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917Y1 -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917Y1
KR200320917Y1 KR20-2003-0007240U KR20030007240U KR200320917Y1 KR 200320917 Y1 KR200320917 Y1 KR 200320917Y1 KR 20030007240 U KR20030007240 U KR 20030007240U KR 200320917 Y1 KR200320917 Y1 KR 20032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te
discharge
air
fa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오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신용오
김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오, 김명신 filed Critical 신용오
Priority to KR20-2003-0007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12Wind-actuate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195Spint flute, i.e. mimicking or emulating a transverse flute or air jet sensor arrangement therefor, e.g. sensing angle, lip position, etc, to trigger octave 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이프로 제작된 팬플루트를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연주할 수 있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직경을 가진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팬플루트; 상기 팬플루트의 파이프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미리 설정된 풍량 및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 미리 입력된 악보에 따라 음 높이 및 음 길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토출부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공기를 토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주 가능한 악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Auto Playing System for Pan flute}
본 고안은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관으로 제작된 팬플루트를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연주할 수 있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플루트(Pan flute)는 팬파이프(panpipe)라는 관악기의 일종으로 길이 및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파이프(목재)로 이루어진 악기이다.
각 파이프들은 일정한 길이 및 직경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파이프 내의 공기가 공명되어 발생되는 소리는 일정한 음을 유지한다.
팬플루트의 소리는 파이프 내경의 크기와 마우스의 각도에 따라 소리의 차이가 있으며, 파이프 내경이 크면 소리가 크고 반음 처리가 용이하나 음정 편차가 심하고 입바람의 양을 많이 필요로 하며, 반대로 파이프 내경이 작으면 음정 편차가 심하지 않고 안정된 소리가 나지만 소리가 크지 않고 반음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다.
한편,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회에 청중으로 참가하여 듣거나, 연주가 녹음된 음반을 재생 장치를 통하여 재생하여 듣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이 특정 악기를 직접 연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실제 연주에 의한 음악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연주자를 통한 공연 외의 방법이 있을 수 없다.
또한, 음반을 통한 재생 음악은 재생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실제 음향에 거의 육박하는 수준에 이르렀지만, 음반 재생에 의한 음악 청취보다 실제 연주에 의한 음악 청취를 실제로 선호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각 길이 및 직경이 다른 다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팬플루트를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주어진 악보에 따라 자동으로 연주 가능한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팬플루트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팬플루트의 제 2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토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토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토출부의 반음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토출부의 진동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제어부 20 : 압축 공기 공급부
40 : 토출부 60 : 가이드 레일
70 : 팬플루트 72 : 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직경을 가진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팬플루트; 상기 팬플루트의 파이프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미리 설정된 풍량 및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 미리 입력된 악보에 따라 음 높이 및 음 길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토출부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공기를 토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주 가능한 악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팬플루트는 상기 다수의 파이프가 선상에 일렬로 배치되거나, 환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부는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를 상기 다수의 파이프에 대하여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해 주는 가이드 레일;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시켜 주는 이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는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초기 설정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노즐의 토출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각도 가변부;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가변시켜 주는 진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수단은 용적형 공기 펌프, 원심력형 공기 펌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압축 공기 발생 수단과; 상기 압축 공기 발생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풍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원심력형 공기 펌프는 총배출량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분지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분지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팬플루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 옆에 설치되어 각각의 파이프가 연주될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각각 점등되는 연주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주 표시부는 연주되는 음의 강약 및 길이에 대응하는 강도 및 시간으로 발광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팬플루트의 각 파이프에 대응하는 건반을 가지고 각각의 건반 신호를 출력하는 건반 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건반에 의한 상기 각 파이프들의 연주가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과 관련하여 팬플루트의 기본적인 연주 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팬플루트 역시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음을 정상적으로 연주하는 정상 연주법과, 해당 음을 반음으로 연주하는 반음 연주법, 해당 음을 바이브레이션 처리하여 연주하는 진동(바이브레이션) 연주법 등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은 팬플루트(70), 상기 팬플루트(70)에 압축 공기를 토출하여 연주하는 연주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정상 연주법, 반음 연주법, 진동 연주법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팬플루트(7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선 내지 약간 휘어진 선상에 일렬로 다수의 파이프(72)가 배치되는 직선 구조와, 도 3과 같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직선형 구조의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은
팬플루트(70)의 각 파이프(72)에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40), 상기 토출부(40)의 이동과 토출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노즐 구동부(22), 상기 토출부(4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30),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34), 상기 밸브(34)를 통과한 압축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6), 상기 밸브(34)를 구동시켜 주는 밸브 구동부(20), 연주할 노래의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6), 상기 각 파이프(72)의 일 측에 각각 설치되어 파이프의 연주 시점에 동기되어 점등되는 다수의 LED로 구성된 연주 표시부(80), 상기 연주 표시부(80)를 구동시켜 주는 연주 표시 구동부(24), 악보데이터 입력 및 연주할 노래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2), 동작 과정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14), 상기 입력부(12)로부터 악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16)에 저장하고, 선택된 노래의 악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6)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밸브 구동부(20) 및 노즐 구동부(22)를 제어하여 상기 팬플루트(70)를 연주하는 제어부(1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30)는 용적형 공기 펌프인 피스톤 방식의 컴퓨레서를 이용할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주 가능한 압력과 풍량이 생성 가능한 원심력형의 고압 블로워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고압 블로워를 이용하여 적정 압력을 가지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도 8에 예시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블로워(30a)는 1단 블로워 또는 다단 블로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30a)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총 배출량(A) 중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량(C)은 분지관(30b)으로 배출되며 나머지(B)는 배출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지관(30b)으로 배출되는 일정 압력을 가지는 공기는 밸브(34)를 통하여 노즐(44)에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로워 타입을 이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수단은 크게 용적형과 원심력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적형의 대표적인 타입은 피스톤식 컴프레서이며, 원심력형의 대표적인 타입은 블로워이다.
그런데, 용적형의 컴프레서는 작동 주기에 따른 맥동이 발생하여 본 고안과 같이 일정 압력을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본 고안과 같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블로워 타입의 압축 공기 공급 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현재 연주되는 음의 음량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개폐량으로 상기 밸브 구동부(20)에 의하여 개폐 제어되는 밸브(34)를 통하여 상기 토출부(40)의 노즐(44)에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밸브(34)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력계(36)에 의하여 측정되어 상기 밸브(34)의 개폐량을 상기 제어부(10)가 피드백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60)에서 이동하는 토출부(40)는 상기 노즐 구동부(22)에 의하여 이동하는데, 연주되는 음의 음 높이에 따라 파이프(72)의 위치가 미리 설정되고, 제어부(10)는 음의 높이에 따라 상기 노즐 구동부(22)를 제어하여 토출부(40)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파이프(72)의 뒤편에 설치된 연주 표시부(80)의 각 라이트(light)를 상기 연주 표시 구동부(24)를 통하여 연주되는 파이프의 음 길이에 비례하도록 광량을 제어하여 점등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대략적으로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은 팬플루트의 구조 즉, 직선형 구조 또는 환형 구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이동부의 구조가 약간 다르게 이루어진다.
직선형 구조의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파이프(72)가 일렬로 배치된 팬플루트(70)의 전면에 파이프(72)들과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6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60)에는 토출부(40)가 장착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6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출부(40)는 이동부 벨트(66)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 벨트(66)는 이동부 모터(65)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0)에는 호스(32)를 통하여 압축 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토출부(6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음의 파이프 앞에 상기 토출부(60)를 위치시켜 놓고 상기 토출부(60)에 장착된 초기 스위치(도면에 미 도시함)를 누르면, 제어부(10)는 기준 위치의 파이프 앞에 상기 토출부(4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후의 파이프 위치를 상기 이동부 모터(65)의 회전수 및 회전 각도를 통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 모터(65)는 회전수 및 회전 각도의 제어가 가능한 스텝 모터 등으로 구현되어야 하며, 상기 이동부 벨트(66)는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구조의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파이프(72a)들이 환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도 3에는 3벌로 된 파이프로 구성된 3개의 팬플루트를 구현하였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팬플루트는 동시에 최대 3개의 파이프에 대하여 동시 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성 연주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3개의 팬플루트로 구성된 것을 한 개의 팬플루트만 인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팬플루트(70a)를 구성하는 각 파이프(72)의 내측면에 환형의 가이드 레일(60a)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60a)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토출부(40a)는 상기 가이드 레일(60a)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가 장착되는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이동 모터(65a), 상기 이동 모터(65a)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60a)에 맞물려 회전하는 이동 기어(66a)로 구성된다.
그리고, 3개의 팬플루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팬플루트로 상기 토출부(40a)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68)가 3개 설치된다. 제어부(10)는 상기 토출부(40a)를 일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켜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68)가 온되면 토출부(40a)가 초기 위치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위치를 초기 위치로 판단하고, 연주되는 음에 따른 위치 이동은 상기 이동 모터(65)의 회전수와 회전각을 통하여 제어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토출부(4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토출부(40)는 직선형 구조의 팬플루트의 경우에 가이드 레일(60)에 장착되고, 환형 구조의 팬플루트의 경우에 이동 모터(65a) 및 이동 기어(66a)에 장착되는 베이스(41), 베이스(41)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는모터축(46a), 상기 모터축(46a)을 회전시켜 주는 모터(46), 상기 모터축(46a)에 장착되는 반음캠(47) 및 진동캠(48), 그 하단의 전단부가 상기 베이스(41)의 전단에 힌지축(45)으로 힌지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41b), 상기 하부 케이싱(41b)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반음캠(47) 및 진동캠(48)에 맞닿는 롤러(49), 상기 하부 케이싱(41b)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싱(41a), 그 일단이 상기 상부 케이싱(41a)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그 중간은 직각으로 휘어져 그 타단이 상기 하부 케이싱(41b)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며, 그 타단에 상기 호스(32)가 연결되는 노즐(44), 상기 노즐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케이싱(41b)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는 3개의 스프링(도면에 미 도시함), 상기 상부 케이싱(41a)의 상부면의 중간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노즐(44)의 중간 부위를 눌러 주어 노즐(44)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 조절부(42), 상기 상부 케이싱(41a)의 상부면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노즐(44)의 토출 각도를 조절해 주는 각도 조절부(4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토출부(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연주곡의 악보에 따라 본 시스템은 정상음, 반음, 진동음 즉 바이브레이션 모드를 연주할 수 있다.
연주를 하기 전에 상기 토출부(40)의 높이 조절부(42) 및 각도 조절부(43)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44)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정상 상태 즉, 상기 하부 케이싱(41b)이 상기 베이스(41)에 밀착된 상태에서 최적의 소리가 나도록 한다.
정상음 연주의 경우에 제어부는 음 높이 음 길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파이프로 상기 토출부(40)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밸브(34)를 제어하여 압축 공기를공급한다.
이와 같이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해당 파이프에서는 공기의 진동이 발생하여 해당음이 발생된다.
반음의 연주와 바이브레이션 모드 연주를 위해서는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40)의 베이스(41)에 장착된 모터(46)의 회전축에 모터축(46a)이 연결된다.
상기 모터축(46a)에는 반음 연주에 사용되는 반음캠(47)과 바이브레이션모드 연주에 사용되는 진동캠(48)이 장착되는데, 상기 반음캠(47)과 진동캠(48)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음캠(47) 및 진동캠(48)에 맞닿아 상기 노즐(44)의 토출 각도를 변경시켜 주는 롤러(49)가 상기 하부 케이싱(41b)에 장착된다.
반음 연주 및 바이브레이션 모드 연주를 위한 반음캠(47) 및 진동캠(48)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반음캠(47)은 타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축(46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그 일 측으로 상기 반음캠(47)의 일 방향성을 유도하는 반음캠 래치(47a)가 장착되고, 상기 반음캠 래치(47a)에 접하는 모터축(46a)의 어느 한 외주면상에 상기 반음캠 래치(47a)와 작용하여 상기 반음캠(47)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해 주는 반음캠 스토퍼(47b)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캠(48)은 3개의 돌출부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모터축(46a)의 상기 반음캠(47)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일 측에는 상기 진동캠(48)의 일 방향성(상기 반음캠과는 반대 방향의)을 유도하는 진동캠 래치(48a)가 장착되고, 상기 반음캠 래치(48a)에 접하는 모터축(46a)의 어느 한 외주면상에 진동캠 스토퍼(48b)가 장착되어, 상기 진통캠 스토퍼(48b)는 상기 진동캠(48)이 상기 반음캠(47)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음 및 바이브레이션 모드 연주를 위한 구성을 이용한 반음의 연주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어부(10)는 현재 입력된 음의 음 높이가 해당 파이프의 반음인 경우에는 노즐(44)의 공기 토출 각도를 상기 정상 상태에 대비하여 45도 전후의 각도로 아래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46)를 미리 정해진 방향(예를 들어, 정회전)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반음캠(47)의 장축 부분이 상기 롤러(49)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반음캠(47)이 회전하여 그 장축 부분이 롤러(49)에 접촉되면, 이에 대응하는 롤러(49)에 의하여 상기 하부케이싱(41b)이 힌지축(45)을 중심으로 반음캠(47)의 장축 길이만큼 위로 상승함으로써 노즐(44)의 토출각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모터(46)가 정회전하면 반음캠 래치(47a)가 반음캠 스토퍼(47b)에 걸려서 모터축(46a)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반음캠(47)이 회전하며, 진동캠 래치(48a)는 반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진동캠 스토퍼(48b)에 걸리지 않아 진동캠(48)은 모터축(46a)을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반음 연주가 해당 음의 음 길이 동안 지속되다가 다시 제어부(10)에 의하여 상기 반음캠(47)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정상음 연주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진동음 즉, 바이브레이션 연주를 위해서는 노즐(44)의 토출 각도를 정상음 연주 각도와 반음 연주 각도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로 반복함으로써 음 높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제어부(10)는 상기 모터(46)를 상기 반음의 경우와 반대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반음캠 래치(47a)에 대하여 반대로 작용하는 진동캠 래치(48a)에 의하여 진동캠(48)이 회전하면서 모터축(46a) 회전수의 3배 회전수로 상기 노즐(44)의 토출 각도가 변화하는 것이다.
이 때, 연주되는 곡의 악보 상태에 따라 상기 노즐(44)의 토출 각도 변화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변경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모터(46)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에 연결된 메모리(16)에 미리 저장된 악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연주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팬플루트(70)의 각 파이프(72)에 대응하는 건반을 가지고 각각의 건반 신호를 출력하는 건반 모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추가 연결하고, 연주자가 상기 건반 모듈의 건반을 피아노와 같이 연주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건반의 건반 신호가 상기 제어부(10)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0)가 각 건반별로 미리 설정된 파이프를 토출부(40)를 이용하여 연주함으로써 실연 악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팬플루트를 입력된 악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연주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건반을 통하여 팬플루트를 연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직경을 가진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팬플루트;
    상기 팬플루트의 파이프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미리 설정된 풍량 및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
    미리 입력된 악보에 따라 음 높이 및 음 길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토출부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공기를 토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주 가능한 악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플루트는 상기 다수의 파이프가 선상에 일렬로 배치된 직선형 구조의 팬플루트와 환형으로 배치된 환형 구조의 팬플루트 중 선택된 어느 한 구조의 팬플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를 상기 다수의 파이프에 대하여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해 주는 가이드 레일;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시켜 주는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초기 설정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노즐의 토출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각도 가변부; 상기 노즐의 토출 각도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가변시켜 주는 진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수단은 용적형 공기 펌프, 원심력형 공기 펌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압축 공기 발생 수단과; 상기 압축 공기 발생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풍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형 공기 펌프는 총배출량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분지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분지관을 통하여 상기 밸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플루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 옆에 설치되어각각의 파이프가 연주될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각각 점등되는 다수의 램프로 이루어진 연주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표시부는 연주되는 음의 강약 및 길이에 대응하는 강도 및 시간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플루트의 각 파이프에 대응하는 건반을 가지고 각각의 건반 신호를 출력하는 건반 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건반에 의한 상기 각 파이프들의 연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KR20-2003-0007240U 2003-03-11 2003-03-11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KR200320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40U KR200320917Y1 (ko) 2003-03-11 2003-03-11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40U KR200320917Y1 (ko) 2003-03-11 2003-03-11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200A Division KR100488484B1 (ko) 2003-03-11 2003-03-11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917Y1 true KR200320917Y1 (ko) 2003-07-22

Family

ID=4933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240U KR200320917Y1 (ko) 2003-03-11 2003-03-11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9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58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usical game
US626855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usical game
Dannenberg et al. McBlare: a robotic bagpipe player
KR100509537B1 (ko) 타악기를 모방한 게임 컨트롤러 및 음악 게임 장치
US7227075B2 (en) Lighting controller
US10224015B2 (en) Stringless bowed musical instrument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KR100460651B1 (ko) 음악 게임 장치 및 음악 게임 진행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7297862B2 (en) Musical ton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4177828A (ja) 管楽器自動演奏装置
US80765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ibrato effects in keyboard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KR200320917Y1 (ko)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KR100488484B1 (ko) 팬플루트 연주 시스템
US8217251B2 (en) Interactive display
JP3149355B2 (ja) リコーダーの自動演奏装置用空気供給装置
JPH06242776A (ja) 笛部材
JPH0314717Y2 (ko)
JP2006003581A (ja) 管楽器の演奏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1175252A (ja) 発音装置
JP2913915B2 (ja) ハンドベル自動演奏装置
JP2003091284A (ja) 演奏制御装置
Collecchia et al. The Siren Organ.
JP2004130117A (ja) 遊技機
Casadonte An introduction to the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of woodwind reed material.
JPH11219171A (ja) 発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