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00Y1 -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00Y1
KR200320300Y1 KR20-2003-0013129U KR20030013129U KR200320300Y1 KR 200320300 Y1 KR200320300 Y1 KR 200320300Y1 KR 20030013129 U KR20030013129 U KR 20030013129U KR 200320300 Y1 KR200320300 Y1 KR 200320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ed
droplet generator
genera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언
Original Assignee
정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언 filed Critical 정동언
Priority to KR20-2003-0013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Abstract

본 고안은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물방울 발생기를 선반에 단순히 올려놓고 사용함에 따라 선반제작 및 설치에 따른 비용소모가 많고 설치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며, 또한 물방울 발생기가 선반으로부터 쉽게 유동 및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단에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직각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타단에는 연결공(111)이 구비된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00)과, 양단에 비하여 중앙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공(220)이 형성된 연결브라켓(200)을 구성하므로서, 연결브라켓(200)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고정시키고 고정브라켓(100)의 고정부(120)는 설치대상부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부(110)를 연결브라켓(200)의 안착부(210)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이 이루는 끼움홈(211)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나사(400)로 고정시킴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300)를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300)의 방향을 좌우로 변경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물방울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water drop making device}
본 고안은 물방울 발생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물방울발생기를 원하는 부위에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을 좌우로 간단히 변경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방울 발생기에 발생되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물방울에 의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한 물방울 발생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방울 발생기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물방울을 장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함체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는 송풍팬과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축은 케이스의 전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위날개가 방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물방울발생날개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하단에는 물방울액이 담겨지는 물방울액수납부가 설치되면서 상기 물방울발생 날개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위날개가 상기 물방울액수납부의 물방울액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팬과 모터가 작동되면 모터와 연결된 물방울발생날개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물방울액수납부를 지나는 물방울발생날개의 단위날개에 물방울액의 막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물방울액의 막이 형성된 단위날개가 송풍구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송풍팬의 바람에 의해 단위날개로부터 물방울이 발생된 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물방울 발생기는 여러 형태의 행사장이나 각종 유흥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그 설치는 예를 들어 벽면 높은 곳에 선반을 미리 설치하여두고 상기 선반에 물방울 발생기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반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비용을 들여 선반을 제작 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의 소모가 많고 설치작업이 복잡해지며, 물방울 발생기가 선반에 단순히 올려져 있어 쉽게 유동되거나 선반 밑으로 떨어질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방울 발생기를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부위에 직접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으로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면서 물방울을 분산시킬 수 있어 물방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물방울 발생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단에는 설치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직각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타단에는 연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양단에 비하여 중앙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만곡진 형상의 끼움공이 형성된 사디리꼴 형상의 연결브라켓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브라켓을 물방울 발생기의 저면에 고정시키고, 고정브라켓의 고정부는 설치부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브라켓의 지지부를 연결브라켓의 안착부와 물방울 발생기의 저면이 이루는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나사로 연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을 관통시켜 물방울 발생기의 저면에 체결시킴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의 설치를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나사를 분리시킨 다음 물방울 발생기와 연결브라켓을 함께 회전시켜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을 변경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다시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물방울의 분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이 전환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브라켓 110 : 지지부
111 : 연결공 120 : 고정부
200 : 연결브라켓 210 : 안착부
220 : 끼움공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를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부위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발생기의 방향전환을 예시한 요부 저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방울 발생기를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부위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일단에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120)로터 직각형태로 구부러지며 연결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110)가 형성된 고정브라켓 (100)과, 양단에 비하여 중앙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일측 표면에는 만곡진 형상의 끼움공(220)이 형성되어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사다리꼴형상의 연결브라켓(200)을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11)은 연결브라켓(200)을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고정시켰을 때 연결브라켓(200)의 안착부(210)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이 이루는 끼움홈이며, (400)은 고정나사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100)과 연결브라켓(200)을 이용하여 물방울 발생기(300)를 설치부위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물방울 발생기 (300)와 고정된 연결브라켓(200)을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좌우로 움직여 물방울 발생기(30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300)의 설치작업성의 향상효과와 함께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를 설치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예시한 것으로서, 브라켓은 고정브라켓(100)과 연결브라켓(200)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ㄱ"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어 일단에는 설치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표면 중앙에 연결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브라켓(200)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양단에 비하여 중앙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착부(210)가 구성됨에 따라 연결브라켓(200)의 양단이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고정되면 상기 안착부(210)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 사이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방울 발생기(300)를 설치부위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연결브라켓(200)을 고정시켜 놓고, 고정브라켓(100)의 고정부는 물방울 발생기(3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위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지지부(110)가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과 연결브라켓(200)의 안착부(210)가 이루는 끼움홈(211)에 끼워지도록 하되 연결브라켓(200)의 끼움공(220)과 지지부(110)의 연결공(111)을 일치시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시킨 다음에는 고정나사(400)를 연결브라켓(200)의 끼움공 (220)과 고정브라켓(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연결공(11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물방울 발생기(300)의 저면에 체결하게 되면 물방울 발생기(300)가 설치부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된 물방울 발생기(300)의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나사(400)를 풀어준 상태에서 물방울 발생기(300)와 연결브라켓(200)을 함께 좌우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시킨 다음 변경된 상태에서 다시 고정나사(400)를 체결하여 변경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200)은 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방은 그대로 두고 후방을 더욱 넓게 구성하게 되면 물방울 발생기(300)의 좌우 회전을 더욱 크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설치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물방울 발생기에 고정되는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물방울 발생기를 설치부위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물방울 발생기와 연결된 연결브라켓의 방향을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좌우 소정각도로 바꿔줄 수 있어 물방울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물방울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줄 수 있어 물방울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물방울 발생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단에는 부착용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물방울 발생기 (300)를 받쳐주도록 고정부(120)로 부터 직각형태로 지지부(110)가 절곡되며, 상기 지지부(1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다란 연결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00);
    상기 지지부(110)가 끼워지는 안착부(210)는 선단이 후미보다 더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된 상태로 물방울 발생기(300)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안착부(210)에는 연결공(111)과 교차되면서 고정나사(400)로 고정되는 만곡진 끼움공(220)을 길게 형성하여 물방울 발생기(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결브라켓(2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KR20-2003-0013129U 2003-04-28 2003-04-28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KR200320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29U KR200320300Y1 (ko) 2003-04-28 2003-04-28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29U KR200320300Y1 (ko) 2003-04-28 2003-04-28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00Y1 true KR200320300Y1 (ko) 2003-07-22

Family

ID=4941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129U KR200320300Y1 (ko) 2003-04-28 2003-04-28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6750B (zh) 风扇
CN102536751B (zh) 风扇
CN102536752B (zh) 风扇
US20100068081A1 (en) Axial fan
EP1793126B1 (en) Vibration damped electric fan
GB2304820A (en) Fan assembly
KR200320300Y1 (ko) 물방울 발생기의 고정구조
KR20090015269A (ko) 360도 선풍기
US7384242B2 (en) Impeller blade and fan
JP5934515B2 (ja) 排水ポンプ
EP0733809A1 (en) Support bracket
US5718379A (en) Low profile fountain
JP3118415U (ja) 回転式空調ファン
EP1637643A3 (en) Clothing dryer
US20230067624A1 (en) Blower
JP2006226118A (ja) 送風装置
KR20160099787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N105952670B (zh) 塔扇
KR101697856B1 (ko) 축사용 팬장치
AU59231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pellers
CN212376940U (zh) 风扇组件
KR100491081B1 (ko) 냉각탑용 엘리미네이터
KR200365851Y1 (ko) 송풍기의 송풍각도 조절장치
KR200345721Y1 (ko) 축류팬용 쉬라우드
WO2018207544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