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821Y1 - 케이블 릴 - Google Patents

케이블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821Y1
KR200320821Y1 KR20-2003-0011705U KR20030011705U KR200320821Y1 KR 200320821 Y1 KR200320821 Y1 KR 200320821Y1 KR 20030011705 U KR20030011705 U KR 20030011705U KR 200320821 Y1 KR200320821 Y1 KR 200320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pool
lighting means
suppor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수
방일환
방동환
Original Assignee
방동환
방일환
장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동환, 방일환, 장화수 filed Critical 방동환
Priority to KR20-2003-001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수단을 구비하되 드럼과 커버측 플랜지부가 전등갓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조명수단이 안전하게 거치됨으로 파손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고 조명효율을 높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한편, 로터리단자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되어 전기 기기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현장 여건에 따른 높낮이 조절 및 조사광의 조사각 조정이 용이토록 하는 케이블 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블(60)이 권취되기 위하여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포함하여 되는 스플(10)과, 상기 스플(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플러그(61)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60)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스플(10) 사이의 전원접속을 위한 로터리단자(70)와, 상기 케이블(60)의 일단과 접속되는 전원부재와,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이동식 케이블 릴에 있어서, 상기 스플(10)은 드럼(11)의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소켓(31)과 상기 소켓(31)에 장착되는 조명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수단(30)의 조명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마구리부(15a)가 구비된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양측 수직부(22)와 손잡이부(23)가 일체로 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스플(10)이 지지되기 위한 지지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는 콘센트(41)와 과전류차단기(43)와 스위치(45)가 설치되는 전원부재박스(40)가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릴{A CABLE REELS}
본 고안은 이동식 케이블 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수단을 구비하되 드럼과 커버측 플랜지부가 전등갓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조명수단이 안전하게 거치됨으로 파손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고 조명효율을 높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한편, 로터리단자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되어 전기 기기의 운용이 안정적으로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른 높낮이 조정 및 조명광의 조사각 조정이 용이토록 하는 케이블 릴에 관한 것이다.
전원 케이블을 스플에 권취하여 전원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전원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케이블 릴은 이동이 간편하고 전원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는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이동식 케이블 릴(100)은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스플(110)과, 이 스플(11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손잡이(123)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0)과, 플러그(161)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160)과, 전기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전원소켓(141)을 비롯한 전원 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플(110)은 드럼의 양측에 플랜지부재(113)(115)를 구비하고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대에 구비된 축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며 커버측 플랜지부재(115)에는 스플(110)의 권취를 위한 회전손잡이(118)가 취부되고, 상기 전원소켓(141), 과전류차단기(143) 및 접지단자 등의 전원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케이블 릴(100)은 이동이 용이하고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되어 케이블의 풀림 및 권취회전이 자유롭고 과전류에 대한 안전제어가 이루어져 전원과 원거리 위치에서도 전기 기기의 전원 접속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이동식 케이블 릴은 그 특성상 주위에 조명수단이 없는 현장, 예컨대지하 구조물에서의 작업, 야외에서의 야간작업 등을 수행할 경우에는 한 손에는 공구를 들고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는 조명을 위하여 랜턴을 휴대하여야 됨으로써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일측 플랜지부재 외부에 전구를 설치하여 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구가 외부에 돌출 설치됨으로써 파손 위험이 크며 취급이 불편하고 빗물 등에 무방비상태로 되어있어 방전 사고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이 집중적으로 조사되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확산됨으로 조명효율이 떨어져 작업에 지장을 주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른 한편, 작업현장 바닥에 물이 고여 있어 스플 및 전원부재의 높낮이를 높여야 될 경우에도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고임부재가 수배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수단이 요구되는 현장 작업이 많은 케이블 릴에 조명수단을 구비하되 드럼과 커버측 플랜지부재가 전등갓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조명수단이 안전하게 거치되어 파손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고 조명효율을 높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케이블 릴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로터리단자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되어 전기 기기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블 릴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여건에 따른 조명광의 조사각 조정 및 지지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케이블 릴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로터리단자의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8a는 도 7의 일부 발췌 측면도,
도 8b는 a도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케이블 릴 10: 스플
13: 지지측 플랜지 15: 커버측 플랜지부재
15a: 마구리부 15b: 조명수단 통공
20: 지지프레임 21: 본체
22: 수직부 23: 손잡이
25: 지지대 25a: 핀결합부
25b: 돌출부 25c: 레버
25d: 요철부 27: 높낮이 조절구
30; 조명수단 31: 소켓
33: 보호망 40: 전원부재박스
41: 콘센트 43: 과전류차단기
45: 스위치 51: 볼트
53: 스프링 55: 너트
57: 와셔 60: 케이블
70: 로터리단자 71: 로터리단자1
71a: 단자 73: 로터리단자2
73a: 단자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릴은,
케이블이 권취되기 위하여 드럼과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측 플랜지부재를 포함하여 되는 스플과, 상기 스플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스플 사이의 전원접속을 위한 로터리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과 접속되는 전원부재와,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이동식 케이블 릴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드럼의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소켓과 상기 소켓에 장착되는 조명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수단의 조명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마구리부가 구비된 커버측 플랜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수직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플이 지지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콘센트와 과전류차단기와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원부재박스가 취부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케이블 릴(1)은 케이블(60)이 권취되기 위하여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포함하여 되는 스플(10)과, 상기 스플(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플러그(61)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60)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스플(10) 사이의 전원접속을 위한 로터리단자(70)와, 상기 케이블(60)의 일단과 접속되는 전원부재와,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플(10)은 드럼(11)의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소켓(31)과 상기 소켓(31)에 장착되는 조명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수단(30)의 조명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마구리부(15a)가 구비된 커버측 플랜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양측 수직부(22)와 손잡이부(23)가 일체로 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스플(10)이 지지되기 위한 지지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는 콘센트(41)와 과전류차단기(43)와 스위치(45)가 설치되는 전원부재박스(40)가 취부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플(10)은 드럼(10)의 타측에 지지측 플랜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에는 볼트(51)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마구리부(11a)와 상기 지지대(25)에는 각각 대응하는 로터리단자(70)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51)에 드럼(10)과 공회전 방지를 위한 스프링(53)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너트(55)로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51)는 별도로 구비되어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드럼(10)과 커버측 플랜지부재(15)는 방사상으로 각각 보강살에 형성된 너트공(17)과 나사(19)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커버측 플랜지부재(15)는 상기 조명수단(30)의 일부가 노출되어 반사되도록 마구리부(15a)가 드럼(10) 내측으로 요입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 통공(15b)이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나사공(15c)을 이용하여 드럼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명수단(30)의 스위칭부(35)가 장착된다.
상기 스위칭부(35)에는 조명수단(30) 각각의 스위치와 퓨즈가 구비되어 복수의 조명 수단 중 어느 한 쪽의 것이 문제가 있을 경우에도 조명기능이 안전하게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53)의 양측에는 와셔(57)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재박스(4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에 취부되기 위한 가이드부(4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측 플랜지부재(15)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조명수단(30)을 보호하기 위하여 볼록하게 돌출되어 조명수단의 거치공간을 감싸는 보호망(33)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로터리단자(70)의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상기 로터리단자(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지지대(25)에설치되고 스프링(71b)에 탄지되며 선단부가 면으로 형성되는 단자(71a)가 몸체(71c)에 지지된 로터리단자1(71)과, 상기 스플의 지지측 플랜지부재(13)에 설치되고 소정 폭을 갖으며 환형으로 형성된 단자판(73a)이 몸체(73b)의 홈에 설치된 로터리단자2(73)로 구성되어 상호간에 면접속이 이루어져 안정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8a는 도 7의 측면 일부 절개도, 도 8b는 도 8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는 지지프레임의 수직부(22)에 양측이 핀결합(25a)되고 일측 핀결합부에 돌출부(25b)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각도조정을 위한 레버(25c)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5)와 수직부(22)가 접하는 부분에는 헛돌음이 방지되도록 미세 요철부(25d)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25b)와 레버(25c)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그 단면이 상호 대응하는 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25d)에는 고무재 등으로 된 미끄럼방지 패킹이 부여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수직부(22)는 상기 전원부재박스(40) 장착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부에 벽체에 고정된 걸개(H)에 걸어 지지되기 위한걸침부(2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히 지하구조물 등에서 케이블 릴의 거치를 간편하게 하며, 작업위치보다 높은 곳에 거치됨으로 조명광의 효율을 높여 준다.
상기 케이블(60)은 축광물질이 포함된 재질로 피복 코팅되어 야간작업 또는 지하구조물에서의 작업을 돕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수직부(22)에는 각각 높낮이 조절구(27)를 부여하여 작업현장 바닥에 물이 있을 경우 조절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27)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양측에 형성된 턴버클식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미설명 부호 (18)은 스플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 (37)은 패킹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릴(1)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본 고안은 스플(10)이 케이블(60)을 권취하여 이동하는 케이블 릴 고유의 기능을 갖는 동시에 스플(10)의 드럼(11) 내부 공간과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이용하여 조명수단(30)이 장착되어 상기 드럼(11)과 커버측 플랜지부재(15)가 연합하여 조명갓으로 기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조명수단(30)이 파손될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수용되고, 조명이 필요한 작업영역에 집중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효율을 높여주며 방전사고를 방지하여 어두운 지하구조물 등에서의 작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준다.
이와 같이, 드럼(11)의 내부공간과 커버측 플랜지부재(15)에 조명수단(30)이 장착됨으로써 콘센트(41) 등의 전원부재는 전원부재박스(40)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의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지지시켰으며, 이 때 전원부재박스의 가이드부(40a)는 지지대(25)에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터리단자(70)의 접속부가 면접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전기 기기의 구동을 안정화시키고 그 수명을 극대화 시킨다.
한편, 지지프레임 지지대(25)의 각도가 핀결합부(25a)의 회전조작을 이용하여 조정됨으로써 작업위치에 따라 조사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수직부(22)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예컨대 작업장이 물바닥일 경우와 같이 높낮이를 높여주어야 될 경우 그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릴은,
조명수단이 요구되는 어두운 작업현장이 많은 케이블 릴에 조명수단을 구비하되 드럼과 커버측 플랜지부가 전등갓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조명수단이 안전하게 거치되어 파손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고 조명효율을 높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한편, 로터리단자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되어 전기 기기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장여건에 따른 조명광의 조사각 조정 및 지지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9)

  1. 케이블(60)이 권취되기 위하여 드럼(11)과 상기 드럼(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포함하여 되는 스플(10)과, 상기 스플(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플러그(61)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60)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스플(10) 사이의 전원접속을 위한 로터리단자(70)와, 상기 케이블(60)의 일단과 접속되는 전원부재와,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이동식 케이블 릴에 있어서,
    상기 스플(10)은 드럼(11)의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전원단자(32)와 상기 전원단자에 장착되는 소켓(31)과 상기 소켓(31)에 장착되는 조명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수단(30)의 조명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마구리부(15a)가 구비된 커버측 플랜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양측 수직부(22)와 손잡이부(23)가 일체로 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스플(10)이 지지되기 위한 지지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는 콘센트(41)와 과전류차단기(43)와 스위치(45)가 설치되는 전원부재박스(40)가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10)은 드럼의 타측에 지지측 플랜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에는 볼트(51)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마구리부(11a)와 상기 지지대(25)에는 각각 대응하는 로터리단자(70)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51)에 드럼(10)과 공회전 방지를 위한 스프링(53)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너트(55)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플랜지(15)는 상기 조명수단(30)의 일부가 노출되어 반사되도록 마구리부(15a)가 드럼(10) 내측으로 요입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 통공(15b)이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나사공(15c)을 이용하여 드럼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명수단(30)의 스위칭부(35)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재박스(4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에 취부되기 위한 가이드부(40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플랜지부재(15)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조명수단을 위한보호망(3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단자(70)는 지지프레임의 지지대(25)에 설치되고 스프링(71b)에 탄지되며 선단부가 면으로 형성되는 단자(71a)가 몸체(71c)에 지지된 로터리단자1(71)과, 상기 스플의 지지측 플랜지부재(13)에 설치되고 소정 폭을 갖으며 환형으로 형성된 단자판(73a)이 몸체(73b)의 홈에 설치된 로터리단자2(73)로 구성되어 상호간에 면접속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지지대(25)는 지지프레임의 수직부(22)에 양측이 핀결합되고 일측 핀결합부(25a)에 돌출부(25b)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각도조정을 위한 레버(25c)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부에 걸개(H)에 걸어 지지되기 위한 걸침부(2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수직부(22)에는 상기 조명수단(30)의 조사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KR20-2003-0011705U 2003-04-16 2003-04-16 케이블 릴 KR200320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05U KR200320821Y1 (ko) 2003-04-16 2003-04-16 케이블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05U KR200320821Y1 (ko) 2003-04-16 2003-04-16 케이블 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944A Division KR20040090043A (ko) 2003-04-16 2003-04-16 케이블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821Y1 true KR200320821Y1 (ko) 2003-07-22

Family

ID=4941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05U KR200320821Y1 (ko) 2003-04-16 2003-04-16 케이블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8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198A (ko) * 2017-05-04 2018-11-15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양식장용 수중카메라
KR20220040126A (ko) 2020-09-23 2022-03-30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198A (ko) * 2017-05-04 2018-11-15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양식장용 수중카메라
KR101939306B1 (ko) * 2017-05-04 2019-01-17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양식장용 수중카메라
KR20220040126A (ko) 2020-09-23 2022-03-30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5305C (en) Weatherproof cover and disconnect switch
KR100785644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EP2791575A1 (en) Lighting apparatus
KR100977723B1 (ko)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20170088372A (ko) 조명을 가지는 텐트와 텐트 프레임
KR200320821Y1 (ko) 케이블 릴
KR20040090043A (ko) 케이블 릴
KR101228543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KR200245801Y1 (ko)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
KR101986600B1 (ko) 가로등용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2069974B1 (ko) 조명 모듈 교체가 용이한 방폭 형광등 기구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US2744187A (en) Emergency electric lantern
KR100819148B1 (ko) 침수방지용 가로등 누전차단기
KR200324460Y1 (ko) 케이블 릴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0174151B1 (ko)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JP2510293Y2 (ja) 建設工事用照明スタンド
KR200264995Y1 (ko) 안정기 보호 케이스장치
CN117781207B (zh) 一种路杆多功能警示灯及其拆装方法
WO1993013355A1 (en) Post lamp
CN218735876U (zh) 带有照明装置的微耕机扶手面板
KR200428634Y1 (ko) 전선 권취기
KR10241979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