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78Y1 -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78Y1
KR200321178Y1 KR20-2003-0013767U KR20030013767U KR200321178Y1 KR 200321178 Y1 KR200321178 Y1 KR 200321178Y1 KR 20030013767 U KR20030013767 U KR 20030013767U KR 200321178 Y1 KR200321178 Y1 KR 200321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prefabricated
adhesi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산
Original Assignee
김경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산 filed Critical 김경산
Priority to KR20-2003-0013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 재질의 속이 찬 장방형 육면체를 기본적 형상으로 하되, 평탄한 상·하면에 요철식의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조립시 상하로 일정 간격이 마련되는 시각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상면에 단턱(10)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식 블럭(2)이 직립하여 끼움 조립되되, 좌우로 이웃하는 상기 조립식 블럭(2) 사이마다 간격재(12)가 개입되고,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Fabricable block and the wall using thereof}
본 고안은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황토를 주재료 하여 몰드 성형한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화단, 칸막이, 오디오 장식장 또는 벽난로 등과 같은 실내외 인테리어용으로 조적함으로써 설치되는 조립식 벽돌(또는 블럭, 이하 블럭으로 칭함)이 제공되어 왔다. 종래의 조립식 블럭은 합성수지, 시멘트 몰탈 등 몇 가지 재료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때에 따라서는 여러 재료가 조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도 5 내지 도 6은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조립식 블럭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블럭(2')은 일반적으로 핀부재(4') 등 부속부품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같은 경우 낱개의 블럭을 일일이 조립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지나치게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도 5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큰 하중을 지지하기 곤란하여 사용 용도에 제한이 따랐다. 또한 합성수지 기타 가연성 재질에 의한 블럭은 화재시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시멘트 몰탈 등이 사용되는 조립식 블럭은 외부를 마감하기 위하여 미장과 같은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함으로써 설치 작업시 상당한 번거러움을 주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강도의 구조를 가지며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내화성 조립식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더 나아가 위 블럭을 이용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벽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는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조립식 블럭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조립식 블럭 6 ; 결합공
8 ; 결합돌기 10 ; 단턱
12 ; 간격재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황토 또는 화산재와 같은 재질로서 속이 찬 장방형이며 평탄한 상·하면에 요철식의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조립 벽체는 상기 단위 블럭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끼워 결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벽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된 상태의 벽체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조립식 블럭(2, 이하, "블럭"이라 한다)은 장방형 육면체를 기본적 형상으로 하며 상면에는 양측에 결합공(6)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 돌출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으로 처리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블럭(2)은 속이 차있는 형태이며, 특히 2층 이상에 설치되는 블럭(2a)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면밀히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8)가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최하층의 블럭(2b)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을 것이며, 최상층에 설치되는 블럭(도시되지 않음)에는 역시 결합공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결합공(6)이 형성되는 블럭(2)의 상면은 단턱(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재(12)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블럭과 블럭 사이에 일정 틈 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간격재와 함께 실제 벽돌과 유사한 미감을 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블럭(2)은 황토, 화산재 또는 경량화 석재 등이 선택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토가 선택되며 상하 1쌍으로 된 몰드에 의해 성형된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블럭(2)은 그의 상·하면에 형성된 결합공 및 결합돌기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하로 차곡차곡 결합되는데, 고정을 위하여 소정의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로는 핫멜트(hot melt)나 시멘트 몰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럭 자체 구조에 의한 구조적 결합 및 접착제에 의한 표면접착에 의해 강한 구조를 가지는 벽체를 완성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 본 고안의 일특징이 있는데, 이는 결합공(6)에 액상의 접착제를 넣고 결합돌기(8)를 끼워 넣는 것이다. 이에 의해 결합공(6)과 결합돌기(8)가 더욱 면밀히 결합하게 된다.
또한, 벽체(1) 조립시 블럭(2)의 좌우 양측으로 보조 간격재(12)가 설치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로 이웃하는 블럭(2)이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즉, 실제 벽돌을 조적하여 형성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 형상은 T자와 같은 형상이다. 간격재(12) 역시 블럭과 유사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벽체(1)는 블럭과 블럭이 연속되지 않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내게 되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모서리 부분이 일부 파손되더라도 미관상 큰 해가 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서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럭(2)의 상하방향으로의 결합 방식인 결합공(6)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도 있으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블럭(2)의 상면에 형성된 단턱 및 간격재에 의해 형성되는 홈 사이에는 색상을 달리 하는 보조부재(예를 들면 테이프 등)가 개입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때에 따라서 블럭 하면에 돌출되는 결합돌기(8)는 목재 등 다른 재질의 것이 일정한 깊이로 박혀져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의 파손 우려가 없게 되며 블럭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블럭을 황토로 하는 경우 몰드 전 반죽시에 볏짚 등이 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강한 구조 및 내화성을 가지며 조립 내지 시공이 용이한 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이 제공된다. 또한, 재질을 황토로 하는 경우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가 제공된다.

Claims (3)

  1. 황토 또는 화산재와 같은 재질의 속이 찬 장방형 육면체를 기본적 형상으로 하되, 평탄한 상·하면에 요철식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끼워 맞춤 방식으로 직립하여 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조립시 상하로 일정 간격이 마련되는 시각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상면에 단턱(1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공(6) 및 이 곳에 면밀히 끼워질 수 있는 일체형으로 돌출된 결합돌기(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3. 황토 재질의 속이 찬 장방형 육면체를 기본적 형상으로 하되, 평탄한 상·하면에 결합공(6) 및 결합돌기(8)와 같은 요철식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조립시 상하로 일정 간격이 마련되는 시각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상면에 단턱(10)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식 블럭(2)이 직립하여 끼움 조립되되, 좌우로 이웃하는 상기 조립식 블럭(2) 사이마다 간격재(12)가 개입되고, 상기 결합공(6) 내부에 접착제가 투입됨으로써 서로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벽체.
KR20-2003-0013767U 2003-05-02 2003-05-02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200321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767U KR200321178Y1 (ko) 2003-05-02 2003-05-02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767U KR200321178Y1 (ko) 2003-05-02 2003-05-02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78Y1 true KR200321178Y1 (ko) 2003-07-25

Family

ID=4941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767U KR200321178Y1 (ko) 2003-05-02 2003-05-02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67B1 (ko) * 2006-12-20 2008-04-07 이재수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67B1 (ko) * 2006-12-20 2008-04-07 이재수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0761787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US20050005556A1 (en) Composite building block having moisture barrier and insulation element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ES2532109T3 (es) Bloque de construcción encastrable, formado por un conjunto de porciones de material sólido de tramos unidas y recubiertas por material plástico sobremoldeado
US20090126301A1 (en) Stone fabrication system with hidden mortar joint
JPH0129944B2 (ko)
US5078354A (en) Sectional decoration block
US4852321A (en) Translucent end block
KR200321178Y1 (ko) 조립식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101518020B1 (ko) 건축용 부재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100758539B1 (ko) 건축용 황토판넬
RS20070514A (en) Shaped building block
EP2990558B1 (en) Wall build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ing said wall system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06062U (ko) 구운 황토벽돌
KR100804086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KR100770058B1 (ko) 기능성 벽돌
KR200230439Y1 (ko) 조경용 화단 조립체
JP3099001U (ja) 安定積載が可能なレンガ構造
KR200375683Y1 (ko) 타일 베이스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