스(220);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와 연결된 컴퓨터(230);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와 연결된 정수급수용 펌프(205) 및 중앙의 솔레노이드 밸브(201); 및 상기 정수급수용 펌프(205)와 연결된 버블러(50)로 구성된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290)와 연결되고, 각 센서에서 발생한 작동신호를 시간대별·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며, 음수버튼(60) 및 취수레버(110)의 작동횟수로 총 음용수량을 계산하여 각 필터들의 수명에 따른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는 볼륨 조정장치와 정수급수용 펌프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시간 조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운드 버튼(90)은 작동시 스피커(20)를 통해 광고사운드만 발산하고 작동신호는 컴퓨터에서 데이터화되며, 음용수 공급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음용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는 내부 상단에 세척용수 탱크(200) 및 경사면 받침대 세척노즐(70)이 구비된 것으로, 정수필터(240)중 멤브레인 필터(280)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하여 경사면 받침대(120)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의 대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공급기는 본체(10)의 상부에 스피커(20)와 광고판(3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음용수공급기 본체(10)의 좌·우 측면에 각각 1개씩의 음수버튼(60) 및 버블러(50)가 구비되며, 이용후 잔여 음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경사면 받침대(120)와 배수구멍(80) 및 음용수 공급기 작동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어(40)가 좌·우에 각각 구비된 형태이다.
한편, 정면에는 버블러(50)를 이용하기 곤란한 사람들을 위해 취수레버(110)를 구비하였다. 또한, 작동 상태 표시창(100)을 통해 음용수 공급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사운드버튼(90)을 작동 상태 표시창(100)의 상부에 설치하여, 갈증을 느끼지 않는 시민이 광고 멘트만 청취하고자 할 때 사운드버튼(90)을 누르면 스피커(20)를 통해 광고사운드만 발산하고 음용수 공급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음용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음용수를 공급하는 버블러(50)의 말단부에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대기와 접하고 있는 버블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블러에서 나오는 음용수를 최종적으로 자외선 살균처리를 해 줌으로써 음용수 공급기 이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좌·우 상단에 위치한 광고판(30)은 필름 형태의 광고필름을 교체할 수 있으며, 관련된 사운드는 광고판을 교체할 때마다 광고사운드가 저장된 휴대용 보조기억장치 및 드라이브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컴퓨터의 슬롯에 연결하여 교환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 외에 다른 방법으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중앙 서버에서 원격으로 음용수 공급기 본체(10)내부의 컴퓨터에 저장된 광고메시지를 갱신한 뒤 자동으로 교체된 광고메시지를 중앙콘트롤박스의 메모리부에 전송하여 저장한 후 음용수 공급기 이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용수 공급기는 공급관(260)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내부의 정수필터(240)를 통해 정수한 후 정수 이송관(202)을 통해 정수탱크(210)에 저장한 후, 음수버튼(60) 또는 취수레버(110)가 작동되면 그 신호를 중앙콘트롤박스(220)에서 인식하여 정수탱크(210) 상단의 정수급수용 펌프(205)를 작동하거나 또는 취수밸브를 개방하여 정수탱크(210)에 보관된 음용수를 버블러(50) 또는 취수레버 배출구를 통해 일정량을 배출하여 이용자가 섭취하도록 한다.
한편, 음수버튼(60), 취수레버(110) 또는 사운드버튼(90)이 작동될 때,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내부의 중앙콘트롤박스(220)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작동신호를 인식하여 컴퓨터(230) 메모리에 입력하고, 컴퓨터(23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며, 음수버튼(60)작동시에는 정수탱크(210) 상부의 좌·우의 정수급수용 펌프를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시켜 버블러(50)를 통해 적당한 압력과 높이로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량의 음용수를 공급하고, 취수레버(110)작동시에는 작동과 동시에 배출구를 통해 음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중앙콘트롤박스(220)에는 정수급수용 펌프(205)의 1회 작동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계절별로 음용수 공급기가 이용되는 횟수 및 음용량에 따라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적정량의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음수버튼(60)을 조작하거나 취수레버(110) 및 사운드버튼(90)을 조작할 때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됨과 동시에 중앙콘트롤박스(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메시지를 광고판(30) 및 스피커(20)를 통해 시각과 청각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중앙콘트롤박스(220)에는 스피커를 통해 발산되는 광고소리의 음량을 조절을 할 수 있는 볼륨 조정장치를 설치하여 스피커의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피커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한편, 기존의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정수기 내부에 있는 4∼5개의 필터를 단계별로 거치게 되면서 마지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정수탱크에 저장되는데 이 과정 중 삼투막인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되는 정수는 수돗물 속에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 미세 입자를 걸러내고 깨끗하게 정화된 정수만 다음 필터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때 멤브레인 필터는 정수가 정화되는 과정 중에 폐수를 발생시키며, 대부분의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멤브레인 필터에서 따로 분리된 폐수관을 통해 폐수를 정수기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정수과정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음용수 공급기 내부 상단에 세척용수 탱크(200)를 설치하여, 정수필터(240)중 멤브레인필터(280)를 통해 분리된 폐수가 이송되는 폐수이송관(203)을 통해 음용수 공급기 내부 상단에 있는 세척용수 탱크(200)에 직접 연결하여 발생한 폐수를 가압펌프(213)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일정량의 폐수가 세척용수 탱크(200)에 모이면 중앙콘트롤박스(220)가 30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01)를 개방하여 음용수 공급기 본체 좌·우의 물받이 경사면 상단에 구비된 경사면 받침대 세척노즐(70)을 통해 일정량의 세척수를 흘려 보내고 스피커(20)를 통해 안내 멘트를 발산하면서 물받이 경사면에 쌓인 먼지 및 이물질을 세척함으로써 버블러(50)와 물받이 경사면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내부의 폐수 배관구조는 다음과 같다. 정수필터(240)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가압펌프(213)를 구동하여 정수탱크(210)의 상단에 위치한 세척용수 탱크(200)에 저장되고, 세척용수 탱크(200)에서 바이패스되는 폐수, 물받이 경사면 아래에 있는 배수구멍(80)으로 유입되는 폐수, 취수레버(110) 아래에 구비된 물받이용 배수구(212)로 유입되는 폐수 및 정수탱크(210)의 정화된 정수를 인위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수탱크(210) 아래부분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211)와 연결된 잔수 배출관(204)에서 배수된 폐수를 폐수탱크(250)에 모두 모아서 배출관(27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와 중앙 서버의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용수 공급기는 다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내장된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290)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서버(290)의 관리자는 각 음용수 공급기를 총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음용수 공급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음용수 공급기의 사용실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체적인 광고효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계량화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광고주들과의 광고단가 협상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버블러 및 취수레버를 통해 공급된 횟수를 통해 총 정수량을 산출해냄으로써 각각의 단계에 있는 필터들의 최대 정수량에 따라 각각의 필터 교체주기를 파악하여 정확한 시기에 필터들을 교체해 줌으로써 경제적·위생적으로 음용수 공급기를 관리해 나갈 수 있다.
중앙 서버를 통한 통합된 관리체계를 통해 인건비의 감소효과와 관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를 이용한 광고 산업의 경영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음용수 공급기 본체 좌·우 측면에 설치된 음수버튼을 한번만 누름으로써 버블러를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를 직접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갈증을 느끼는 시민들이 혼잡함 없이 간단하게 갈증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설치된 광고판에 의해 광고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수버튼이나 취수레버 및 사운드버튼을 작동시키면 음용수를 제공하는 동안 광고판과 스피커를 통해 광고메시지를 시각과 청각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광고메시지의 노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수버튼, 취수레버 및 사운드 버튼이 작동될 때마다 그 각각의 작동횟수를 광고의 노출횟수로 인식하여 내부의 컴퓨터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어, 하루 중 광고메시지가 집중적으로 노출되는 시간대뿐만 아니라 일별, 월별로 몇 번의 광고메시지가 시민들에게 노출이 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각 음용수 공급기내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중앙서버에서 각 지역의 광고노출횟수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광고효과 측정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의 좌·우 상단에 구비된 광고판(30) 및 스피커(2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된 정수필터(240); 상기 정수필터(240)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210);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 외측에 구비된 음수버튼(60), 취수레버(110) 및 사운드버튼(90); 상기 음수버튼(60), 취수레버(110) 및 사운드버튼(90)이 연결된 중앙콘트롤박스(220);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와 연결된 컴퓨터(230);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와 연결된 정수급수용 펌프(205) 및 중앙의 솔레노이드 밸브(201); 및 상기 정수급수용 펌프(205)와 연결된 버블러(50)로 구성된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290)와 연결되고, 음수버튼(60),취수레버(110), 사운드버튼(90)등의 각 센서에서 발생한 작동신호를 시간대별·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며, 음수버튼(60) 및 취수레버(110)의 작동횟수로 총 음용수량을 계산하여 각 필터들의 수명에 따른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콘트롤박스(220)는 볼륨 조정장치와 정수급수용 펌프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시간 조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버튼(90)은 작동시 스피커(20)를 통해 광고사운드만 발산하고 작동신호는 컴퓨터에서 데이터화되며, 음용수 공급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음용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 본체(10)는 내부 상단에 세척용수 탱크(200) 및 경사면 받침대 세척노즐(70)이 구비된 것으로, 정수필터(240)중 멤브레인 필터(280)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하여 물받이 경사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KR20-2003-0016429U 2003-05-27 2003-05-27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KR200322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29U KR200322707Y1 (ko) 2003-05-27 2003-05-27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PCT/KR2004/001157 WO2004107245A1 (en) 2003-05-27 2004-05-17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with advertizing sign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29U KR200322707Y1 (ko) 2003-05-27 2003-05-27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07Y1 true KR200322707Y1 (ko) 2003-08-14

Family

ID=334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29U KR200322707Y1 (ko) 2003-05-27 2003-05-27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22707Y1 (ko)
WO (1) WO20041072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61B1 (ko) * 2008-09-04 2009-03-17 (주) 미도랜드 태양광을 이용한 소비 열량 체크 시스템
CN110634419A (zh) * 2018-06-22 2019-12-31 王维材 水座广告发布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4884D0 (en) * 2008-03-15 2008-04-16 Filup Ltd Water dispen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188A (ko) * 1997-12-08 1999-07-05 김병희 온라인 정보 및 디지털 영상 비디오 표출이 가능한 자동판매기
US6609102B2 (en) * 1998-07-20 2003-08-19 Usa Technologies, Inc. Universal interactive advertizing and payment system for public access electronic commerce and business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KR20000037505A (ko) * 2000-04-29 2000-07-05 이영진 음용수 자동판매 시스템
JP2002109304A (ja) * 2000-09-28 2002-04-12 Toray Ind Inc 消耗品の交換時期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230571Y1 (ko) * 2001-02-22 2001-07-03 배교순 광고판이 설치되는 정수기
KR200238485Y1 (ko) * 2001-04-12 2001-10-11 김형석 광고판이 부착된 정수기 장착 음용수 공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61B1 (ko) * 2008-09-04 2009-03-17 (주) 미도랜드 태양광을 이용한 소비 열량 체크 시스템
CN110634419A (zh) * 2018-06-22 2019-12-31 王维材 水座广告发布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7245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16402A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の浄化装置
US10046982B2 (en) Water reclamation and reuse system
US8828229B2 (en) Distributed facultative bacteria water treatment system with membrane biological reactor package plant augmentation
US20160281338A1 (en) Safety device for circulating water utilization system and circulating-water utilization system
US20110083755A1 (en) Water economizer system for domestic installations and the like
KR20090096683A (ko) 소변기
JP5364862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の課金装置
KR200322707Y1 (ko) 광고판이 결합된 음용수 공급기
US20230075157A1 (en) Indoor Grey Water Purification and Reus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Buildings
WO2021246358A1 (ja) 手洗い装置、手洗い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手洗い装置の使用プログラム
CN116888331A (zh) 用于使用点水修改的系统和方法
JP6877065B1 (ja) 手洗い装置、手洗い装置の循環方法、手洗い装置の管理方法、手洗い装置の循環プログラム、および手洗い装置の管理プログラム
JP6732322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744569B1 (ko) 수도수와 살균수가 혼합된 급수시스템
CN205556389U (zh) 一种污水净化回用装置
CN209481373U (zh) 一种纯化水制备系统自控装置
CN111877454B (zh) 一种公共建筑室内中水回用装置
CN204588755U (zh) 一种基于自动控制的二次供水紫外消毒系统
JP5705936B2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
KR200445937Y1 (ko) 소변기의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CN105805833A (zh) 空气净化及中水回用的处理装置和处理工艺
KR200238485Y1 (ko) 광고판이 부착된 정수기 장착 음용수 공급기
CN205641178U (zh) 空气净化及中水回用的处理装置
KR200428136Y1 (ko) 단체 급수를 위한 대용량 분수형 정수기
JP718532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