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923Y1 -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923Y1
KR200319923Y1 KR20-2003-0010603U KR20030010603U KR200319923Y1 KR 200319923 Y1 KR200319923 Y1 KR 200319923Y1 KR 20030010603 U KR20030010603 U KR 20030010603U KR 200319923 Y1 KR200319923 Y1 KR 200319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water
supply line
oxygen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구
Original Assignee
정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구 filed Critical 정영구
Priority to KR20-2003-0010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50Circulation mixers, e.g.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mixture is discharged from and reintroduced into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에 제 1 수위센서와 제 2 수위센서가 각각 설치되면서 밀폐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과 산소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과; 상기 냉수통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되, 말단의 노즐을 통해 강하게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상기 냉수통의 물을 급수라인으로 재 공급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냉수통과 연결되어 냉수통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와;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구조에 의해 밀폐된 냉수통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기포 발생과 함께 산소를 혼입시키기 때문에 기체 용존률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적게 들며,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GAS SOLUTION DEVICE}
본 고안은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수통 내에 산소를 공급하여 액체 내에 기체 용존률이 높아지도록 하는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용해장치는 폐수처리장, 정수처리장, 정수기, 수경양액재배, 양식장 등에서 산소나 오존 등의 기체를 폐수나 물과 같은 액체에 용해시키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는 물이나 폐수 등과 같은 액체 내 산소나 오존 등의 기체 용존률을 높일 목적으로 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체용해장치는 산소발생기를 이용하여 액체에 기체를 기포형태로 단순 혼입시킨 다음 그 액체를 용해탱크 내에서 낙하시키거나, 그 액체를 강제 교란하면서 유동시키는 방식으로 액체에 대한 접촉율을 높임으로써, 기체를 용해시키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체용해장치는 낙하 또는 교란과정에서 액체로부터 너무 빠르게 탈기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체와 액체의 접촉율이 다소 낮아 기체 용해율이 낮아서 기체용해율에 비해 기체의 소모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산소발생기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이용하여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게 되는데, 질소가 빠져나갈 때 소음이 매우 심하여 숙면을 취하는데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제올라이트가 습기에 약해 장기간 사용시 산소발생량이 약 60%정도로 저하되어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밀폐된 냉수통에 산소와 함께 압력을 가하여 기체 용존률을 높이도록 하는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는,
상하부에 제 1 수위센서와 제 2 수위센서가 각각 설치되고, 밀폐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과 산소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과;
상기 냉수통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되, 말단의 노즐을 통해 강하게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상기 냉수통의 물을 급수라인으로 재 공급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냉수통과 연결되어 냉수통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와;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계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가 설치된 정수기의 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냉수통 11 : 제 1 수위센서
12 : 제 2 수위센서 20 : 산소통
30 : 급수라인 40 : 순환라인
50 : 배수라인 60 : 펌프
70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80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계략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의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는 상하부에 제 1 수위센서(11)와 제 2 수위센서(12)가 설치되면서 밀폐된 냉수통(10)과; 상기 냉수통(10)에 산소공급라인(21)으로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20)과;상기 냉수통(10)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되, 말단의 노즐(31)을 통해 강하게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30)과; 상기 냉수통(10)의 물을 급수라인(30)으로 재 공급하는 순환라인(40)과; 상기 냉수통(10)과 연결되어 냉수통(1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라인(50)과; 상기 급수라인(30)에 설치되어 제 2 수위센서(12)의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60)와; 상기 급수라인(30)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11)(12)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와; 상기 순환라인(40)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11)(12)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통(10)은 밀폐되어 외부와 차단되며, 그 내부의 일측에 제 1 수위센서(11)와 제 2 수위센서(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30)은 냉수통(10)의 상부에 연결되는데, 바닥과 수직이 되게 설치되면서 그 말단에 노즐(31)이 설치된다. 또한, 급수라인(30) 상에 상기 수위센서(11)(12)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설치되고, 외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60)가 냉수통(10)과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 사이에 연결되어 펌프(60)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물이 유입되면 그 말단의 노즐(31)을 통해 냉수통(10) 내로 강하게 분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수통(10)의 상부 일측에는 산소공급라인(21)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산소통(20)과 연결되어 산소통(20)의 산소가 냉수통(10)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냉수통(10)의 일측에는 배수라인(50)이 설치되는데, 냉수통(10)으로 삽입된 말단이 냉수통(10)의 바닥면과 근사하게 위치되고, 그 타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밸브가 설치되어 냉수통(10)의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통(10)의 하부에는 순환라인(40)이 연결되며, 이 순환라인(40)의 타측 말단은 급수라인(30)에 연결되되, 급수라인(30)의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와 펌프(60)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라인(40) 상에는 냉수통(10)의 수위센서(11)(12)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펌프(60)의 구동과 함께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열린 상태가 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펌프(60)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물이 급수라인(30)을 타고 냉수통(10)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산소통(20)의 산소가 산소공급라인(21)을 통해 냉수통(10)으로 공급된다. 이 때, 급수라인(30)을 타고 냉수통(10)으로 공급되는 물은 급수라인(30)의 말단에 설치된 노즐(31)에 의해 냉수통(10)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강하게 분사되면서 연속적으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물에 산소가 혼입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라인(30)을 타고 공급되는 물이 점차적으로 채워짐에 따라 밀폐된 냉수통(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져 기체 용존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져 제 1 수위센서(11)까지 도달하면 제 1 수위센서(11)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차단하여급수라인(30)으로부터의 물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순환라인(40)의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가 열린다.
이와 함께 냉수통(10)의 저면에 설치된 순환라인(40)을 통해 냉수통(10)의 물은 급수라인(30)으로 재 공급되어 결국 노즐(31)을 통해 또 다시 분사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기체용존율을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순환작업은 셋팅된 시간동안 지속된 후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기체용존율이 극대화된 물은 사용자에 의해 배수라인(50)을 타고 소정의 양이 배수된다. 이러한 배수에 의해 냉수통(10)의 물은 점차적으로 줄어 제 2 수위센서(12)까지 내려가면 이를 제 2 수위센서(12)가 감지하여 순환라인(40)의 제 2 솔레노이드 밸브(80)를 차단함과 동시에 급수라인(30)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열리게 되어 새로운 물이 공급된다. 이후, 상기 설명한 동작을 반복하여 기체용존율을 극대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는 정수장이나 폐수처리장 등과 같은 대형 시설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기체용해율에 비해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므로 소형화하는 데에 제약이 거의 없어 정수기(CW)에도 사용 가능하다.
즉, 도 3은 본 고안의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가 설치된 정수기의 계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기체용해장치를 정수기(CW)의 필터(2)에 의해 정화된 물이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정수된 냉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은 펌프, 2는 필터, 3은 급수탱크, 4는 온수통, CW는정수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는 밀폐된 냉수통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기포 발생과 함께 산소를 혼입시키기 때문에 기체용존율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적게 들며,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에 제 1 수위센서와 제 2 수위센서가 설치되면서 밀폐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과 산소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과;
    상기 냉수통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되, 말단의 노즐을 통해 강하게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상기 냉수통의 물을 급수라인으로 재 공급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냉수통과 연결되어 냉수통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와;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제 1, 2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KR20-2003-0010603U 2003-04-08 2003-04-08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KR200319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03U KR200319923Y1 (ko) 2003-04-08 2003-04-08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03U KR200319923Y1 (ko) 2003-04-08 2003-04-08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923Y1 true KR200319923Y1 (ko) 2003-07-16

Family

ID=4933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603U KR200319923Y1 (ko) 2003-04-08 2003-04-08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9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896B1 (ko) 오존수 생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214540A2 (en)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KR100584912B1 (ko) 산소발생정수장치
KR200319923Y1 (ko) 압축 순환식 기체용해장치
KR100336865B1 (ko)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CN204579820U (zh) 家用食材净化机
KR200171311Y1 (ko) 기포 발생기를 이용한 회전와류식 수처리장치
JP2006116288A (ja) 炭酸含有加熱水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6239353A (ja) 炭酸泉生成方法および装置
KR100667893B1 (ko)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CN208087287U (zh) 一种废水处理用消毒罐
CN210656478U (zh) 一种水处理净水装置
KR200405857Y1 (ko) 냉이온수기용 냉수통
KR200330119Y1 (ko) 실리포리 관수기
KR20070030153A (ko)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257929Y1 (ko) 접촉체적을 이용한 무동력 차아염소산 칼슘 용해기.
CN214990407U (zh) 活性炭吸附罐
CN212127719U (zh) 一种除垢装置及废水阻垢系统
KR200332733Y1 (ko) 실리포리 정수기
JP3108057U (ja) オゾン水生成装置
CN207294413U (zh) 一种节水型全屋净水设备
KR100495147B1 (ko)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DE10337422A1 (de) Abfallsammelvorrichtung mit Reinigungsanlage
KR200270373Y1 (ko) 팬 가습 방식을 이용한 피부용 분무장치
JPH0899089A (ja) ポンプ圧入式滅菌器の自動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