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210Y1 -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210Y1
KR200322210Y1 KR20-2003-0012385U KR20030012385U KR200322210Y1 KR 200322210 Y1 KR200322210 Y1 KR 200322210Y1 KR 20030012385 U KR20030012385 U KR 20030012385U KR 200322210 Y1 KR200322210 Y1 KR 200322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waste
compressor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복 김
Original Assignee
춘 복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 복 김 filed Critical 춘 복 김
Priority to KR20-2003-0012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57Fluid-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4E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21Press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거통에 적재된 쓰레기를 가압할 때 수거통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의 압축효율을 높이고, 쓰레기 취출을 위한 수거통의 승강과정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쓰레기 봉투가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수거통이 구비되고,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수단과 투입된 쓰레기의 취출을 위해 수거통을 승강시키는 수단이 마련된 쓰레기 압축기에 있어서, 상면에 수거통이 구비되고, 수거통의 양측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서 수거통 측으로 하향 설치되어 수거통 내부의 쓰레기를 압축시키고, 수거통의 상측 개방부분을 개방/폐쇄하기 위해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압축기구부가 설치된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가 지지대의 내부에서 수거통의 양측에 결합되어 수거통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Fluid pressure type compression apparatus}
본 고안은 쓰레기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거통에 적재된 쓰레기를 가압할 때 수거통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의 압축효율을 높이고, 쓰레기 취출을 위한 수거통의 승강과정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음식점, 대형의 점포, 학교 등과 같이 쓰레기 배출이 많은 장소에는 배출된 쓰레기를 최소의 부피로 압축하여 이를 종량제 봉투 등에 담아 처리하기 위한 쓰레기 압축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상기된 쓰레기 압축기의 종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쓰레기 압축기는, 프레임(1) 상에 1조의 승강실린더(2)가 각각 설치되고 각 승강실린더(2)에는 수거통(3)의 양측이 결합되며, 수거통(3)의 상면 양측에 전, 후로 길이방향을 갖는 가이드레일(4) 및 이와 결합된 가이드블록(5)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블록(5)에 가압실린더(6)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6)에는 가압플레이트(7)가 장착되고, 이 가압플레이트(7)는 수거통(3)의 내부에서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실린더(2)의 일측에는 쓰레기가 가압될 때 승강 실린더(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기구(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쓰레기 압축기는 승강실린더(2)를 구동시켜 수거통(3)을 승강시키도록 하고, 가압실린더(6)에 의해 수거통(3) 내부에서 쓰레기의 압축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압축기는 가압실린더(6)에 의해 쓰레기를 압축하기 위해서는 가압플레이트(7)를 하측으로 이동가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승강실린더(2)가 가압실린더(6)의 가압력에 의해 상, 하로 유동되고 이와 같은 유동은 쓰레기 압축의 불균일함을 야기시키고 심하게는 실린더 자체를 파손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2)는 가압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단속기구(8)를 이용(손잡이 레버를 회전시켜)하여 실린더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단속기구(8)의 기구적 고정은 가압실린더(6)의 가압력에 의한 파손이 자주발생되고, 특히 단속기구(8) 자체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승강실린더(2)에 충진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과중한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조작이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57317호(이하, 기 등록고안)는 가압실린더의 구동력이 승강실린더와 별도로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압축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상기된 기 등록고안의 쓰레기 압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기 등록고안의 쓰레기 압축기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면에 적정 높이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11), 지지대(11)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 및 가이드블록(13), 가이드블록(13)에 설치된 가압실린더(14), 지지대(11)의 사이에 구비된 수거통(15)의 양측에 결합되어 수거통(15)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록(13)의 상측에는 수거통(15)에서 쓰레기를 취출할 때,(구체적으로는 쓰레기 봉투를 분리할 때) 후방으로 이동된 가이드블록(13)에서 회전되어 수거통(15) 내부의 쓰레기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U" 형태의 지지봉(17)과 지지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 등록고안의 쓰레기 압축기는 가압실린더(14)에 의해 수거통(15) 내부의 쓰레기가 압축됨은 전술된 것과 같고, 쓰레기를 취출하는 과정에서 지지봉(17)을 회전시켜 지지봉(17)의 지지플레이트(18)가 수거통(1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지지봉(17)의 끝단을 연장관(19)에 의해 연장시켜 압축된 쓰레기의 상측을 지지한 후 승강실린더(16)를 구동시켜 쓰레기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기 등록고안의 쓰레기 압축기는 가압실린더에 의한 가압력이 지지대에 의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단속기구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해소되기는 하지만, 지지봉 및 지지봉에 결합된 연장봉과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해야 함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일 끝단이 수거통의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U" 형태의 봉체에서 변형이 불가능하여, 수거통을 상승시킬 때 쓰레기를 가압함에 따른 반발응력에 의해 휨이 발생되고, 결국 가이드블록과의 결합이 적은 면적의 봉체 끝단부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미약하여 수거통의 상승시 소위 "들썩거리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른 사용자의 제품 불신감을 제공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지지봉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가 수거통의 대략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된 현상을 미약하나마 해소할 수는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불신감을 해소시키기는 어려우며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쓰레기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수거통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쓰레기를 취출하기 위한 구성의 단순화 및 취출과정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 쓰레기 압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쓰레기 압축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쓰레기 압축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승강기구부가 나타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프레임 21: 지지대
22: 수거통 24: 돌기
30: 압축기구부 31: 이동가이드부
32: 실린더 33: 가이드레일
34: 가이드블록 35: 가압플레이트
40, 50: 승강기구부 41: 하우징
42, 51: 동력발생기구 43: 동력전달축
44: 구동부재 45: 휠
52: 리드스크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쓰레기 봉투가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수거통이 구비되고,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수단과 투입된 쓰레기의 취출을 위해 수거통을 승강시키는 수단이 마련된 쓰레기 압축기에 있어서,
상면에 수거통이 구비되고, 수거통의 양측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서 수거통 측으로 하향 설치되어 수거통 내부의 쓰레기를 압축시키고, 수거통의 상측 개방부분을 개방/폐쇄하기 위해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압축기구부와; 상기 압축기구부가 설치된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가 지지대의 내부에서 수거통의 양측에 결합되어 수거통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은 쓰레기의 압축시 발생되는 반발응력이 지지대에 의해 해소되어 쓰레기 압축시의 수거통 유동이 방지되며, 프레임에 포함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갖는 지지대에 압축기구부가 지지되고, 수거통이 상승될 때 압축기구부의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수거통 내부의 쓰레기가 지지되도록 하여 쓰레기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배제되며, 단지 수거통을 승강시키는 단순한 과정에 의해 쓰레기 취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쓰레기 압축기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쓰레기 압축기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는 프레임(20),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30), 수거통(22)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상면의 좌, 우측에서 상측으로 지지대(21)가 세워져 설치되며, 상, 하측이 관통된 수거통(22)이 지지대(21)의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통(22)의 양측에는 지지대(21)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해 "ㄷ" 형태의 지지대(21) 내측에 안내되도록 끼워지는 돌출블록(23)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구부(30)는 이동가이드부(31)와, 이동가이드부(3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압기구인 실린더(3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31)는 가이드레일(33)과 가이드레일(33)에 결합된 가이드블록(34)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3)은 각 지지대(21) 상단부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각 가이드레일(33)에 가이드블록(34)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양측의 가이드레일(33)은 "ㄷ"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하고, 가이드블록(34)은 가이드레일(33)의 개방된 부분에 끝단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롤러 등의 수단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3)은 수거통(22)이 구비된 수직상방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실린더(32)를 수거통(22)의 수직상방 및 수직선상 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2)는 가이드블록(34)의 저면에 설치되며, 수거통(22)과 대향되는 끝단부에 수거통(22)의 형태(도면에서는 6각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가압플레이트(35)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플레이트(35)의 양측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는데, 이는 수거통(22)의 내부 양측의 벽면에 상, 하로 다수개 배열되어 압축된 쓰레기가 반발력에 의해 복원되는 현상을 제한하기 위해 돌기(24)가 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35)가 실린더(3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이 돌기(3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돌기통과홈(36)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압축기의 승강기구부가 나타난 측면도.
도 3과 더불어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기구부(40)는 하우징(41), 동력발생기구인 모터(42), 동력전달축(43), 구동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은 지지대(21)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 구성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모터(42)는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기구부(40)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단속하여 구동/정지 또는 정/역 구동 등의 기능을 갖는 클러치 펄스모터 등의 종류로 선택된다.
상기 동력전달축(43)은 하우징(4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모터(42)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그 양단에 휠(45)이 결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각 휠(45)이 결합된 지점은 각 지지대(21)의 수직상부의 구간이되며, 각 지지대(21)의 하측에는 상기 휠(45)이 동력전달축(43)에 의해 회전될 때 동시회전되는 휠(4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 하부의 휠(45)에는 구동부재(44)가 궤적을 형성하며 이동되도록 걸쳐져 장착되는 것으로,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휠(45)은 스프로킷으로 선택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재(44)는 체인으로 선택되며, 이 구동부재(44)에는 수거통(22)의 양측부가 고정결합되어 구동부재(44)의 궤도이동에 의해 수거통(22)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휠(45)과 구동부재(44)는 다른 실시상태로 풀리와 벨트의 동력전달기구가 선택될 수 있지만 수거통(22)이 고강도의 금속으로 제작됨에 기인할 때, 동력의 전달이 안정적인 스프로킷, 체인이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7은 실린더(32)의 이동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장착된 손잡이, 60은 압축기구부(30)의 실린더(32) 및 승강기구부(40)의 모터(42)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 70은 실린더(32)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80은 프레임(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 압축기는 승강구동부(40)의 모터(42)를 회전시키게 되면 동력전달축(43)이 회전되어 구동부재(44)가 궤적이동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재(44)와 고정결합된 수거통(22)이 상승된다.
이 때, 상기 수거통(22)의 돌출블록(23)은 지지대(21)의 내측에 안내되어 수거통(22)이 안정적으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수거통(22)이 상승되면, 사용자는 수거통(22)의 외면에 쓰레기 봉투(종량제 봉투)를 하측에서 부터 씌워 장착시키고, 상기 모터(42)를 역구동시켜 수거통(22)을 원상태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축기구부(30)의 실린더(32)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실린더(32)가 결합된 가이드블록(34)은 가이드레일(33)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거통의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실린더(3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실린더(32)의 가압플레이트(35)가 수거통(22)의 수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하고, 실린더(32)를 구동시켜 쓰레기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쓰레기의 압축과정은 가압플레이트(35)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쓰레기를 가압압축하는 과정이며, 이 때, 상기 가압플레이트(35)는 양측에 홈이 형성됨으로 인해 하강시 돌기(24)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24)는 가압플레이트(35)가 상승되어 원상태로 복귀된 후, 압축된 쓰레기가 자체의 탄력에 의해 복원됨을 제한하게 되며, 수거통(22) 내부에 쓰레기가 투입될 공간이 존재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된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쓰레기를 최대한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쓰레기는 수거통(22)을 통해 쓰레기 봉투에 투입된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로 쓰레기 봉투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수거통(22)을 상승시켜야 한다.
상기 수거통(22)의 상승은 전술된 것과 같이 승강기구부(40)의 모터(42)를 회전시킴에 의해 간단하게 수행되는데, 이 때, 수거통(22)을 따라서 상승되려는 쓰레기는 실린더(32)의 가압플레이트(35)에 지지되어 결국 쓰레기 봉투는 쓰레기가 내부에 투입된 상태로 프레임(20) 상에 얹혀진 상태가 되고 수거통(22) 만이 상승되어 쓰레기 봉투의 취출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른 실시예는 원 실시예의 승강기구부(40)의 휠(45)과 구동기구(44)로 선택된 스프로킷과 체인의 구성을 보다 정밀한 구동상태를 갖는 리드스크류 방식의 구성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른 실시예의 승강기구부(50)는 하우징(41)의 내부에 동력발생기구인 모터(51)가 설치되고, 모터(5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리드스크류(52)가 지지대(2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51)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 등의 휠(53)이 장착되고, 이와 대응선상의 리드스크류(52) 상측에도 휠(53)이 장착되어 이들 휠(53)은 체인 등의 구동부재(5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리드스크류(52)는 상, 하단이 각각프레임(20)의 상면과 하우징(41)의 하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은 당연하며, 리드스크류(52)의 회전에 의해 수거통(22)이 승강되기 위해 수거통(22)의 양측은 리드스크류(52)와 나사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쓰레기의 압축시 수거통의 유동이 해소되어 압축효율이 높아지게 되며, 쓰레기를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시 발생되는 시간적,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취출구성의 단순화에 의해 그 과정이 손쉽게 수행되고, 더불어 수거통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유압식이 아닌 기구적 구성을 채택하여 수거통의 승강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 제공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쓰레기 봉투가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수거통(22)이 구비되고,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수단과 투입된 쓰레기의 취출을 위해 수거통(22)을 승강시키는 수단이 마련된 쓰레기 압축기에 있어서,
    상면에 수거통(22)이 구비되고, 수거통(22)의 양측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대(21)를 갖는 프레임(20)과;
    상기 지지대(21)의 상측에서 수거통(22) 측으로 하향 설치되어 수거통(22) 내부의 쓰레기를 압축시키고, 수거통(22)의 상측 개방부분을 개방/폐쇄하기 위해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압축기구부(30)와;
    상기 압축기구부(30)가 설치된 지지대(21)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가 지지대(21)의 내부에서 수거통(22)의 양측에 결합되어 수거통(22)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부(30)는
    지지대(21)의 상단내측에 설치되며, 수거통(22)의 개방부분이 폐쇄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상방의 구간에서 수거통(22)의 개방부분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후방의 구간에 걸쳐 가이드레일(3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3)에 가이드블록(34)의 양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가이드부(31)와;
    상기 가이드 블록(34)의 수거통(22) 측 대향면에 하향설치되어 수거통(22) 내의 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기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40)는
    지지대(21)의 상단에 결합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거통(22)이 승강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42)와;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발생기구(4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그 양단 및 각 지지대(21)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휠(45)을 갖는 동력전달축(43)과;
    상기 동력전달축(43)과 지지대(21)의 각 휠(45)에 걸쳐 장착되고, 각각의 일구간이 수거통(22)의 양측에 고정결합되어 동력전달축(43)의 회전에 의해 수거통(22)을 승강시키는 구동부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50)는
    지지대(21)의 상단에 결합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거통(22)이 승강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51)와;
    상기 각 지지대(21)의 내부에서 동력발생기구(51)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각각 설치되고, 수거통(22)의 양측에 나사결합되어 동력발생기구(5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므로 인해 수거통(22)을 승강시키는 리드스크류(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22)의 내부벽면에는 투입되어 압축된 쓰레기가 상측으로 반발되는 것을 제한하는 돌기(24)가 상, 하로 여러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KR20-2003-0012385U 2003-04-22 2003-04-22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KR200322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85U KR200322210Y1 (ko) 2003-04-22 2003-04-22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85U KR200322210Y1 (ko) 2003-04-22 2003-04-22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210Y1 true KR200322210Y1 (ko) 2003-08-02

Family

ID=4933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385U KR200322210Y1 (ko) 2003-04-22 2003-04-22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2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22B1 (ko) 평판형 대걸레 세척 및 압착탈수용 대걸레 버킷
KR101896490B1 (ko) 스크랩 수거장치
US3808967A (en) Trash compactor
US20100154663A1 (en) Universal manual trash compactor
CN209409384U (zh) 废纸打包机
KR200322210Y1 (ko) 유압식 쓰레기 압축기
CN109226298B (zh) 一种五金板拉伸装置
KR100940520B1 (ko) 쓰레기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통
CN209501775U (zh) 一种垃圾压缩机
CN111645359A (zh) 一种新型环保垃圾压缩机
KR101404040B1 (ko) 생활쓰레기 압착기
KR101114660B1 (ko)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CN114030794B (zh) 一种带有分类处理功能的侧装式环卫垃圾车
EP3381671A1 (en) Co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waste material and use of the compac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210031761U (zh) 一种土地整治用夯实装置
CN208699692U (zh) 四柱举升垃圾压缩站
CN218660560U (zh) 一种油樟叶蒸馏用的辅助上料装置
CN219170299U (zh) 一种带有压料结构的废料收集装置
CN217704847U (zh) 一种废弃铁制品压制装置
CN210415631U (zh) 一种建筑工程用建筑垃圾收集压缩装置
CN216763352U (zh) 一种翻转机构
CN211914303U (zh) 一种用于喷涂汽车配件的悬挂装置
CN220409734U (zh) 一种机械压实机
CN113415021B (zh) 一种金属碎渣连续打包机构
KR200273582Y1 (ko) 쓰레기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