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083Y1 -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083Y1
KR200320083Y1 KR20-2003-0011325U KR20030011325U KR200320083Y1 KR 200320083 Y1 KR200320083 Y1 KR 200320083Y1 KR 20030011325 U KR20030011325 U KR 20030011325U KR 200320083 Y1 KR200320083 Y1 KR 200320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water gate
coupled
hollow pipe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03-0011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083Y1/ko
Priority to KR20-2004-0008448U priority patent/KR200353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지 등지에 설치되어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수문을 개폐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003-9314호를 더욱 개량하여, 고장발생의 염려가 거의 없고 고장발생시에도 오동작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수명이 장구하도록 스핀들이나 래크를 이용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를 만들어 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으로 회전되고 외면에는 나사(210)가 형성된 스핀들(200)에 연결로드(20)의 선단을 나사결합하되,
상기 스핀들(200)에 나사결합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고,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진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것은 물론,
상기 하단에 수문(50)이 결합되는 연결로드(20)의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하여,
이를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원동기어축(300)과 이에 결합된 기어(310)와 기어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축(320)에 구비된 스프라켓(330)에 결합하고,
상기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며,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상기 수문(50)의 개폐시 핸들(12)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축(320)의 스프라켓(330)에 레크바(340)가 결합된 연결로드(20)가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면서 수문(50)을 개폐토록 이루어지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Description

기계식 수문개폐장치{Do machine floodgate reorganization chapter}
본 고안은 저수지 등지에 설치되어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수문을 개폐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수지등지에 설치되는 수문을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승,하강시켜서 개폐토록 하되, 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수문을 개폐하는 연결로드의 훼손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문이 낙석에 의해 훼손되거나 수문에 낙석이 끼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등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수명을 장구하도록 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003-9314호를 개량하여 유압식 수문개폐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댐이나 저수지에는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1과 같이 다수의 수문(1)이 설치되는데 이와같이 설치되는 수문(1)들은 수문개폐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하강하는 연결로드(2)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수문(1)을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각종 수문개폐장치와 연결되어 수문(1)을 개폐하는 연결로드(2)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훼손될 염려가 많았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연결로드(2)가 휘어지거나 하면 연결로드(2)의 승,하강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수문(1)의 개폐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이의 유지 보수가 매우 까다롭고 힘들며, 필요이상으로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9314호가 안출되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의 유압제어장치(10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연결로드(20)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10)를 구비하되.
상기 유압실린더(10)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는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하고,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진 유압식 수문개폐장치이다.
이와같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유압실린더(10)에 구비되어 수문(50)을 승하강시키는 연결로드(20)가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여 연결로드(20)의 훼손을 방지하고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유압식이어서 별도의 유압제어장치(100)를 설치하여야 하며, 유압제어장치(100)에 이상시 오동작의 염려가 있는등 유압제어장치(100)들의 이상유무를 수시로 살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유압식 수문개폐장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보다는 고장이 자주나며 수명이 장구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003-9314호를 더욱 개량하여, 고장발생의 염려가 거의 없고 고장발생시에도 오동작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수명이 장구하도록 스핀들이나 래크를 이용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를 만들어 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저수지용 수문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2은 본인의 선출원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도.
도3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의 요부구성상태도.
도4a,도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도로서,
도4a는 전체구성상태도.
도4b는 요부구성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핸들 20:연결로드
30:수문설치용 구조물 40:중공파이프
50:수문 200:스핀들
210:나사 300:원동기어축
310:기어 320:구동기어축
330:스프라켓 340:레크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의 일실시예는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으로 회전되고 외면에는 나사(210)가 형성된 스핀들(200)에 연결로드(20)의 선단을 나사결합하되,
상기 스핀들(200)에 나사결합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고,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는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원동기어축(300)과 이에 구비된 기어(310)와 기어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축(320)에 구비된 스프라켓(330)에 연결로드(20)의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하여 이를 결합하고,
상기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고,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크바(34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기어축들과 기어축들이 연동되도록 기어들이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에서 미도시한 모터의 경우에는 스핀들(200)이나 원동기어축(30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이들과 직접연결설치되거나 기어나 체인등의 동력전달수단과 연결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기 때문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본 고안은 수문(50)의 개폐정도를 알 수 있도록 수문개폐정도 표시장치를 직접 또는 별도로 연계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미설명부호 60은 낙석이 수문에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한 낙석방지용 돌턱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일실시예들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유압식이 아닌 기계식 즉, 핸들(12)을 이용하는 수동식이나 모터(미도시)를 이용하는 전동식 등의 경우 모두 포함되며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변경 내지는 치환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상기한 일실시예들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댐이나 저수지등지에 설치된 수문(50)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 도4a내지 도4b의 경우에는 먼저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를 돌려서 스핀들(200)을 정역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하면 회전하는 스핀들(200)에 나사결합된 연결로드(20)가 승,하강되면서 연결로드(20)의 하단에 결합된 수문(50)을 개폐한다.
그리고 도5의 경우에는 먼저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를 돌려서 원동기어축(300)을 회전시키다.
이와같이 하면 원동기어축(300)의 기어(310)와 기어결합된 구동기어축(320)이 연동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스프라켓(330)도 함께 회전한다.
그러면 스프라켓(330)에 결합된 연결로드(20) 상단에 형성한 레크바(340)가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로드(20)가 승강되면서 연결로드(20)의 하단에 결합된 수문(50)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수문(50)을 밀폐시에는 핸들(12)이나 모터(미도시)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20)들은 수문설치용 구조물(30)내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되어 있기때문에 낙석이나 기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연결로드(20)가 휘어지거나 하는 등의 훼손이 완벽하게 방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스핀들이나 래크를 이용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이기 때문에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9314호인 유압식 수문개폐장치보다 고장발생의 염려가 거의 없다.
또한, 고장발생시에도 오동작의 염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수명이 장구하도록 유지 보수가 편리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신규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핸들(12)이 결합되어 이의 동작으로 회전되고 외면에는 나사(210)가 형성된 스핀들(200)에 연결로드(20)의 선단을 나사결합하되,
    상기 스핀들에 나사결합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고,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수문의 개폐시 핸들(12)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핀들(200)에 나사결합된 연결로드(20)가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면서 수문(50)을 개폐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 수문(50)이 결합되는 연결로드(20)의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하여,
    이를 핸들(12)이 결합되어 이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원동기어축(300)과 이에 결합된 기어(310)와 기어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축(320)에 구비된 스프라켓(330)에 결합하고,
    상기 상단에 레크바(340)를 형성한 연결로드(20)의 하측을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하며,
    중공파이프(40)의 하단으로 빠져나온 연결로드(20)의 하단에 수문(50)을 결합하여서,
    상기 수문(50)의 개폐시 핸들(12)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축(320)의 스프라켓(330)에 레크바(340)가 결합된 연결로드(20)가 수문설치용 구조물(30)속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한 중공파이프(40)내에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면서 수문(50)을 개폐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20)를 승,하강시키는 스핀들(200) 및 원동기어축(300)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이들과 연결설치되는 모터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KR20-2003-0011325U 2003-03-28 2003-04-12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KR200320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325U KR200320083Y1 (ko) 2003-04-12 2003-04-12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KR20-2004-0008448U KR200353949Y1 (ko) 2003-03-28 2004-03-26 수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325U KR200320083Y1 (ko) 2003-04-12 2003-04-12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083Y1 true KR200320083Y1 (ko) 2003-07-12

Family

ID=4933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325U KR200320083Y1 (ko) 2003-03-28 2003-04-12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0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040B1 (ko) 복식 문비
KR100871162B1 (ko) 인양식 수문 자동개폐장치
KR100664672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200320083Y1 (ko) 기계식 수문개폐장치
CN110849661A (zh) 一种土壤修复用表层土壤取样装置
KR200353949Y1 (ko) 수문개폐장치
KR200195506Y1 (ko)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427614Y1 (ko) 수동식 수문개폐장치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1202137B1 (ko) 수문 개폐장치
CN215405949U (zh) 一种灌溉水渠闸门结构
CN216379427U (zh) 一种水利工程用闸门节流装置
KR200180807Y1 (ko) 유압을 이용한 수문개폐장치
CN214787541U (zh) 一种暗挖施工用排水装置
KR101026735B1 (ko) 전동·수동 복합 수문개폐장치
KR200308734Y1 (ko) 반달회전수문
CN215758870U (zh) 一种水利工程用水闸
KR100891552B1 (ko) 수문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CN210397851U (zh) 一种家庭式防水灾可自动关闭的阀门
CN219099969U (zh) 一种水利工程农田水渠闸门
CN218466699U (zh) 一种安全下水井盖
KR200192050Y1 (ko)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CN220364945U (zh) 一种水利防汛闸门
CN216892298U (zh) 一种旋转堰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