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126A -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126A
KR20220040126A KR1020200122959A KR20200122959A KR20220040126A KR 20220040126 A KR20220040126 A KR 20220040126A KR 1020200122959 A KR1020200122959 A KR 1020200122959A KR 20200122959 A KR20200122959 A KR 20200122959A KR 20220040126 A KR20220040126 A KR 2022004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optical cable
bar
bracke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중
지영규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126A/ko
Publication of KR2022004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 케이블이 감길 수 있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서 풀리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FIBER CABLE LOOSENING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 보급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 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광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옥외의 선로에 설치되는 옥외용과 옥내에 설치되는 옥내용 및 옥외와 옥내사이에 설치되는 인입용으로 구분된다. 옥내용 케이블은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즉, 천장 혹은 바닥, 벽 등에 설치되는 것이고,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용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주로 근거리 지역간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광 케이블은 비닐에 롤(ROLL) 형태로 포장되거나, 포장상자에 롤 형태로 담기어 공급된다. 그러나 광 케이블이 풀리는 과정에서 얽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광 케이블을 드럼, 보빈 등에 감아 공급하게 되었다.
도면 도 7을 참고하면, 광 케이블(1)이 감긴 보빈(10)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20)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바디(20)에 의해 보빈(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작업자가 광 케이블을 당기면 보빈이 회전되면서 광 케이블이 풀리게 되었다.
그러나 작업자가 광 케이블을 당겼을 때 보빈이 연속 회전하게 되어 광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게 되었다. 이에 광 케이블을 다시 정리해야 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631호 (2015.10.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0821호 (2003.07.09.)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보빈에 감겨 있는 광 케이블을 당겼을 때 보빈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보빈에서 광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지 않도록 하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는 광 케이블이 감길 수 있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서 풀리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휠과 마주하는 걸림바, 그리고 상기 걸림바와 연결되어 상기 광 케이블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이 연결된 설치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휠의 측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바에서 상기 휠의 측면으로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있며, 상기 걸림돌기의 단부는 상기 휠의 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걸림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고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설치바에서 내측 방향으로 20ㅀ 내지 30ㅀ각도로 꺾이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노즐이 설치된 노즐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광 케이블을 당긴 후 놓게 되면 보빈은 샤프트를 기준으로 계속 회전하려 한다. 이때 걸림턱이 걸림돌기에 걸리면서 보빈은 샤프트를 기준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광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지 않는다. 이에 광 케이블의 풀어짐으로 발생했던 광 케이블 정리 작업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걸림턱이 걸림돌기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1의 측면도
도 7은 종래 케이블 릴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림턱이 걸림돌기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100)는 광 케이블(1)이 감겨 있을 수 잇는 보빈(110), 바디(120), 브래킷(150) 및 노즐(160)을 포함하며 작업자가 보빈(110)에 감긴 광 케이블(1)을 당겼을 때 보빈(110)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보빈(110)에서 광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보빈(110)은 광 케이블(1)이 감기는 드럼(111)과 드럼(111)의 양측에 배치되어 광 케이블(1)의 이탈을 방지하는 휠(112)을 포함한다. 드럼(111)의 내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샤프트홀(111a)이 형성되어 있다. 휠(112)의 측면에는 걸림턱(113)이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113)은 샤프트홀(111a)을 기준으로 걸림턱(113)이 방사형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13)의 개수는 휠(112)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걸림턱(113)은 생략되고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110)은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디(120)는 보빈(110)을 지면에서 이격시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바디(120)는 한 쌍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프레임의 상부는 손잡이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은 벌어져 있다. 한 쌍의 프레임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보빈(110)이 위치하는 보빈공간(120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한 쌍의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지지대(130)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대(130)에는 보빈공간(120a)을 횡단하는 샤프트(140)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140)의 양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에는 샤프트(140)를 바디(12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141)가 체결되어 있다. 너트(141)는 아이너트를 포함한다. 아니너트의 고리 부분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 사용 없이 너트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샤프트(140)를 지지대(130)에서 분리한 뒤 보빈(110)을 보빈공간(120a)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바디(120)의 일측에서 샤프트(140)를 지지대(130)와 샤프트홀(111a)에 삽입하여 양단이 바디(120)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된 양단에는 너트(141)가 체결되며 보빈(110)은 보빈공간(120a)에서 샤프트(14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브래킷(150)은 바디(120)에 설치되어 보빈(110)의 회전을 제한한다. 브래킷(150)은 일단이 샤프트(140)와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들리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150)은 걸림바(152), 그리고 설치바(154)를 포함한다. 브래킷(150)은 고정바(151) 및 노즐바(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151)는 바디(120)의 측면에 위치하여 일단이 지지대(130)와 너트(1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바(151)의 일단에는 샤프트(140)가 관통하는 결합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51a)은 고정바(151)에서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너트(141)를 샤프트(140)에 가 체결한 상태에서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151a)을 이용하여 고정바(151)를 너트(141)와 지지대(13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너트(141)의 체결로 고정바(151)를 바디(120)에 고정한다.
걸림바(152)는 고정바(151)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바(151b)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바(151b)의 길이는 보빈(110)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의 길이가 길어지면 연결바(151b)의 길이는 짧아지며, 드럼의 길이가 짧아지면 연결바(151b)의 길이는 길어진다. 그러나 연결바(151b)는 생략되고 걸림바(152)는 고정바(151)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바(151)가 샤프트(1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바(151b)는 지지대(130)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바(151b)의 지지로 브래킷(150)의 타다는 들린 상태가 된다.
걸림바(152)의 끝은 휠(112)의 측면을 통과하여 휠(11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걸림바(152)는 고정바(151)에서 휠(112)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걸림바(152)에는 휠(112)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53)는 걸림바(152)의 외측면이 휠(112)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53)의 끝(153e)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53)의 단면은 반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53)의 끝(153e)은 휠(112)의 측면(112f)과 떨어져 접하지 않고 있다. 걸림돌기(153)의 일부분은 걸림턱(113)의 일부분과 겹친다. 걸림돌기(153)는 걸림턱(113)이 돌출된 길이에서 5/1 부분(113s) 겹친다. 걸림턱(113)이 걸림돌기(153)에 접하면 보빈(110)은 샤프트(14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보빈(110)의 연속 회전으로 광 케이블(1)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53)가 걸림턱(113)과 5/1 부분(113s) 겹쳐 있으므로 걸림턱(113)이 걸림돌기(153)에 걸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광 케이블(1)을 당기게 되면 걸림턱(113)은 걸림돌기(153)를 타고 넘을 수 있다. 이때 걸림턱(113)은 눌릴 수 있다. 또한 걸림바(152)는 탄성력에 보빈(110)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보빈(110)은 이웃한 걸림턱(113)의 사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설치바(154)는 걸림바(152)의 단부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설치바(154)는 휠(112)의 외부 둘레와 떨어져 있으며 보빈(110)에 감긴 광 케이블(1)과 마주하고 있다. 회전하는 보빈(110)은 설치바(154)와 간섭되지 않는다. 설치바(154)의 양단에 걸림바(152) 및 설치바(154)가 위치하여 설치바(154)는 보빈(110)의 전방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노즐바(155)는 설치바(154)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노즐바(155)는 설치바(154)에서 내측 방향으로 20ㅀ 내지 30ㅀ각도(R)로 꺾이어 있다.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노즐바(155)의 외측면은 휠(112)의 외부 둘레와 접선을 이루고 있다. 노즐바(155)의 중앙에는 결합홀이 관통되어 있다.
노즐(160)은 노즐바(155)의 결합홀에 결합되어 있다. 노즐(160)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광 케이블(1)이 통과하는 노즐홀(161)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바(155)가 설치바(154)와 이루는 각도에 의해 드럼에서 풀리는 광 케이블은 유선형으로 구부러지면서 노즐홀(161)로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에 광 케이블(1)이 노즐홀(161)에 삽입될 때 급격하게 꺾이지 않아 광 케이블(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즐(160)의 선단에는 캡이 결합되어 있다. 캡은 광 케이블(1)의 규격에 따라 결합 위치가 설정되어 노즐홀(161)의 지름을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노즐(16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광 케이블(1)은 결합홀을 관통한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샤프트(140)가 바디(1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1)이 감겨 있는 보빈(110)을 보빈공간(120a)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샤프트(140)를 지지대(130) 및 드럼(111)으로 삽입하여 지지대(130)에 거치한다. 보빈(110)은 샤프트(140)의 지지로 보빈공간(120a)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브래킷(150)의 고정바(151)를 샤프트(140)에 결합하고, 샤프트(140)에 너트(141)를 체결하여 브래킷(150)을 바디에 고정한다. 브래킷(150)이 바디(120)에 결합되면 걸림돌기(153)는 이웃한 걸림턱(11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설치바(154)는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상부측으로 들린 상태가 되며 노즐바(155)는 휠(112)의 외부 둘레와 접선을 이루게 된다.
작업자는 광 케이블(1)을 노즐홀(161)로 삽입하여 인출한다. 작업자가 광 케이블(1)을 당기게 되면 보빈(110)은 샤프트(14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걸림턱(113)이 걸림돌기(153)에 걸리면 보빈(110)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작업자가 광 케이블(1)을 당기는 힘이 걸림턱(113)이 걸림돌기(153)에 걸리면서 발생한 저항력 보다 더 크므로 걸림턱(113)은 걸림돌기(153)를 타고 넘는다. 이에 보빈(110)은 계속 회전하게 되며 광 케이블(1)은 작업자가 당기는 만큼 보빈(110)에서 풀리게 된다.
작업자가 광 케이블(1)을 당긴 후 놓게 되면 보빈(110)은 샤프트(140)를 기준으로 계속 회전하려 한다. 이때 걸림턱(113)이 걸림돌기(153)에 걸리게 되면서 보빈(110)은 샤프트(140)를 기준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보빈(110)이 걸림턱(113)과 걸림돌기(153)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광 케이블(1)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지 않는다. 광 케이블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면서 발생했던 작업자의 광 케이블 정리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의 보빈에 광 케이블이 감겨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빈에 감긴 것을 광 케이블로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보빈에 감기는 와이어, 전선, 로프, 섬유 등 다양한 매체가 감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광 케이블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빈에 감길 수 있는 다양한 것으로 적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광 케이블 100: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110: 보빈 111: 드럼
111a: 샤프트홀 112: 휠
112f: 휠 측면 113: 걸림턱
113s: 겹친 부분 120: 바디
120a: 보빈공간 130: 지지대
140: 샤프트 141: 너트
150: 브래킷 151: 고정바
151a: 결합홈 151b: 연결바
152: 걸림바 153: 걸림돌기
153e: 걸림돌기의 끝 154: 설치바
155: 노즐바 160: 노즐
161: 노즐홀

Claims (5)

  1. 광 케이블이 감길 수 있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서 풀리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휠과 마주하는 걸림바, 그리고
    상기 걸림바와 연결되어 상기 광 케이블과 마주하며 상기 노즐이 연결된 설치바
    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휠의 측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바에서 상기 휠의 측면으로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있며, 상기 걸림돌기의 단부는 상기 휠의 측면과 접하지 않고 있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걸림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고정바
    를 더 포함하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설치바에서 내측 방향으로 20ㅀ 내지 30ㅀ각도로 꺾이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노즐이 설치된 노즐바
    를 더 포함하는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KR1020200122959A 2020-09-23 2020-09-23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KR20220040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59A KR20220040126A (ko) 2020-09-23 2020-09-23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59A KR20220040126A (ko) 2020-09-23 2020-09-23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26A true KR20220040126A (ko) 2022-03-30

Family

ID=8094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959A KR20220040126A (ko) 2020-09-23 2020-09-23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1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783B1 (ko) * 2022-11-01 2023-02-06 두텍 주식회사 자동 다단 케이블 릴 스톰 잠금장치
GB2620851A (en) * 2022-11-04 2024-01-24 Alker Fibre Optic Specialists Ltd Apparatus for storing c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21Y1 (ko) 2003-04-16 2003-07-22 방동환 케이블 릴
KR101564631B1 (ko) 2014-08-06 2015-11-10 정연석 전선 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전선 풀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21Y1 (ko) 2003-04-16 2003-07-22 방동환 케이블 릴
KR101564631B1 (ko) 2014-08-06 2015-11-10 정연석 전선 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전선 풀림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783B1 (ko) * 2022-11-01 2023-02-06 두텍 주식회사 자동 다단 케이블 릴 스톰 잠금장치
WO2024096438A1 (ko) * 2022-11-01 2024-05-10 두텍 주식회사 자동 다단 케이블 릴 스톰 잠금장치
GB2620851A (en) * 2022-11-04 2024-01-24 Alker Fibre Optic Specialists Ltd Apparatus for storing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0126A (ko) 광 케이블 풀림 방지 릴 장치
US7124980B2 (en) Wire spool guide assembly
US9290358B2 (en) Retractable in-wall cable system
US3731887A (en) Portable storage reel for lines
US5752670A (en) Wire dispenser with retractor
EP3449540A1 (en) Cable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15199A (ko) 가이드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US20110057157A1 (en) Cable pulling machine
US5806780A (en) Universal cable take-off system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KR101673314B1 (ko)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
KR200479743Y1 (ko)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0445813Y1 (ko) 전선케이블 릴
EP3522319A1 (en) An electric cable dispenser
CN210393283U (zh) 一种防断线防尘纱线筒结构
JP2006160465A (ja) ケーブル引出し台
US2213363A (en) Means for lashing cables to supporting strands
US20020117574A1 (en) Wire spool stay
CN219971416U (zh) 一种电缆放线架
KR200497979Y1 (ko) 케이블 이탈 방지용 낙하 방지대
CN219259215U (zh) 一种放线装置
CN215518037U (zh) 一种具有锁紧机构的伸缩衣架
KR102663893B1 (ko) 보빈용 풀링장치
JP3115793U (ja) ケーブル等の繰出装置
KR200332219Y1 (ko)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