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273Y1 - 핫 스템핑 장치 - Google Patents

핫 스템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273Y1
KR200320273Y1 KR20-2003-0012238U KR20030012238U KR200320273Y1 KR 200320273 Y1 KR200320273 Y1 KR 200320273Y1 KR 20030012238 U KR20030012238 U KR 20030012238U KR 200320273 Y1 KR200320273 Y1 KR 200320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ess
hot
workbench
stamping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원
Original Assignee
안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원 filed Critical 안기원
Priority to KR20-2003-0012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93Attach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plication Or Mar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의 표면에 스템핑포일을 열압 가공하는 핫 스템핑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압프레스와 작업대가 스템핑포일의 상, 하에서 승,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을 작업대에 재치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대에 재치된 공작물의 표면에 스템핑포일을 대고 열압프레스로 열압 가공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정역모우터에 의하여 회동되며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가 형성된 회동축과, 나사부에 체결되어 승, 하강되는 작업대와, 히팅부와 압착부로 되며 작업대의 상측 나사부에 체결되어 승, 하강되는 열압프레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공작물을 작업대에 재치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공작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안전하게 재치시킬 수 있고, 열압프레스와 작업대의 이격 폭이 크므로 공작물을 여유있게 재치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감소됨과 아울러,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핫 스템핑 장치{Hot Stamping Apparatus}
본 고안은 핫 스템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물의 표면에 스템핑포일을 열압 접착시키는 핫 스템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화기 등의 버튼이나 배지(Badge) 등과 같은 장식 악세사리의 표면에는 장식효과를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전사재나 시야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이는 코팅재를 핫 스템핑 장치로 열압 전사하며, 이러한 핫 스템핑 장치를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핫 스템핑 장치(100)는 프레임(101)의 하측에 작업대(102)가 지그(103)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작업대(102)의 상측에 히팅부(105)와 압착부(106)로 되는 열압프레스(104)가 실린더(107)의 피스톤로드(108)에 결합되었다.
또한, 공급로울러(112)에 권취된 스템핑포일(109)이 작업대(102) 상측을 지나 권취로울러(113)에 권취될 수 있도록 되었으며, 공급로울러(112)와 권취로울러(113) 사이에는 스템핑포일(109)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텐션로울러(114,115,116)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핫 스템핑 장치(100)는 작업대(102)에 공작물(117)을 재치시킨 후, 실린더(107)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108)가 하강되도록 하면, 열압프레스(104)의 압착부(106)가 스템핑포일(109)과 공작물(117)을 고온 고압으로 누르게 되고, 그 결과 스템핑포일(109)의 테이프(110) 저면에 있는 코팅층(111)이 공작물(117)에 압착됨으로써 전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핫 스템핑 장치(100)는 공작물(117)을 작업대(102)에 재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과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스템핑포일(109)이 작업대(102)의 상측면에 근접된 상태로 있어, 작업대(102)의 상측면에 공작물(117)을 재치시켜야 되는 부분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템핑포일(109)과 작업대(102) 사이로 공작물(117)을 투입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대(102)의 상측에 위치된 스템핑포일(109)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작업대(102)와 스템핑포일(109)간의 시야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공작물(117)을 작업대(102) 상측에 재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더디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공작물(117)을 작업대(102)에 재치시키는 과정에서 공작물(117)이 스템핑포일(109)의 표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게 되어 스템핑포일(109)의 표면에 손상이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열압프레스와 작업대가 스템핑포일의 상, 하에서 승,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을 작업대에 재치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공작물을 재치중 스템핑포일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지 않게 하는 핫 스템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핫 스템핑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핫 스템핑 장치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핫 스템핑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핫 스템핑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핫 스템핑 장치 11 : 정역모우터 12 : 회동축
13,14 : 나사부 15 : 열압프레스 16 : 히팅부
17 : 압착부 18 : 작업대 19 : 공급로울러
20 : 권취로울러 21,22,23 : 텐션로울러 24 : 스템핑포일
25 : 테이프 26 : 코팅층 27 : 배출로
28 : 공작물 29 : 몸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가 형성되어 정역모우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축에 작업대와 열압프레스가 체결되어 승, 하강되도록 하는 핫 스템핑 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스템핑포일과 작업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공작물의 재치작업과 배출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핫 스템핑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핫 스템핑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몸체(29)의 상측에 정역모우터(11)를 설치하고, 상기 정역모우터(11)의 하방에 정역모우터(11)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축(12)을 설치하며, 상기 회동축(12)의 상, 하에는 각각 나사의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13,14)를 형성한다.
아울러 회동축(12)의 상측 나사부(13)에 히팅부(16)와 압착부(17)로 되는 열압프레스(15)를 설치하여 승, 하강되도록 하고, 하측 나사부(14)에 공작물(28)이 재치되는 작업대(18)를 설치하여 승, 하강되도록 한다.
또한, 테이프(25)의 저면에 코팅층(26)이 형성되어 공급로울러(19)에 권취된 스템핑포일(24)이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 사이를 거쳐 권취로울러(20)에 권취되도록 하며, 상기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의 양 측부에텐션로울러(21,22,23)를 설치하여 스템핑포일(24)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텐션로울러(22)의 하방에는 코팅층(26)이 열압 가공된 공작물(28)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로(2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기 즉, 핫 스템핑 장치(10)를 작동시키면 정역모우터(11)가 작동되어 회동축(12)을 회동시키게 되고, 스템핑포일(24)은 공급로울러(19)에서 권취로울러(20)로 이동 권취된다.
아울러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는 회동축(12) 상에서 각각 상, 하로 승, 하강되는데,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가 체결된 나사부(13,1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열압프레스(15)가 하강될 때 작업대(18)는 승강되고, 열압프레스(15)가 승강되면 작업대(18)는 하강된다.
따라서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는 스템핑포일(24)이 지나가는 회동축(12)의 중간부분에서 압착되었다 이격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대(18)가 하강되었을 때에는 스템핑포일(24)과 작업대(18)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공작물(28)을 작업대(18)의 재치 위치에 스템핑포일(24)이 손상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치시킬 수 있으며, 공작물(28)이 재치된 후에는 작업대(18)가 상승하여 하강되는 열압프레스(15)에 의하여 압접되는 것이다.
이때, 열압프레스(15)의 압착부(17)는 히팅부(16)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이고, 작업대(18)에 재치된 공작물(28)과 압착부(17) 사이에 스템핑포일(24)이 있으므로, 압착부(17)는 공작물(28)의 상측에 위치된 스템핑포일(24)을 가열 압박하는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공급로울러(19)에서 권취로울러(20)로 이동되던 스템핑포일(24)이 정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스템핑포일(24)의 테이프(25) 저면에 형성된 코팅층(26)이 공작물(28)의 상측면에 붙어 전사되는 것이며, 이어서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가 이격되면 스템핑포일(24)은 다시 이동을 시작하고, 상측에 코팅층(26)이 전사된 공작물(28)은 작업대(18)와 함께 하강되지 않고 스템핑포일(24)의 테이프(25)에 붙어있는 상태로 이동되다 텐션로울러(22)에 이르게 되는 바, 공작물(28)은 경질이어서 그 둘레부분으로 감겨지는 스템핑포일(24)의 굴신성을 따라가지 못하여 스템핑포일(24)에서 벗겨지게 되고 배출로(27)로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축(12)에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13,14)를 형성하고, 이러한 나사부(13,14)에 열압프레스(15)와 작업대(18)가 체결되어 승, 하강되도록 하여 된 것으로, 작업대(18)에 공작물(28)을 재치시킬 때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공작물(28)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치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공작물을 작업대에 재치중 스템핑포일(24)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압프레스와 작업대가 승, 하강되며 접근하여 압박과 이격을 반복하게 되므로, 공작물을 작업대에 재치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공작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치시킬 수 있고, 열압프레스와 작업대의 이격 폭이 크므로 작업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역모우터의 회전수와 토크를 조절하여 열압프레스와 작업대에 의하여 공작물에 가하여 지는 압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으므로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작업대(18)에 재치된 공작물(28)의 표면에 스템핑포일(24)을 대고 열압프레스(15)로 열압 가공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정역모우터(11)에 의하여 회동되며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13,14)가 형성된 회동축(12)과, 나사부(14)에 체결되어 이의 회전에 따라 승, 하강되는 작업대(18)와, 히팅부(16)와 압착부(17)로 되며 작업대(18)의 나사부(13)에 체결되어 승, 하강되는 열압프레스(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템핑 장치.
KR20-2003-0012238U 2003-04-21 2003-04-21 핫 스템핑 장치 KR200320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38U KR200320273Y1 (ko) 2003-04-21 2003-04-21 핫 스템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38U KR200320273Y1 (ko) 2003-04-21 2003-04-21 핫 스템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273Y1 true KR200320273Y1 (ko) 2003-07-22

Family

ID=4941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38U KR200320273Y1 (ko) 2003-04-21 2003-04-21 핫 스템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2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265B1 (ko) * 2006-02-17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265B1 (ko) * 2006-02-17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940B1 (ko) 열전사 인쇄장치
KR101858942B1 (ko) 종이와 코팅지가 합지된 친환경 데코시트 제조장치
CN107042678A (zh) 家具板材贴膜机
KR200320273Y1 (ko) 핫 스템핑 장치
CN101572222A (zh) 保护带粘贴装置
JP2005297457A (ja) 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CN209832902U (zh) 一种服装印花用热转印装置
CN111627611A (zh) 一种直流变频漆包线的生产方法
JP2010168197A (ja) フィルム送り装置
JPH07271Y2 (ja) エクストルジョンラミネーターのクーリングロール支持装置
CN105563366B (zh) 一种千页轮自动生产线及其生产工艺
JPS61289979A (ja) 胴に無端薄肉金属外被を上張り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17545A (ko) 계단 논슬립 표면의 마감재 코팅장치
JP5110976B2 (ja) 熱入れ装置
KR20030040612A (ko) 상소둔로용 컨벡터 플레이트 용접장치
CN217168667U (zh) 一种环保型石墨散热保护膜生产设备
CN207683103U (zh) 一种铝材烫金机
JPS62152755A (ja) タイヤ構成材料の印字装置
CN218809451U (zh) 一种包装材料多彩印刷膜电热断切装置
KR200310075Y1 (ko) 소재절단장치
KR200262008Y1 (ko) 자동시료연마장치
CN108262807A (zh) 一种新型立式双极往复模切机
JP3770535B2 (ja) プレス機用ワーク供給装置のワーク保持及び解放方法
CN209259330U (zh) 一种压印油墨装置
KR19990019284A (ko) 스치로폼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