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630Y1 - 셔츠칼라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셔츠칼라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630Y1
KR200322630Y1 KR20-2003-0012788U KR20030012788U KR200322630Y1 KR 200322630 Y1 KR200322630 Y1 KR 200322630Y1 KR 20030012788 U KR20030012788 U KR 20030012788U KR 200322630 Y1 KR200322630 Y1 KR 200322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collar
clip
hinge
stora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2003-0012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의 셔츠를 입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칼라에 보석 등으로 장식한 장식물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셔츠의 칼라부분에 보석의 형성으로 셔츠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셔츠를 입은 사람의 품위를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셔츠의 칼라에 분리 및 결합가능한 클립의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시에는 셔츠의 끝단에 클립이 고정되어 칼라의 배면에 위치하고, 또한 분리시에는 클립의 고정을 풀어서 보관할 수 있는 셔츠칼라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V자형상의 평면에 보석 등의 장식이 형성된 장식부(110)와; 상기 장식부(110)의 아래에 셔츠(10)의 칼라끝단(30)이 수용될 수 있는 끝단수납면(120)과; 상기 끝단수납면(120)의 아래에 힌지(15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클립(130);으로 이루져 있으며, 상기 클립(130)은,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한쪽에 톱니부(132)가, 다른 한쪽에 파지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끝단수납면(120)의 아래에 형성된 힌지(15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셔츠칼라용 장신구{Haberdashery for Shirt collar}
본 고안은 의복용 셔츠에 고급의 품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의복의 셔츠를 입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칼라에 보석 등으로 장식한 장식물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셔츠의 칼라부분에 보석의 형성으로 셔츠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셔츠를 입은 사람의 품위를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셔츠의 칼라에 분리 및 결합가능한 클립의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시에는 셔츠의 끝단에 클립이 고정되어 칼라의 배면에 위치하고, 또한 분리시에는 클립의 고정을 풀어서 보관할 수 있는 셔츠칼라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셔츠는 정장을 입을 때 필수적으로 입게되며 칼라에 타이를 가지런하게 메도록 하여, 타이도 하나의 장신구로써 품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타이는 유행에 민감하여 여러 형태의 타이들이 디자인되어 판매되고 있다.
특히 타이의 경우에는 일반정장용과 파티, 사상식 및 대회 등의 장소에 따라서 예를들어 나비타이 등으로 고급화 차별화한 타이들이 있다.
위와 같이 셔츠에 타이를 메어서 정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타이 이외에는 특별한 장신을 행한다면 타이에 타이핀을 장신한다던가 또는 셔츠의 소매에 장신단추를 결합한다던가 하는 극히 한정된 장신만을 행할 수 있었다.
특히, 셔츠의 칼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어떠한 품위있는 장신을한다면 셔츠의 칼라를 보는 이로 하여금 다른 셔츠와 차별되고 품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착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와 착안을 면밀하게 검토한 바, 셔츠를 입었을 때 노출되는 칼라에 있어서 특히 칼라의 끝단에 장신을 하도록 하여 깔끔한 칼라에 장신구가 노출되도록 하면서 장신구를 보석 등으로 장신구를 형성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고 품위와 귀족스럼을 풍기게 할 수 있고, 또한 장신구의 배면에 고정용클립이 형성되도록 하여 셔츠의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고 셔츠의 끝단 배면을 고정하도록 하여 사용시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셔츠의 끝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사용시에는 바로 셔츠의 끝단 배면에 클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사용에 분리 및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셔츠칼라용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V자형상의 평면에 보석 등의 장식이 형성된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의 아래에 셔츠의 칼라끝단이 수용될 수 있는 끝단수납면과; 상기 끝단수납면의 아래에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클립;으로 이루어짐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에 톱니부가, 다른 한쪽에 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끝단수납면의 아래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셔츠의 칼라 끝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를 셔츠의 칼라에 분리한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를 칼라에 고정한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를 칼라의 끝단에 고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b 는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를 칼라의 끝단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셔츠 20 : 칼라
30 : 끝단 100 : 장신구
110 : 장식부 120 : 끝단수납면
130 : 클립 131 : 힌지축
132 : 톱니부 133 : 접촉제어면
134 : 파지부 140 : 클립수납공간
150 : 힌지 160 : 걸림돌기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셔츠칼라용 장신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셔츠(10)의 칼라(20) 끝단에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으로, 대략 전체적으로 V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부(110)와, 끝단수납면(120) 및 클립(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부(110)는 평편한 면을 이루고 있으며, 장식 예를들어 다이어몬드, 사파이어 등의 보석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면처리에 의하여 특수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셔츠(10)의 칼라(20)에 고정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정장의 품위를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110)의 아래에 셔츠(10)의 칼라끝단(30)이 수용될 수 있는 끝단수납면(1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셔츠(10)의 칼라(20)의 끝단(30)이 도 1과 같이 대략 V자로 형성되어 상기 끝단(30)을 수용할 수 있는 두께 및 길이의 칫수의 대략 V자형으로 끝단수납면(120)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끝부분이 서로 접하게 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부분의 중앙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클립(130)이 수용될 수 있는 클립수납공간(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수납면(120)의 아래에 힌지(150)가 일체 성형 또는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대향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힌지(150)의 앞쪽에 걸림돌기(16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150)에 의하여 클립(130)이 유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또한 걸림돌기(160)에 의하여 클립(130)의 위치가 제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클립(130)은, 힌지축(131)이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가로질러 고정되고 또한 상기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한쪽에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톱니부(132)가 형성되고, 또한 다른 한쪽는 앞서 설명한 힌지(150)앞쪽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폭의 접촉제어면(133)이 형성되며, 이 접촉제어면(133)에 연장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클립(130)의 힌지축(131)을 끝단수납면(120)아래의 힌지(150)에 결합하여 셔츠(10)의 칼라(20)의 끝단(30)에 끝단수납면(120)을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 넣은 후, 클립(130)의 파지부(134)를 잡고 클립(130)을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키어 클립(130)의 톱니부(132)가 칼라(20)의 끝단(30)을 물어서 셔츠칼라용 장신구(100)를 셔츠(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셔츠를 입었을 때 노출되는 칼라에 있어서 특히 칼라의 끝단에 장신을 하도록 하여 깔끔한 칼라에 장신구가 노출되도록 하면서 장신구를 보석 등으로 장신구를 형성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고 품위와 귀족스럼을 풍기게 할 수 있고, 또한 장신구의 배면에 고정용클립이 형성되도록 하여 셔츠의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고 셔츠의 끝단 배면을 고정하도록 하여 사용시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셔츠의 끝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사용시에는 바로 셔츠의 끝단 배면에 클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사용에 분리 및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V자형상의 평면에 보석 등의 장식이 형성된 장식부(110)와; 상기 장식부(110)의 아래에 셔츠(10)의 칼라끝단(30)이 수용될 수 있는 끝단수납면(120)과; 상기 끝단수납면(120)의 아래에 힌지(15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클립(1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칼라용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30)은,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한쪽에 톱니부(132)가, 다른 한쪽에 파지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끝단수납면(120)의 아래에 형성된 힌지(15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칼라용 장신구.
KR20-2003-0012788U 2003-04-24 2003-04-24 셔츠칼라용 장신구 KR200322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88U KR200322630Y1 (ko) 2003-04-24 2003-04-24 셔츠칼라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788U KR200322630Y1 (ko) 2003-04-24 2003-04-24 셔츠칼라용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630Y1 true KR200322630Y1 (ko) 2003-08-14

Family

ID=4941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788U KR200322630Y1 (ko) 2003-04-24 2003-04-24 셔츠칼라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6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178A (en) Decorative or ornamental appliance for use with articles such as wrist watches
US5974634A (en) Decorative multi-use magnetic buttons
US5008981A (en) Enclosed yoke clasp for bola-style necktie
US20110271715A1 (en) Removable Securable Interchangeable Clothing Button Jeweled System
US4974429A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KR200322630Y1 (ko) 셔츠칼라용 장신구
US5864882A (en) Decorative knot cover
JP7075736B2 (ja) 装身具
US8701440B1 (en) Jewelry mount for securing interchangeable ornaments
US6862841B2 (en) Bouquet holder
WO2002035958A1 (fr) Bijou
US4422306A (en) Garment attachment including openable enclosure
US7096690B2 (en) Bracelet and pendant
USD457093S1 (en) Jewelry setting
US9149094B2 (en) Adapter for ornamental accessory
US20090223122A1 (en) Bouquet holder
TWI608807B (zh) 可移除式珠寶底座
US20170006972A1 (en) Tie Bar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vers
KR200307967Y1 (ko) 탈부착용 넥타이 장식구
KR200179934Y1 (ko) 장신구
JP2572919Y2 (ja) ボタンホルダーアダプター
JPH07977Y2 (ja) アクセサリー
JPH09294613A (ja) 多機能ブローチ
KR20070112588A (ko) 넥타이의 매듭 장식 구
KR200242625Y1 (ko)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