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005Y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005Y1
KR200322005Y1 KR20-2003-0012119U KR20030012119U KR200322005Y1 KR 200322005 Y1 KR200322005 Y1 KR 200322005Y1 KR 20030012119 U KR20030012119 U KR 20030012119U KR 200322005 Y1 KR200322005 Y1 KR 20032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ode
dust adsorption
dust
adsorp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현
Original Assignee
류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영현 filed Critical 류영현
Priority to KR20-2003-0012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분진을 제거하여 향기가 포함되어 나오도록 하는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중에 있는 분진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분진흡착수단과,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에 방향제를 첨가하기 위한 방향제첨가수단과,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하부와 상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서 하부 공기통로에 인입된 공기가 상기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부공기통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 사이에 오존을 제거하는 디오존카타리스트를 추가로 설치하면 더욱 좋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Air cleaner}
본 고안은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기까지 나오도록 하는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이 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공기 중에는 산업 공해물질이 대량으로 함유되고 있고, 자동차 배가 가스에서도 다량의 유해물질이 함유되어대기로 방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봄철이 되면 황사로 인한 공기오염이 대단하며, 실내에서는 담배연기 또한 공해물질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그래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공기청정기가 있으나, 필터를 교환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먼지나 오염물질이 부착되어도 용이하게 깨끗하게 할 수 있는 분진 흡착 수단을 가진 공기청정기는 없었다.
특히 정전기식 분진 제거 장치에서는 집진전극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가 어렵고 청소가 잘되지 않는 불편한 것이었다. 담배연기 속에 포함된 타르 등의 오염물질은 더욱 청소가 잘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 분진을 흡착 제거함으로써 공기를 깨끗한 상태로 만들고, 향기가 포함되게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집진전극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할 수 있어서 간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에 있는 분진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분진흡착수단과,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에 방향제를 첨가하기 위한 방향제첨가수단과,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하부와 상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서 하부 공기통로에 인입된 공기가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부공기통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 분진흡착수단과 상기 방향제첨가수단 사이에 오존을 제거하는 디오존카타리스트를 추가로 설치한다.
또 다른 본 고안의 공기청정기는, 방전침 형태의 제1전극과,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원형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알루미늄호일 재질로 만들어진 원판 형태의 제2전극과,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직류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진흡착수단과, 분진흡착수단을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하부와 상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서 하부 공기통로에 인입된 공기가 상기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후 상부공기통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a : 외부호스 삽입구
11b : 내부호스 삽입구 20 : 제1 내부원통
21 : 제2 내부원통 30 : 그물망 용기
42 : 수직 방전침 44 : 집진전극
60 : 방향제 포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청정기, 특히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에 있는 분진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분진흡착수단과,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에 방향제를 첨가하기 위한 방향제첨가수단과,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하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배기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제1내부원통(20) 및 제2 내부원통(21)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10)로 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내부원통(20) 내연에 제2내부원통(21)이 위치하고, 제1내부원통 외연 바깥에는 하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배기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케이스의 본체(10)가 위치한다. 본체(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측에 배출구(13)가 있는 뚜껑(12)이 결합되고, 외연 소정 위치에는 국부의 오염된 공기를 취합해 호스 내로 이동시켜 제1내부원통(20) 및 제2내부원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호스 삽입구(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측에는 외기를 본체(10), 제1내부원통(20)및 제2내부원통(2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그물망 용기(30)가 고무밴드(31)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원통형, 역원추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제1내부원통 외연에는 본체(10)의 외부호스 삽입구(11a) 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호스 삽입구(11b)가 형성된다.
흡착수단은 본체(10)하부에 위치된 그물망 용기(30)를 통과해 들어온 외기가 제1내부원동(20) 내부의 상승기체 흐름에 의해 본체(10)의 배출구(13)쪽으로 상승하는 도중 함유하고 있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코로나 방전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외기가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통로의 중간 과정인 제2내부원통(21)내부의 공기 통로 상에 고전압을 발생, 전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분진을 대전시켜 외기에 포함된 분진이 정전기 힘에 의하여 집진전극에 부착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전압 발생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직류전원 또는 어댑터를 이용한 교류전원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1내부원통(20)의 내연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기판 지지대(40)의 중심에 외기의 분진을 대전시키도록 매우 작은 도전성 파이프(45)에 다수개의 수평 방전침(43)과 1개의 수직 방전침(42)을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접합시켜 구성된 방전극(41)을 배치하고, 방전극의 주변으로 방전극을 애워 싸며 뚜껑의 배출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46)가 형성된 원통형의 알루미늄 재질로 된 집진전극(44)이 기판 지지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내부원통(21)의 하부 내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집진전극(44)은 알루미늄호일(상품명:쿠킹호일 또는 일회용 은박접시 재료)로 만들면 좋다.
또한, 방전극(41)과 집진전극(44)은 전기회로 지지대(47)내의 고전압 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도록 한다.
이때, 외기가 방전극(41)과 집진전극(44) 사이를 통과하면서 외기에 포함된 분진은 코로나 방전의 원리에 의한 전기장에 의해 대전되어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된 집진전극(44)으로 이동 접착된다.
여기서, 제2내부원통(21)은 제1내부원통(20) 내연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게 함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래의 구리판으로 된 집진전극에 흡착된 분진을 청소 할 경우 청소가 잘되지 않는 경향이 많았으며 특히 담배연기 속의 타르 분진이 흡착되었을 때는 청소가 대단히힘든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알루미늄호일(상품명:쿠킹호일)의 재질로 된 집진전극(44)에 흡착 된 분진은 세척 액을 바르지 않은 마른 헝겊으로도 간단히 청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집진전극 재질의 차이에 원인이 있으며, 알루미늄은 구리와 비교해서 분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 청소가 잘 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집진전극의 청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제1내부원통(20)에서 빠져나온 제2내부원통(21)내의, 분진이 흡착 된 값이 싼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된 집진전극(44)을 신규의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된 집진전극(44)으로 대체 하면 청소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된 다수 층의 집진전극으로 구성하여 청소시 분진이 흡착된 1개층만 제거하면 청소가 편리하게 된다.
본 고안은 또한 제2 내부원통(21) 내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흡착수단에 의하여 분진이 제거된 공기에 향기가 나도록 하는 방향제 첨가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내부원통(21)내의 중간에 공기의 휠터링을 위한 참숯의 상부휠터(50a) 및 디오존카타리스트(상품명: 매그린 회사의 OZ100)의 하부휠터(50b)를 포함한다.
바닥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61)이 뚫려 있고 상부가 개방된 광촉매가 코팅된 방향제 포트(60)를 상부휠터(50a)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공기 펌프나 송풍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내부원통(20) 하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상승시키는 힘을 발생 할 수 있도록 수직 방전침(42)을 방전극(41)에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팬을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됨으로 소음 공해를 줄일 수 있다.
광촉매가 코팅된 방향제 포트(60)내에 직경 3 mm 정도 되는 다수의 방향제(62)를 넣어 두면, 외기에 포함된 분진이 흡착 제거된 상태의 깨끗한 공기가 수직 방전침(42)에 의해 발생된 강력한 상승 기류로 변해 방향제(62)들 틈 사이를 빠져 나오면서 방향제 향기와 혼합되어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실내 및 대기의 오염이 최소화되며 ,또한 향기 나는 실내 분위기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는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된 집진전극을 채택하여 집진전극의 청소의 간편함을 제고시키는 한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되는 향기에 의해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 회복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공기 중에 있는 분진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하는 분진흡착수단과,
    상기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에 방향제를 첨가하기 위한 방향제첨가수단과,
    상기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하부와 상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서 하부 공기통로에 인입된 공기가 상기 분진흡착수단과 방향제첨가수단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부공기통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수단과 상기 방향제첨가수단 사이에 오존을 제거하는 디오존카타리스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수단은,
    방전침 형태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원형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직류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첨가수단은 광촉매가 코팅된 방향제 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
  5. 제 1, 2, 3,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 원통 내에 동축으로 설치된 제1내부원통과 제2내부원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내부원통 내에는 상기 분진흡착수단, 상기 디오존카타리스트, 및 상기 방향제첨가수단이 밑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향기 나는 공기청정기.
  6. 방전침 형태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원형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알루미늄호일의 재질로 만들어진 원판 형태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직류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진흡착수단과,
    상기 분진흡착수단을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하부와 상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서 하부 공기통로에 인입된 공기가 상기 분진흡착수단을 통과한 후 상부공기통로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
KR20-2003-0012119U 2003-04-19 2003-04-19 공기청정기 KR20032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119U KR200322005Y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119U KR200322005Y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005Y1 true KR200322005Y1 (ko) 2003-07-31

Family

ID=4933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119U KR200322005Y1 (ko) 2003-04-19 2003-04-19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0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001A (ko) 2018-04-25 2019-11-04 (주)보경종합기술 공기정화장치
KR20190131333A (ko) 2018-05-16 2019-11-26 (주)보경종합기술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001A (ko) 2018-04-25 2019-11-04 (주)보경종합기술 공기정화장치
KR20190131333A (ko) 2018-05-16 2019-11-26 (주)보경종합기술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6134A (ko) 공기 정화기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JP2008055404A (ja) 空気処理装置
WO2011035632A1 (zh) 空气清净机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KR20180012021A (ko) 방역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1498536B1 (ko) 탈취장치
JP2002263175A (ja) 空気浄化装置
KR200322005Y1 (ko) 공기청정기
CN2607139Y (zh) 纳米光催化静电空气净化机
KR102244493B1 (ko)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기
KR100725156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및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필터링방법
CN210934400U (zh) 一种多功能复合型离子除臭机
CN210688542U (zh) 一种光催化空气净化装置
JP2004358363A (ja) 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CN113124526A (zh) 一种新风杀毒治理器
CN111237833A (zh)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油烟机
KR100404862B1 (ko) 공기정화장치
CN212481412U (zh)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油烟机
CN216440861U (zh) 一种用于实验室的空气净化装置
CN215412374U (zh) 一种智能新风杀毒治理器
CN212566184U (zh) 除味器
TWI730702B (zh) 靜電吸附裝置及包含靜電吸附裝置的空氣清淨機
KR200364112Y1 (ko) 입자상과 가스 상의 악취 유발물질을 동시에 처리하기위한 집진 탈취 처리기
KR101084610B1 (ko) 오존과 플라스마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