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045Y1 -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045Y1
KR200321045Y1 KR20-2003-0014146U KR20030014146U KR200321045Y1 KR 200321045 Y1 KR200321045 Y1 KR 200321045Y1 KR 20030014146 U KR20030014146 U KR 20030014146U KR 200321045 Y1 KR200321045 Y1 KR 200321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opper
opening
cas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혁
Original Assignee
김창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혁 filed Critical 김창혁
Priority to KR20-2003-0014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중량체인 뚜껑을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손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개폐되는 임의 위치에서 상기 뚜껑이 정지되어 있게 할 수 있도록 된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나선 형상으로 내장됨과 아울러 외측 끝단은 돌출부에 고정되고 내측 끝단은 케이싱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뚜껑의 개폐시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태엽스프링;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뚜껑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암부; 상기 제1암부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용기본체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2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제2스톱퍼가 상기 케이싱의 돌출부에 지지되게 설치된 제2암부;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단에 형성된 나선부에 제1,제2너트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제2암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너트의 내면과 그 내면에 접하는 제1암의 외면에 서로 대향되게 요철(凹凸)부가 반복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cover for tank}
본 고안은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인 뚜껑을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손으로 살며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과 그 개방되는 임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뚜껑의 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체의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서 많은 힘이 소요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중량체의 뚜껑을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음은 물론, 그 중량체의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 등을 이용하여야 하였다.
특히, 정확한 밀폐를 요구하는 화학탱크와 같은 경우에는 그 뚜껑의 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폐 후의 정확한 밀폐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그 뚜껑의 개폐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며 상기 뚜껑의 밀폐 역시 정확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중량체의 뚜껑을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손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개폐되는 임의 위치에서 상기 뚜껑이 정지되어 있게 할 수 있도록 된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어느 일측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회전축과 제1암부 및 제2암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태엽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6a는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b는 뚜껑이 열려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본체 102 - 뚜껑
110 - 케이싱 120 - 태엽스프링
122 - 회전축 130 - 제1암부
132 - 제1스톱퍼 134 - 쿠션재
140 - 제2암부 142 - 제2스톱퍼
144 - 걸림턱 150 - 클러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나선 형상으로 내장됨과 아울러 외측 끝단은 돌출부에 고정되고 내측 끝단은 케이싱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뚜껑의 개폐시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태엽스프링;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뚜껑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암부; 상기 제1암부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용기본체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2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제2스톱퍼가 상기 케이싱의 돌출부에 지지되게 설치된 제2암부;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단에 형성된 나선부에 제1,제2너트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제2암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너트의 내면과 그 내면에 접하는 제1암의 외면에 서로 대향되게 요철(凹凸)부가 반복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암부의 외주면에는 제1스톱퍼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톱퍼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제1스톱퍼의 양측단부에는 충격 흡수용 쿠션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부를 일체화하는 제1스톱퍼 및 상기 제2암부를일체화하는 제2스톱퍼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그 뚜껑이 소정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에 각각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부와 제2암부는 뚜껑과 용기본체에 각각 용접되어 있는 연결편들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어느 일측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암부 및 제2암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태엽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6a는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b는 뚜껑이 열려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는 용기본체(100)의 뚜껑(102)을 회동시켜 개폐되게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케이싱(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싱(11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돌출부(112)를 갖는다.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나선 형상으로 된 태엽스프링(120)이 설치되는데, 이 태엽스프링(120)은 상기 뚜껑(102)의 개폐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태엽스프링(120)은 상기 케이싱(110)의 돌출부에 외측 끝단부분이 고정되고 내측 끝단부분은 케이싱(1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22)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122)에는 상기 태엽스프링(120)이 고정될 수 있는 홈(12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122)의 양측단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부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1,제2암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제2볼트가 체결된다.
상기 케이싱(110)의 양측부에는 커버(114,116)가 설치되는데, 그 커버(114,116)의 중심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122)의 양측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114,116)가 설치된 케이싱(110)의 양측부로는 제1암부(130)가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122)에 결합됨과 아울러 뚜껑(102)의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암부(130)는 제1스톱퍼(132)에 의해 일체화되게 결합되어 케이싱(110)의 양측에 설치된 제1암부(130)를 동시에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톱퍼(132)의 결합은 제1암부(130)에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유격을 갖는데, 이는 뚜껑(102)의 개폐시 약간의 유동을 갖게 함으로서, 상기 뚜껑(102)의 정확한 밀착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암부(130)는 뒤에서 설명하는 클러치(150)에 의해 회전축(122)과 함께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태엽스프링(120)이 장력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1암부(130)의 외측부로는 제2암부(140)가 위치되어 상기회전축(122)에 결합됨과 아울러 용기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암부(140)는 제2스톱퍼(142)에 의해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스톱퍼(142)는 뚜껑(102)의 개폐시 상기 케이싱(110)에 구비된 돌출부(112)의 외측에 지지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톱퍼(142)의 결합은 제1스톱퍼(132)와 마찬가지로 제2암부(140)에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유격을 갖는데, 이는 뚜껑(102)의 개폐시 약간의 유동을 갖게 함으로서, 상기 뚜껑(102)의 정확한 밀착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암부(130)와 제2암부(140)가 각각 소정의 유동을 갖음으로서 상기 뚜껑(102)을 용기본체(100)에 밀착 고정시킬 때 약간씩 각각 움직일 수 있음으로서 비틀림이 생기지 않고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암부(140)의 외주면에는 제1암부(13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걸림턱(144)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44)에 제1스톱퍼(132)가 걸려 제1암부(130)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는데, 상기 걸림턱(144)에 걸려지는 제1스톱퍼(132)의 양측단부에는 우레탄의 소재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용 쿠션재(134)가 설치되어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암부(140)의 외측으로는 회전축(122)의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부에 제1너트(152)와 제2너트(154)가 각각 결합되어 제1암부(130)와 제2암부(14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제2너트(154)는 고정핀(156)에 의해 회전축(122)에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너트(154)의 내측면에는 그 내측면과 접하는 제1암부(130)의 외측면을 돌출시켜 서로 대향되는 요철(凹凸)부가 반복 형성된 클러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102)의 개폐에 따른 제2암부(140)의 상기 클러치(150)를 통해 제2너트(154)로 그 회동력이 전달되고 이는 고정핀(156)을 통해 상기 회전축(122)에 전달되어 회전축(122)이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상기 제1,제2암부(140)를 뚜껑(102)과 용기본체(100)에 각각 결합하기 위해 연결편(160A,160B)들을 이용함이 좋은데, 상기 연결편(160A,160B)들과 이 연결편(160A,160B)들에 대응하는 제1,제2암부(140)에는 각각 구멍(162) 혹은 나사공(164)을 형성하여 볼트(166)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쉽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60A,160B)들은 용기본체(100)와 뚜껑(102)에 미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뚜껑 개폐장치는, 상기 케이싱(110)의 돌출부(112)를 용기본체(100)의 일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1암부(130)는 뚜껑(102)의 일측단에 결합하며, 상기 제2암부(140)는 용기본체(100)의 일측단에 결합하여 제1암부(130)와 제2암부(140)의 중심부에 결합된 회전축(122)을 지점으로 하여 뚜껑(102)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은 뚜껑(102)을 완전히 열어 놓은 상태에서 조절하게 되는데, 태엽스프링(120)의 장력 조정은 뚜껑(102)이 열린 상태에서 제1너트(152)를 약간 풀게 되면 그 풀린 만큼 상기 회전축(122)을 제2너트(15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너트(152)가 결합된 쪽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회전축(122)이 제2너트(154)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122)이 이동되면 상기 제2너트(154)와 제1암부(130)가 접하는 면에 구비된 클러치(150)의 요철(凹凸)부가 서로 분리됨으로서 상기 클러치(150)를 돌려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2너트(154)가 고정핀(156)에 의해 회전축(122)을 돌리게됨으로써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2)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즉, 상기 회전축(122)을 제1너트(152)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2너트(154)와 제1암부(130)가 접하는 면에 구비된 클러치(150)의 요철(凹凸)부가 서로 결합되고, 이 상태로 제1너트(152)를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은 조절된다.
이와 같이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이 조절된 본 고안은, 상기 뚜껑(102)이 열려질 때에는 상기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에 의해 서서히 열려지게 되고, 또 상기 뚜껑(102)이 닫혀질 때에는 뚜껑(102)이 갖는 무게에 의해 태엽스프링(120)의 장력을 이기면서 서서히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태엽스프링(120)의 장력과 뚜껑(102)이 갖는 무게에 의해 뚜껑(102)은 손으로 살며시 들어 올리고 살며시 눌러 줌으로써 개폐가 편리하게 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뚜껑(102)이 완전히 열려지는 부분 근처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뚜껑(102)의 중량이 상쇄되어 급속하게 넘어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스톱퍼(132)에 설치된 우레탄 소재의 충격 흡수용 쿠션재(134)에 의해 충격을 흡수 완충하도록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스톱퍼(132)와 제2스톱퍼(142)가 상기 제1암부(130)와 제2암부(140)에 고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102)을 용기본체(100)에 밀착 고정하도록 닫을 때 약간씩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됨으로써, 비틀림이 생기지 않고 밀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중량체의 뚜껑을 인력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뚜껑이 개폐되는 임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나선 형상으로 내장됨과 아울러 외측 끝단은 돌출부에 고정되고 내측 끝단은 케이싱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뚜껑의 개폐시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태엽스프링;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뚜껑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암부;
    상기 제1암부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용기본체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2스톱퍼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시 제2스톱퍼가 상기 케이싱의 돌출부에 지지되게 설치된 제2암부;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단에 형성된 나선부에 제1,제2너트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제2암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너트의 내면과 그 내면에 접하는 제1암의 외면에 서로 대향되게 요철(凹凸)부가 반복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는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의 외주면에는 제1스톱퍼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톱퍼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제1스톱퍼의 양측단부에는 충격 흡수용 쿠션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를 일체화하는 제1스톱퍼 및 상기 제2암부를일체화하는 제2스톱퍼는 상기 뚜껑의 개폐시 그 뚜껑이 소정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에 각각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와 제2암부는 뚜껑과 용기본체에 각각 용접되어 있는 연결편들에 볼트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KR20-2003-0014146U 2003-05-07 2003-05-07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KR200321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46U KR200321045Y1 (ko) 2003-05-07 2003-05-07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46U KR200321045Y1 (ko) 2003-05-07 2003-05-07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012A Division KR20040096160A (ko) 2003-05-07 2003-05-07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045Y1 true KR200321045Y1 (ko) 2003-07-25

Family

ID=4941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146U KR200321045Y1 (ko) 2003-05-07 2003-05-07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0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65B1 (ko) 2004-08-12 2006-07-05 한국산업안전공단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하중 경감장치
KR101684826B1 (ko) * 2016-03-11 2016-12-09 박기범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용 댐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65B1 (ko) 2004-08-12 2006-07-05 한국산업안전공단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하중 경감장치
KR101684826B1 (ko) * 2016-03-11 2016-12-09 박기범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용 댐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616B2 (en) Automatic original cover operator of a copying machine
US5724683A (en) Hinge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seat or the seat lid of a toilet bowl
US6393624B1 (en) Damping device for a toilet seat and lid unit in western-style toilet
JP5735703B2 (ja) 折りたたみ式ナイフ
US10920474B2 (en) Hinge device
PL369360A1 (en) Container with elastomer spring operated cover
JP4657812B2 (ja) ヒンジ装置
KR200321045Y1 (ko)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KR20040096160A (ko) 탱크용 뚜껑의 개폐장치
US5417340A (en) Spring-biased floating hinge structure
WO2004059182A1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JP4301836B2 (ja) バタフライ形逆止弁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H038779Y2 (ko)
JP2007085469A (ja) ヒンジ機構
JPH0719277A (ja) 有限角回転ダンピング装置
KR101563849B1 (ko) 배기덕트용 댐퍼
KR200337136Y1 (ko) 경첩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JP3643021B2 (ja) 炊飯器
BE524697A (ko)
KR100758555B1 (ko) 힌지용 댐퍼
AU673864B2 (en) A hinge
JP4162795B2 (ja) ガスメータにおける緊急遮断弁の復帰操作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