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151B1 -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151B1
KR0174151B1 KR1019960009016A KR19960009016A KR0174151B1 KR 0174151 B1 KR0174151 B1 KR 0174151B1 KR 1019960009016 A KR1019960009016 A KR 1019960009016A KR 19960009016 A KR19960009016 A KR 19960009016A KR 0174151 B1 KR0174151 B1 KR 017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uminaire
wire
lamp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257A (ko
Inventor
연태운
Original Assignee
박인복
한국조명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복, 한국조명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인복
Priority to KR101996000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151B1/ko
Publication of KR97006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가로등 지주(10)의 상부에 장착된 등기구 어셈블리(40)를 와이어로 지주(10) 하부에 설치된 핸들 어셈블리(20)에 연결하여 보도에서 핸들(H)을 돌려 등기구만을 승하강 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중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 없이 작업자 한 사람이 보도에서 등기구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한 가로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발명의 목적은 지주(10)의 하부에 내설되어 핸들(H)에 의해 드럼(210)이 회전하는 핸들 어셈블리와(20); 상기 핸들 어셈블리(20)의 드럼(210)에 권회된 제1와이어(30)와; 상기 제1와이어(30)와 일측이 연결된 제2와이어(31)와: 상기 제2와이어(31)의 타측에 연결된 등기구 어셈블리(4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40)가 탈.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50)와: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어셈블리(50)에 제3와이어(32)로 연결됨으로써 록킹 어셈블리(50)를 해제시키는 레버 어셈블리(60)로 구성된 가로등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Description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제1도는 본발명의 가로등을 보인 결합상태 일부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핸들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발명의 등기구 어셈블리와 록킹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4도a,b,c,d는 본발명의 가로등에서 램프를 교환하기 위해 등기구를 하강 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발명의 핸들 어셈블리에 핸들을 끼워 눌러준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핸들 어셈블리
30,31,32 : 와이어 40 : 등기구 어셈블리
50 : 록킹 어셈블리 60 : 레버 어셈블리
70 : 램프 200 : 회전구
201,232 : 치형 202 : 축공
210 : 드럼 220 : 하우징
230 : 축봉 231 : 돌부
233 : 스톱퍼 240,241,511,521 : 스프링
250 : 커버 251 : 요부
300 : 연결구 301,302 : 로울러
400 : 등기구 하우징 401 :돌부
402 : 경사면 403 : 걸림턱
404 : 체결수단 405 : 등기구 접점판
500 : 케이스 510 : 작동부재
520 : 접점 600 : 회동구
601 : 구멍 610 : 지지부재
본발명은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등 지주의 상부에 장착된 등기구 어셈블리를 와이어로 핸들 어셈블리에 연결하여 보도에서 핸들을 돌려 등기구만을 하강 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중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램프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은 지주의 상부 끝에 등기구를 장착하고 등기구 속에 램프를 끼운후 커버를 씌우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가로등의 지주는 지상으로 부터의 높이가 10m이상이기 때문에 지주 상부에 장착된 등기구 속의 램프를 교환하려고 할 경우에는 증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이용하여야 한다. 즉 도로를 차단하고 굴절 크레인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부까지 작업자가 올라가 램프를 교환하여야만 하기때문에 램프 교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램프 교환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등의 페단이 있었다.
또한 1개의 램프를 교환하기 위하여 중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빌려야 하기 때문에 가로등 유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제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제때에 가로등의 램프를 교환하지 못함으로써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가로등 지주의 상부에 장착된 등기구 어셈블리를 와이어로 지주 하부에 설치된 핸들 어셈블리에 연결하여 보도에서 핸들을 돌려 등기구만을 하강 시킨후 램프를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사람의 작업자가 가로등 램프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한 가로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발명은 중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 없이 작업자가 보도에서 램프를 간편하게 교환하거나 등기구 투광등도 청소할 수 있어 가로등의 관리에 소요되는 제반 경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하부에 내설된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드럼에 권회된 제1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구로 일측이 연결된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된 등기구 어셈블리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가 탈.장착되는 록킹어셈블리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어셈블리에 제3와이어로 연결됨으로써 록킹 어셈블리를 해제시키는 레버 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부에 내설되어 핸들(H)에 의해 드럼(210)이 회전하는 핸들 어셈블리와(20); 상기 핸들 어셈블리(20)의 드럼(210)에 권회된 제1와이어(30)와: 상기 제1와이어(30)와 일측이 연결된 제2와이어(31)와; 상기 제2와이어(31)의 타측에 연결된 등기구 어셈블리(4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40)가 탈.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50)와;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어셈블리(50)에 제3와이어(32)로 연결됨으로써 록킹 어셈블리(50)를 해제 시키는 레버 어셈블리(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축공(20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치형(201)이 형성된 회전구(200)와; 상기 회전구(200)에 고정설치된 드럼(210)과: 상기 회전구(200)가 축착된 하우징(220)과; 한쪽에 돌부(231)가 돌설되고, 다른 한쪽에는 치형(232)을 갖는 스톱퍼(233)가 형성되며, 스프릴(2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축공(202)에 삽입되는 축봉(230)과; 상기 스톱퍼(233)가 삽입되는 요부(251)가 중앙에 형성 되어 하우징(220)에 체결되는 커버(250)와; 상기 스톱퍼(233)와 커버(25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치형(201)(232)을 치합 시키는 스프링(241)로 구성되어있다.
핸들 어셈블리(20)의 드럼(210)에는 제1와이어(30)가 권회 되어있으며, 제1와이어(30)의 끝은 지지로울러(301)가 축착된 연결구(300)에 연결 되어있고, 이 연결구(300)의 지지로울러(301)에는 양쪽 끝이 로울러(302)를 거쳐 등기구 어셈블리(40)에 연결된 제2와이어(31)가 지지된다.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4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02) 및 걸림턱(403)을 갖는 돌부(401)가 상부에 돌설되며, 제2와이어(31)의 양끝이 고정되는 체결수단(404)이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두개의 등기구 접점판(405)이 설치된 등기구하우징(400)과: 상기 등기구접점판(4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램프(70)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지주(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록킹 어셈블리(50)는, 제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2와이어(31)이 안내되는 로울러(302)가 상부에 축착된 케이스(500)와; 상기 케이스(500)에 스프링(51l)으로 탄력설치되는 동시에 제3와이어(32)에 연결되어 등기구 하우징(400)의 돌부(401)가 걸리게 되는 작동부재(510)와; 등기구 하우징(400)의 등기구 접점판(405)과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500)에 스프링(521)으로 탄력설치된 두개의 접점(520)으로 구성되어있다.
등기구 하우징(400)에 한쪽 끝이 연결된 제3와이어(32)의 다른쪽 끝은 로울러(302)를 거쳐 레버 어셈블리(60)로 연결된다.
상기 레버 어셈블리(6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와이어(32)가 연결되고, 한쪽으로 구멍(601)이 형성된 회동구(600)와; 지주(10)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구(600)가 축설된 지지부재(610)로 구성되어있다.
이와같이 된 본발명의 가로등은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어셈블리(40)가 록킹 어셈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램프(70)에 인가됨으로써 사용되어진다.
램프(70)의 수명이 다되어 교환하려고 한 경우에 작업자는 레버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회동구(600)의 구멍(601)에 봉을 끼워 회동구(600)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와이어(32)를 당겨 록킹 어셈블리(50)의 작동부재(510)를 등기구어셈블리(40)의 돌부(401)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4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시킨다.
아래에서 작업자가 지주(10)의 하부에 내설된 핸들 어셈블리(20)의 축공(202)에 핸들(H)을 끼우고 돌부(231)를 눌러주게 되면 축봉(230)이 밀리게 됨으로써 스톱퍼(233)의 치형(232)이 회전구(200)의 끝에 형성된 치평(201)으로 부터 빠지게 되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을 돌리는데 따라 회전구(200)와 함께 드럼(21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핸들(H)을 축공(202)에 끼워 눌러주면서 핸들(H)을 돌려 드럼(2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1와이어(30)가 드럼(210)으로 부터 풀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레버 어셈블리(60)에 의해 록킹 어셈블리(50)로 부터 자유로와진 등기구 어셈블리(40)의 자중이 제1,제2와이어(30)(31)에 작용하여 당겨짐으로써 등기구 어셈블리(40)는 제4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어셈블리(50)로 부터 분리되어 내려오게된다. 록킹 어셈블리(50)로 부터 등기구 어셈블리(40)가 분리되면 회동구(600)에 끼워진 봉을 놓아 스프링(511)에 의해 작동부재(510)가 원위치되게 한다.
이때 제1와이어(30)와 제2와이어(31)를 연결하즌 연결구(300)에 축착된 지지로울러(301)는 제2와이어(31)의 양끝이 일정하게 당겨져 등기구 어셈블리(5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만일 작업자가 등기구 어셈블리(40)를 내리는 도중에 핸들(H)을 놓치게 되면 축봉(230)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게 되고 이에따라 스프링(241)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233)가 밀려짐으로써 치형(201)(232)이 치합되어 드럼(210)이 록킹된다. 즉 핸들(H)을 놓치게 되면 내려오던 등기구 어셈블리(40)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핸들(H)을 돌려 등기구 어셈블리(40)가 어느정도까지 내려오면 제4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와 같은 기구로 제2와이어(31)를 걸어 등기구 어셈블리(40)를 보도쪽으로 끌어당기고 램프(70)를 교환한다.
램프(70)를 교환하고 핸들(H)를 역방향으로 돌려 드럼(210)에 제1와이어 (30)를 감게되면 등기구 어셈블리(40)가 상승하게 되며, 등기구 어셈블리(40)가 록킹 어셈블리(50)까지 을라가게 되면 등기구 하우징(400)에 돌설된 돌부(401)의 경사면(402)이 록킹 어셈블리(50)의 작동부재(510)에 닿게 되고 이에따라 작동부재(510)가 후퇴되었다가 전진하여 돌부(401)의 걸림턱(403)이 작동부재(510)에 걸리게 된다.
이때 등기구 하우징(400)의 등기구접점판(405)는 스프링(521)으로 케이스(500)에 탄력설치된 접점(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등기구접점판(405)와 접점(520)은 등기구 하우징(400)과 케이스(500)로 부터 절연되게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램프(70)가 두개 있는 가로등의 경우에도 본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는 두개의 핸들 어셈블리(20)(20a)에 의해 각 등기구 어셈블리(40)(40a)가 개별적으로 승하강 하게 하면된다. 즉 핸들(H)을 지주(10)의 우측에서 핸들 어셈블리(20)에 끼우고 드럼(210)을 회전 시키면 우측의 등기구 어셈블리(40)가 승하강하게 되고, 핸들(H)을 지주(10)의 좌측에서 핸들 어셈블리(20a)에 끼우고 드럼(210a)를 회전시키면 좌측의 등기구 어셈블리(40a)가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본발명에 있어서 핸들(H) 대신 직류모터나 핸드 드릴축을 이용하여 드럼(210)을 회전 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발명은 가로등 지주(10)의 상부에 장착된 등기구 어셈블리 (40)를 와이어로 지주(10) 하부에 설치된 핸들 어셈블리(20)에 연결하여 보도에서 핸들(H)을 돌려 등기구만을 승하강 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중장비인 굴절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한사람의 작업자가 보도에서 램프를 간편하게 교환하거나 청소할 수 있게 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지주(10)의 하부에 내설되어 핸들(H)에 의해 드럼(210)이 회전하는 핸들 어셈블리와(20); 상기 핸들 어셈블리(20)의 드럼(210)에 권회된 제1와이어(30)와; 상기 제1와이어(30)와 일측이 연결된 제2와이어(31)와; 상기 제2와이어(31)의 타측에 연결된 등기구 어셈블리(4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40)가 탈.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50)와;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어셈블리(50)에 제3와이어(32)로 연결됨으로써 록킹 어셈블리(50)를 해제시키는 레버 어셈블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20)는, 중앙에 축공(202)이 관통 되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치형(201)이 형성된 회전구(200)와; 상기 회전구(200)에 고정설치된 드럼(210)과; 상기 회전구(200)가 축착된 하우징(220)과; 한쪽에 돌부(231)가 돌설되고, 다른 한쪽에는 치형(232)을 갖는 스톱퍼(233)가 형성되며, 스프링(2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축공(202)에 삽입되는 축봉(230)과: 상기 스톱퍼(233)가 삽입되는 요부(251)가 중앙에 형성되어 하우징(220)에 체결되는 커버(250)와; 상기 스톱퍼(233)와 커버(250)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치형(201)(232)을 치합 시키는 스프링(241)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어셈블리(40)는, 경사면(402) 및 걸림턱(403)을 갖는 돌부(401)가 상부에 돌설되며, 제2와이어(31)의 양끝이 고정되는 체결수단(404)이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두개의 등기구 접점판(405)이 설치된 등기구 하우징(400)과: 상기 등기구 접점판(4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등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 어셈블리(50)는, 제2와이어(31)가 안내되는 로울러(302)가 상부에 축착된 케이스(500)와: 상기 케이스(500)에 스프링(511)으로 탄력설치되는 동시에 제3와이어(32)에 연결되어 등기구 하우징(400)의 돌부(401)가 걸리게 되는 작동부재(510)와: 등기구 하우징(400)의 등기구 접점판(405)과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500)에 스프링(521)으로 탄력설치된 두개의 접점(520)으로 구성되며, 등기구 하우징(400)에 한쪽 끝이 연결된 제3와이어(32)의 다른쪽 끝에 로울러(302)를 거쳐 레버 어셈블리(60)로 연결되고, 상기 레버 어셈블리(60)는, 제3와이어(32)가 연결되고, 한쪽으로 구멍(601)이 형성된 회동구(500)와; 지주(10)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동구(600)가 축설된 지지부재(6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KR1019960009016A 1996-03-29 1996-03-29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KR017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016A KR0174151B1 (ko) 1996-03-29 1996-03-29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016A KR0174151B1 (ko) 1996-03-29 1996-03-29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257A KR970066257A (ko) 1997-10-13
KR0174151B1 true KR0174151B1 (ko) 1999-05-01

Family

ID=1945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016A KR0174151B1 (ko) 1996-03-29 1996-03-29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650B1 (ko) * 2008-06-19 2010-08-30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안전 공원등
KR101324829B1 (ko) * 2009-03-20 2013-11-01 이윤희 가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266B1 (ko) * 2000-04-28 2002-09-12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1324831B1 (ko) * 2009-03-20 2013-11-01 이윤희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650B1 (ko) * 2008-06-19 2010-08-30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안전 공원등
KR101324829B1 (ko) * 2009-03-20 2013-11-01 이윤희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257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505A (en) Selectively rotatable drop light
KR0174151B1 (ko)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KR102246311B1 (ko) 전주에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467267B1 (ko) Smps모듈의 간편 교체가 가능한 조명용 컨버터 유닛
KR100908039B1 (ko) 전기 접속장치 및 전기 접속장치가 설치된 전기 시설물
US3246135A (en) Floodlighting luminaire
KR20100024884A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KR102066397B1 (ko) 방폭 라이팅 지주
KR20020078574A (ko) 비상 조명등
KR102246309B1 (ko) 가공배전선을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200441978Y1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CN212026005U (zh) 一种公路施工路障警示装置
EP2138763B1 (de) Strahler und Stromschienensystem mit einem solchen Strahler
US5850999A (en) Light cover quick and safe release device
KR200312448Y1 (ko) 등기구 승강구조가 구비된 가로등
KR200145652Y1 (ko) 가로등 지주
KR200373067Y1 (ko) 회전가능한 가로등
CN215831790U (zh) 一种路灯灯具的易替换结构
RU41833U1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200320821Y1 (ko) 케이블 릴
KR200261566Y1 (ko) 전주의 가로등 지지구조
CN221073680U (zh) 应急发电方舱
KR200222865Y1 (ko) 가로등
CN215569844U (zh) 防爆灯
CN209180813U (zh) 一种具有挡雨功能型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