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33A -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33A
KR20190131333A KR1020180056078A KR20180056078A KR20190131333A KR 20190131333 A KR20190131333 A KR 20190131333A KR 1020180056078 A KR1020180056078 A KR 1020180056078A KR 20180056078 A KR20180056078 A KR 20180056078A KR 20190131333 A KR20190131333 A KR 2019013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water
flow
fl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697B1 (ko
Inventor
백광호
성창경
최종주
Original Assignee
(주)보경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경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보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8005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6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인이 생활하는 생활환경과 같은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통로로 상기 정화대상영역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통로에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대상영역 내의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전하를 인가는 전하인가유닛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하인가유닛을 통과하면서 전하가 부착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들이 포집되는 포집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는 일반인이 생활하는 생활환경과 같은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며, 유동 플레이트 표면에 물을 흘려 전하가 부착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므로 먼지 및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전식 공기정화장치{Electrostatic air cleaner}
본 발명은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인이 생활하는 생활환경이나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환경과 같은 정화대상영역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을 전기식 집진 방식으로 집진할 수 있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공기의 질이 저하됨에 따라 깨끗한 공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반인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소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기청정기는 집진 방식에 따라 기계식 공기청정기와, 전기식 공기청정기 및 복합식 공기청정기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식 공기청정기는 여재를 사용하여 집진 또는 탈취를 수행하는 것이며, 전기식 공기청정기는 고전압을 통해 공기중의 분진을 하전하는 방식이다. 복합식 공기청정기는 기계식 및 전기식 공기청정기의 집진 원리를 결합한 방식을 말한다.
전기식 공기청정기 중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이온화 영역에서 하전시키고, 이 먼지 입자를 집진 영역에서 집진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깨끗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하는 것으로, 주로 공기 유통이 잘되지 않아서 쉽게 오염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데 주로 많이 이용된다.
정전기식 공기청정기는 전하를 띈 먼지 입자를 집진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공기청정기 내에 두 전극을 설치하고, 이 전극을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서 전자를 만들어 먼지 입자를 하전시킨다.
종래의 정전기식 공기청정기는 공기가 본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를 집진해야 하는데, 효율적인 집진을 하기 위한 시설이 전기적, 절연적으로 복잡하고 공간과 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매일 최적의 운전조건과 관리하기 위한 유지 관리비용이 상당하며 전체적으로 중량이 무거워 수리와 소모품 교환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구조이다. 더욱이 초미세먼지나 미세입자가 하전되지 않아 집진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5359호 : 압전체 변압기를 이용한 정전기식 공기 청정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2005호 :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인이 생활하는 생활환경과 같은 정화대상영역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의 포집효율을 높여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통로로 상기 정화대상영역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통로에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대상영역 내의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또는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전하를 인가는 전하인가유닛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하인가유닛을 통과하면서 전하가 부착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들이 포집되는 포집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하인가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 회전팬부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측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회전팬부에 의한 공기의 이동량보다 적은 이동량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회전팬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전하인가유닛을 통과하면서 전하를 받아 대전입자가 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집진전극부와, 상기 집진전극부에 물을 공급 및 회수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하방으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공급홀이 형성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에 상기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위해 상기 공급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유동 플레이트와,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 플레이트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배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홀은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대향되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물공급관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메인판부와,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인접된 상기 메인판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인접된 상기 메인판부의 외측 단부에 각각 상방으로 소정높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 플레이트는 내주면을 따라 유동한 물이 상기 메인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메인판부의 외측 단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부착된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 브러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동 플레이트는 상기 물공급관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물공급관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보조구를 통해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 토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물공급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보조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설치된 보조공급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보조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유동플레이트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설치된 가이드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보조구 상측의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는 일반인이 생활하는 생활환경과 같은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며, 유동 플레이트 표면에 물을 흘려 전하가 부착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므로 먼지 및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의 집진전극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의 집진전극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의 집진전극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10)는 메인바디(100)와, 메인바디(100)에 설치되는 전하인가유닛(200)과 포집유닛(300)을 포함한다.
메인바디(100)는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통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대상영역은 건설현장, 공장과 같은 제조산업현장 또는 일상생활 영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1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정화대상영역의 공기가 유동통로(1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메인바디(100)는 토출구(110)에,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재차 필터링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재(140)는 토출구(110)를 덮을 수 있도록 메인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통과시키되, 먼지 및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의 이동이 메인바디(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메인바디(100)의 상단에 토출구(110), 메인바디(100)의 하단에 유입구(12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공기의 이동방향은 본 실시예와 달리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인바디(100)의 설치 방향 역시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바디(1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메인바디(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이나 원형기둥 또는 오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바디(100)은 외주면에, 사용자가 전하인가유닛(200) 및 포집유닛(300)의 구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전하인가유닛(200) 및 포집유닛(3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입력패널(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력패널(130)은 작동신호의 입력 및 작동상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하인가유닛(200)은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에 전하를 주어 상기 먼지나 오염물질이 대전입자가 되도록 하전하는 것으로서, 메인바디(100)의 유입구(120)측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210)와, 상기 구동모터(2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10)는 메인바디(100)의 내부 중앙부에,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바디(10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다수개의 브라켓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회전축(2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가 구동모터(21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한다.
제1회전부(230)는 회전축(2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팬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팬 블레이드는 회전축(2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회전축(220)의 회전시 메인바디(100) 내부의 공기를 유입구(120)에서 토출구(110) 측으로 유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부(240)는 회전축(2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팬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2팬 블레이드는 회전축(2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회전축(220)의 회전시 메인바디(10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110)에서 유입구(120) 측으로 유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제1회전부(230)와 제2회전부(240)가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데, 제1회전부(230)와 제2회전부(240)는 상호 교번으로 회전축(2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물질에 전하를 주어 상기 먼지 및 오염물질이 음(-)이온이 되게 한다.
특히 전하인가유닛(200)은 공기를 메인바디(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기의 역할을 하는데, 제1 회전부(230)는 유입구(120)를 통해 공기가 메인바디(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고, 유입구(120)에서 공기가 메인바디(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는 회전축(220)에 함께 설치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각각 공기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상호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축(220)에 두 개의 제1 회전부(230)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회전부(230)들의 사이에 하나의 제2 회전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는 각각 공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기 때문에 전하인가유닛(200)에서 공기의 체류시간이 증가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에 충돌하면서 특정 전기를 띄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는 상호 공기의 이동방향이 다르지만 제1 회전부(230)에 의한 공기의 이동압력이 제2 회전부(240)에 의한 공기의 이동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기는 전하인가유닛(200)을 통해 메인바디(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1 회전부(230)와 하나의 제2 회전부(240)가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제1 회전부(230)와 제2 회전부(240)의 수 및 배열순서는 공기가 전하인가유닛(200)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공기를 메인바디(10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면 이 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포집유닛(300)은 상기 전하인가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전기를 띄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물질들을 전기적 인력에 의해 포집 및 집진하는 것으로, 상기 먼지 또는 오염물질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집진전극부(310)와, 상기 집진전극부(3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320)를 포함한다.
집진전극부(310)는 메인바디(1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바디(1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전극부(310) 역시 사각형의 모양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집진전극부(310)는 메인바디(100)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메인바디(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진전극부(310)는 물공급관(311)과, 배수부재(315) 및 물공급관(311)와 배수부재(315)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 플레이트(313)를 포함한다.
물공급관(311)은 메인바디(100)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물공급부(32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물공급관(311)의 유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관(311)은 메인바디(10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유동 플레이트(313)는 물공급관(3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데, 메인바디(100)와 마찬가지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된다.
물공급관(311)은 물공급부(32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하다가 유동 플레이트(313)을 따라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급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홀(312)은 물이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측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급홀(312)은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보다 메인바디(100)의 유동통로(111)의 중심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물공급관(3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재(315)는 유동 플레이트(313)를 통해 흐른 물이 물공급부(320)로 다시 회수될 수 있도록 물이 모여 흐른다. 배수부재(315)는 유동 플레이트(313)의 하단에 형성된 메인판부(316)와, 메인판부(316)의 내측과 외측 단부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측면부(317)를 포함한다.
메인판부(316)와 측면부(317)에 의해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배수부재(315) 역시 사각형으로 연장된다.
유동 플레이트(313)의 하단부에는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상기 메인판부(316)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메인판부(316)의 외측 단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과홀(314)이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공급부(32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321)와, 상기 저수탱크(321)의 물을 상기 집진전극부(310)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322)와, 상기 집진전극부(310)를 통과한 물을 회수하는 물회수부(323)와, 상기 물회수부(323)에 형성되며, 물에 포집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3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전식 공기정화장치(10)는 유동 플레이트(313)에 물이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을 흐르는 물 역시 유동 플레이트(313)과 함께 양극이 되며, 전하인가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음이온이 된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동 플레이트(313)을 흐르는 물에 부착된 후 물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먼지 및 오염물질은 물공급부(320)로 다시 회수되어 여과부(324)에서 여과되는데, 이렇게 물에 먼지 및 오염물질이 포집된 후 여과 처리되므로 유동 플레이트(313)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집진 성능도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20)는 집진전극부(310)로 물을 공급할 때, 물의 공급과 차단을 설정된 시간(예를들어 1~10초) 간격으로 반복되게 하여 고압의 전력이 전기적 폐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공급과 차단은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차단수단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공기정화장치(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들이 전기적 안정 상태에서 음극 또는 양극 중 특정한 전극을 띄게 하기 위해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메인바디(100)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 전하인가유닛(200)과 포집유닛(300)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한 시스템의 운전정보나 상황정보들을 유·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100 ~ 10,000V의 직류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부를 포함하며, 고압부에서 발생한 +, - 전압을 각각 유동 플레이트(313)와, 제1, 제2 회전부(230,240)로 공급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전극부(4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전극부(410)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부착된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 브러쉬(411)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 브러쉬(411)는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으로부터 유동통로의 중심 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섬유소재 또는 플렉시블한 나이론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브러쉬(411)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에 마련되어 있다.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에는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이 접착되는데, 물이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에 마련된 필터 브러쉬(411)를 통과할 경우, 상기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은 필터 브러쉬(411)에 의해 필터링된다. 따라서, 별도의 여과수단이 없더라도 배수부재에 수집된 물을 재사용하거나 하수도 시설에 배출시킬 수 있어 장치의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전극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는 상기 물공급관(311)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보조구(4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집진전극부(420)는 물공급관(311)의 물을 상기 보조구(422)에 전달할 수 있는 보조공급관(421)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공급관(421)은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은 상기 물공급관(311)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유동 플레이트(313)에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공급관(421)은 상기 물공급관(311)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보조구(422)를 통해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 토출되도록 타단이 상기 보조구(422)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관(311)의 공급홀(312)로부터 배출된 물은 일부가 비산되어 유동 플레이트(313)의 하부에는 충분한 양이 유동하지 못하나, 본 발명의 집진전극부(420)는 보조공급관(421)이 마련되어 있어 유동 플레이트(313)의 하부로 물공급관(311)의 물을 공급하므로 유동 플레이트(313) 내주면에 균일하게 물이 유동하여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전극부(4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전극부(430)는 상기 보조구(422)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유동플레이트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에 설치된 가이드판(431)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판(431)은 상기 보조구(422) 상측의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313)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구(422)로부터 배출된 물은 가이드판(431)에 의해 유동 플레이트(313) 측으로 유도되어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유동 플레이트(313)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100: 메인바디 110: 토출구
120: 유입구 130: 입력패널
200: 전하인가유닛 210: 구동모터
220: 회전축 230: 제1 회전부
240: 제2 회전부 300: 포집유닛
310: 집진전극부 311: 물공급관
312: 공급홀 313: 유동 플레이트
314: 통과홀 315: 배수부재
316: 메인판부 317: 측면부
320: 물공급부 321: 저수탱크
322: 물공급펌프 323: 물회수부
324: 여과부

Claims (5)

  1. 정화대상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통로로 상기 정화대상영역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통로에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대상영역 내의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또는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전하를 인가는 전하인가유닛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하인가유닛을 통과하면서 전하가 부착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들이 포집되는 포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하인가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 회전팬부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측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 회전팬부에 의한 공기의 이동량보다 적은 이동량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회전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전하인가유닛을 통과하면서 전하를 받아 대전입자가 된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집진전극부와, 상기 집진전극부에 물을 공급 및 회수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하방으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공급홀이 형성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에 상기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위해 상기 공급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유동 플레이트와,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 플레이트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배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대향되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물공급관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메인판부와,
    상기 유동통로의 중심에 인접된 상기 메인판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인접된 상기 메인판부의 외측 단부에 각각 상방으로 소정높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플레이트는 내주면을 따라 유동한 물이 상기 메인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메인판부의 외측 단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부착된 오염물질 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플레이트는 상기 물공급관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물공급관에 수용된 물이 상기 보조구를 통해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 토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물공급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보조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설치된 보조공급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보조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유동플레이트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설치된 가이드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보조구 상측의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동 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KR1020180056078A 2018-05-16 2018-05-16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KR10207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78A KR102077697B1 (ko) 2018-05-16 2018-05-16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78A KR102077697B1 (ko) 2018-05-16 2018-05-16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33A true KR20190131333A (ko) 2019-11-26
KR102077697B1 KR102077697B1 (ko) 2020-04-07

Family

ID=6873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078A KR102077697B1 (ko) 2018-05-16 2018-05-16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6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59A (ko) 2000-03-04 2001-11-07 최안묵 압전체 변압기를 이용한 정전기식 공기 청정기
KR200322005Y1 (ko) 2003-04-19 2003-07-31 류영현 공기청정기
KR100878683B1 (ko) *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20180027198A (ko) * 2016-09-06 2018-03-14 서정수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59A (ko) 2000-03-04 2001-11-07 최안묵 압전체 변압기를 이용한 정전기식 공기 청정기
KR200322005Y1 (ko) 2003-04-19 2003-07-31 류영현 공기청정기
KR100878683B1 (ko) *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20180027198A (ko) * 2016-09-06 2018-03-14 서정수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697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9807B (zh) 多功能空气净化器以及包含其的空调系统
US20210402413A1 (en) Tower-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method thereof
JP2016507274A (ja) 水イオンの空気清浄機
KR101464225B1 (ko) 전기장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KR101270551B1 (ko) 습식 공기 청정장치
CN203648695U (zh) 空气净化装置
KR101981011B1 (ko) 공기청정기
KR102219778B1 (ko) 자동세척형 전기집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기
CN110822585B (zh) 一种具有增加空气流通功能的等离子空气净化器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KR20100050239A (ko) 원심 압력차에 의한 기수분리 및 오염원 제거장치
KR102084205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077697B1 (ko) 정전식 공기정화장치
KR102251486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101946303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장치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20170020682A (ko) 전기집진기의 세척장치
KR101888577B1 (ko) 접촉식 전극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080083785A (ko) 습식 전기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2006068581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清浄装置
CN208555443U (zh) 一种可自动收集灰尘的空气净化装置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