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038Y1 - 가방용 버클 - Google Patents

가방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038Y1
KR200322038Y1 KR20-2003-0014649U KR20030014649U KR200322038Y1 KR 200322038 Y1 KR200322038 Y1 KR 200322038Y1 KR 20030014649 U KR20030014649 U KR 20030014649U KR 200322038 Y1 KR200322038 Y1 KR 200322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ush button
protective cap
buck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2003-0014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3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press-butt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의의 외력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진 가방용 버클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가방의 덮개부와 몸체부에 암/수 한쌍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가방용 버클에 있어서, 가방(200)의 덮개부(210) 단부에 부착되고, 단부 상면에 탄성을 가진 누름 버튼(125)이 구비된 삽입부(120)와; 상기 가방(200)의 몸체부(220)에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111)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1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 버튼(125)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수용하며 상기 누름 버튼(125)의 상면을 복개하여 상기 누름 버튼(125)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115)을 가지는 수용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방용 버클{Buckle for bag}
본 고안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의의 외력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진 가방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가방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방(1)은 그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 공간(미도시)을 가지는 몸체부(4)와, 상기 수용 공간에 보관된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보관된 물건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를 상기 몸체부(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를 가지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3)는 일종의 후크 역할을 하는 삽입부(5)와 상기 삽입부(5)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5)는 일반적으로 가방(1)의 덮개부(2)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5)의 단부 상측에는 누름 버튼(5a)이 형성되는데, 상기 누름 버튼(5a)는 상기 수용부(6)에 삽입된 후에 외력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 스스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후크 헤드 또는 미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용부(6)는 몸체부(4)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6)가 삽입된 후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바아(6a)(bar)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고정부(3)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잠기거나 잠김이 해제된다. 먼저, 상기 삽입부(5)를 상기 수용부(6)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누름 버튼(5a)이 상기 바아(6a)에 의해 살짝 눌리면서 삽입된다. 삽입부(5)가 수용부(6)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누름 버튼(5a)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어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바아(6a)의 저면 보다 상기 누름 버튼(5a)의 상면이 훨씬 높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5)를 수용부(6)에서 빼내려고 해도 상기 누름 버튼(5a)가 상기 바아(6a)에 걸리므로 고정부(3)는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고정부(3)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누름 버튼(5a)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5)를 상기 수용부(6)에서 빼내게 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가방(1)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들고 있거나 메고 있을 때 상기 누름 버튼(5a)이 눌리기만 하면 열리게 된다. 이는 몸체부(4)내에 보관된 물건들의 중량에 의해서 몸체부(4)는 하측 방향의 힘을 받고 있는데 반해, 상기 덮개부(2)에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또는 가방 끈이 연결되므로 상기 몸체부(4)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상기 삽입부(5)가 상기 수용부(6)에서 빠져 나가려는 힘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밀집된 버스 또는 지하철 등에 탑승 하였을 경우 인접한 사람 또는 다른 가방들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5a)이 눌리게 되어, 사용자가 뜻하지 않는 상황에서 가방(1)의 덮개부(2)가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불의의 외력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방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방의 덮개부 단부에 부착되고, 단부 상면에 탄성을 가진 누름 버튼이 구비된 삽입부와; 상기 가방의 몸체부에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 버튼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수용하며 상기 누름 버튼의 상면을 복개하여 상기 누름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을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방용 버클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가방용 버클이 장착된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의 수용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이 장착된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고안 버클 110 : 수용부
111 : 제1 플레이트 112 : 고정다리
113 : 제1 스토퍼 114 : 축 지지대
114a : 제1 축공 114b : 제3 톱니부
115 : 보호캡 115a : 측면 보호부
115b : 제2 축공 115c : 제1 톱니부
116 : 제2 스토퍼 116a : 제3 축공
116b : 제2 톱니부 117 : 스프링
118 : 축 120 : 삽입부
121 : 제2 플레이트 123 : 체결부
125 : 누름 버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 일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버클의 수용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방용 버클(100)은 삽입부(120)와 수용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200)의 덮개부(210)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부(110)는 가방(200)의몸체부(220)에 고정된다.
상기 삽입부(120)는 그 몸체,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12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200)의 덮개부(21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123)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123)는 예를 들면,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내측으로 상기 덮개부(210)의 단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123)의 내측에 덮개부(210)의 단부가 삽입된 후에는 도 2의 핀(127)에 의해 상기 체결부(123)와 덮개부(210)의 단부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핀에 의해 체결부(123)와 덮개부(210)의 단부가 상호 고정되는 구조는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 만으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삽입부(120)의 체결부는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체결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 다리 또는 고정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부가 이와 같이 구성되면 체결부 자체가 상기 덮개부(210)의 단부를 관통한 후에 체결부의 단부가 절곡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121)를 상기 덮개부(210)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 만으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삽입부(120)의 제2 플레이트(121) 상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의 상면에는 누름 버튼(125)가 구비된다. 누름 버튼(125)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플레이트(121)의 단부에 인접한 측이 낮고, 그 반대측이 높게 경사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경사를 가지면 상기 수용부(11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된 후에 높이가 높은 측이 낚시 바늘의 미늘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누름 버튼(125)을 누르지 않고서는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상기 삽입부(120)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수용부(110)의 제1 플레이트(111)는 상기 가방(200)의 몸체부(220) 외면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저면에는 다수, 예를 들면, 한쌍의 고정다리(112)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다리(112)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방(200)의 몸체부(220)를 관통한 후에 그 단부가 절곡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11)를 상기 몸체부(2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제1 플레이트(111)의 단부 상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0)의 제2 플레이트(12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113)가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110)의 제1 플레이트(111)와 보호캡(115)은 상호가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그 일측,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삽입부(120)가 삽입되는 측,의 상면 양측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지는 한 쌍의 축 지지대(114)를 가진다. 상기 축 지지대(114)의 상측 부분에는 축(118)이 삽입되기 위한 제1 축공(114a)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축 지지대(114)의 상측 부분, 좀더 상세하게는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후술할 제2 스토퍼(11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3 톱니부(114b)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캡(115)은 상기 삽입부(1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 버튼(125)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버튼(125)을 완전히 복개한다. 그리고 보호캡(115)의 일단에는 상기 축(118)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111)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축공(115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축공(115b)의 외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예를 들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호캡(115)의 테두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보호부(115a)가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측면 보호부(115a)는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서 상기 누름 버튼(125)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보호캡(115)은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호캡(115)의 외관을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하트나 사과, 딸기 등의 과일 형태 등으로 디자인 하면 천편일률적인 버클의 형상에서 벗어나 신선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로써 훌륭하게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축공(115b)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하게될 제2 스토퍼(11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1 톱니부(115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2 스토퍼(116)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1)의 축 지지대(114)에 형성된 제3 톱니부(114b)와 상기 보호캡(115)의 제1 톱니부(115c)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 2에는 상기 제1 톱니부(115c)와 제3 톱니부(114b)를 모두 도시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제2 스토퍼(116)에 대한 설명에서 좀더 기술할 것이다.
제2 스토퍼(11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15)과 상기 축 지지대(114)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캡(115)의 외면은 다각형, 예를들면 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상기 보호캡(115) 또는 축 지지대(114)에 삽입되어 장착된 후에, 상기 보호캡(115)이 회동하더라도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토퍼(116)에는 상기 축(118)이 관통하기 위한 제3 축공(116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스토퍼(116)의 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톱니부(11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톱니부(116b)는 상기 보호캡(115)의 제1 톱니부(115c) 또는 상기 축 지지대(114)의 제3 톱니부(114b)와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상기 제2 스토퍼(116)는 상기 보호캡(115) 또는 축 지지대(114)에 제공된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7)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은 채로 상기 제1 또는 제3 톱니부(115c 또는 114b)와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상기 보호캡(1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면, 상기 제2 톱니부(116b)는 상기 제3 톱니부(114b)와 치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보호캡(115)에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상기 축 지지대(1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면, 상기 제2 톱니부(116b)는 상기 제1 톱니부(115c)와 치합된다. 이 경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축 지지대(114)에는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방용 버클(100)의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도 5는 가방용 버클(100)이 장착된 가방(200)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용 버클(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에 상기 삽입부(120)를 대응시킨다. 이때 상기 보호캡(115)과 상기 제2 플레이트(1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누름 버튼(125)이 대향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버튼(125)의 선단부를 상기 공간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누름 버튼(125)이 서서히 눌리면서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에 계속 삽입되면 상기 보호캡(115)이 서서히 들리기 시작한다. 이는 상기 누름 버튼(125)이 진행할 때, 상기 누름 버튼(125)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 축공(115b)의 외면이 상기 누름 버튼(125)의 상면에 대해서 구름 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제2 축공(115b)의 외면이 도 2에 도시되고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각형 구조를 가진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115)은 상측으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4b와 도 4c 까지 진행되는 동안 제2 스토퍼(116)와 축 지지대(114) 또는 보호캡(115)은 치합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누름 버튼(125)이 삽입되면서 보호캡(115)이 서서히 들리게 되면, 치합된 톱니가 하나씩 이동하여 바뀌게 된다. 이는 상기 제2 스토퍼(116)가 스프링(117)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치합 상태가 고정된 상태만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삽입부(120)가 수용부(1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보호캡(115)을 닫는다. 그러면 치합에 의해 상기 보호캡(115)은 외력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열리지 않는다. 이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된 후 보호캡(115)이 닫혀지면, 외부에서 상기 누름 버튼(125)을 누를 수 없게 되므로 불의의 외력에 의해 삽입부(120)와 수용부(110)가 분리되어 가방(200)의 덮개부(210)가 개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덮개부(21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보호캡(115)을 회동시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개방한 후에, 상기 누름 버튼(125)을 누르면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에서 빠져 나가면서 가방(200)의 덮개부(210)가 개방된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누름 버튼이 구비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에, 상기누름 버튼을 수용하면서 상기 누름 버튼의 상면을 복개하는 보호캡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 버튼이 불의의 외력에 의해 눌려,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의 형상을 변경하면, 천편 일률적이던 버클의 형상에서 벗어나 신선한 미감을 주는 장신구로 기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방의 덮개부와 몸체부에 암/수 한쌍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가방용 버클에 있어서,
    가방(200)의 덮개부(210) 단부에 부착되고, 단부 상면에 탄성을 가진 누름 버튼(125)이 구비된 삽입부(120)와;
    상기 가방(200)의 몸체부(220)에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111)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1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 버튼(125)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수용하며 상기 누름 버튼(125)의 상면을 복개하여 상기 누름 버튼(125)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115)을 가지는 수용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방용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111)와 상기 보호캡(115)의 힌지 결합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캡(115)과 상기 제2 플레이트(111)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어 상기 보호캡(115)의 회동 시 회동된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2 스토퍼(1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방용 버클.
KR20-2003-0014649U 2003-05-13 2003-05-13 가방용 버클 KR200322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49U KR200322038Y1 (ko) 2003-05-13 2003-05-13 가방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49U KR200322038Y1 (ko) 2003-05-13 2003-05-13 가방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038Y1 true KR200322038Y1 (ko) 2003-08-02

Family

ID=4941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49U KR200322038Y1 (ko) 2003-05-13 2003-05-13 가방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09B1 (ko) 2009-11-05 2011-09-07 박정서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09B1 (ko) 2009-11-05 2011-09-07 박정서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5263577A (en) Holder for a replacement battery for a watch
US4811577A (en) Portable locking device
KR200322038Y1 (ko) 가방용 버클
US7870981B2 (en) Bracelet donning assistance device
FR2870692A1 (fr) Bagage comportant un filet
JP3120917U (ja) 折り畳み傘
KR200333101Y1 (ko) 가방용 버클
KR200335794Y1 (ko) 가방용 버클
KR102275958B1 (ko) 휴대성을 향상시킨 계란판
US6739990B2 (en) Grip for catching a ball
CN114259741B (zh) 饰品玩具和涂布材料收容体
KR200280541Y1 (ko) 상패케이스
KR200430226Y1 (ko) 래치에 자물쇠 고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잠금장치
KR200240182Y1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KR200211750Y1 (ko) 물품 수용공간부를 갖는 장신구
KR102295890B1 (ko) 소형 전자제품 포터블 케이스
KR200210721Y1 (ko) 가방용 버클
KR200431647Y1 (ko) 걸림핀이 포함된 가방끈 결합구조를 갖는 가방
KR200186384Y1 (ko) 비누갑
KR100566658B1 (ko) 사물함
JPS606652Y2 (ja) 留具
KR960003693Y1 (ko) 지적도면 보호커버
JP3088638U (ja)
JPH01425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