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147B1 -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 Google Patents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147B1
KR100495147B1 KR1020050005136A KR20050005136A KR100495147B1 KR 100495147 B1 KR100495147 B1 KR 100495147B1 KR 1020050005136 A KR1020050005136 A KR 1020050005136A KR 20050005136 A KR20050005136 A KR 20050005136A KR 100495147 B1 KR100495147 B1 KR 10049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vy water
heavy
wate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천용
Original Assignee
미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수 재활용이 가능한 중수도 시설을 구비한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대는 스테인리스를 절곡하여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입수관과 수도꼭지 사이에 누수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도꼭지로부터 배출되어 사용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급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수가 저장되는 중수조와 ; 상기 중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배출하는 배출펌프와 ; 상기 중수조에 저장되는 중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수위센서와 ; 상기 중수조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중수조의 내부에 소독약품을 공급함으로서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패방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A water supply equipment with the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본 발명은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한 물을 중수조에 저장한 후 화단이나 운동장 등에 공급할 수 있게 한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로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물이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급수관을 폐쇄하여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한번 사용한 물을 중수조에 저장하여 재활용 할 수 있게 하되 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패방지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중수조에 저장된 물을 화단이나 운동장에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배출시설을 구비한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원을 포함하여 다수의 사람이 왕래하는 공공시설에는 복수개의 수도꼭지를 구비한 수도 급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 시설은 공공의 재산으로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충분히 잠그지 않아 계속하여 물이 배출되어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공 시설이나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에 설치된 급수 시설의 경우 대부분이 손을 씻거나 과일을 씻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므로 한번 사용한 물도 깨끗한 상태이나 따로 저장하여 재활용하지 못하고 하수구로 배출하여 불필요한 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누수차단기가 설치된 급수대가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191903호로 개시되어 있고, 중수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중수도 시설을 구비한 급수대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실용신안공고 제 20-303013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중수도 시설을 구비한 급수대는 급수대 본체의 내부에는 배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중수가 저장될 수 있는 중수조를 형성하고, 상기 중소조에 저장된 중수를 펌프로 펌핑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수 재활용을 위한 시설을 구비한 급수대의 경우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가 부패하여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수시로 중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중수조의 중수를 배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경우 학교의 운동장이나 광장에 모래먼지가 발생하며 이러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및 잔디나 수목의 관리에 상수도를 직접 운동장에 뿌려 수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서, 한번 사용한 물을 소정의 수용공간인 중수조에 저장하여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또는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의 소정 수위 이상일 때 화단이나 운동장 등 소정의 장소 자동으로 제공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를 절곡하여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입수관과 수도꼭지 사이에 누수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도꼭지로부터 배출되어 사용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급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수가 저장되는 중수조와 ; 상기 중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배출하는 배출펌프와 ; 상기 중수조에 저장되는 중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수위센서와 ; 상기 중수조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중수조의 내부에 소독약품을 공급함으로서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패방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에 있어서 중수 재활용 시스템 및 누수방지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는 한번 사용한 물 즉, 중수를 저장하고 이를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수대는 스테인리스를 절곡하여 구성된 본체(100)의 내부에 수도관과 연결된 입수관(10)에 하나 이상의 수도꼭지(20)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본체(100)의 상부는 개방하고 뚜껑(110)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설치된 장치를 유지 보수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본체(100)의 수도꼭지(20)가 설치된 방향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수도꼭지(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본체(10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였고, 일측에는 배수구(120)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이물질모음통(130) 및 여과장치(140)를 설치하여 사용한 물 즉, 중수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배수구(120)의 아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수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수조(60)는 수도꼭지(20)를 통해 공급되고 사용자가 사용한 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배수구에 설치된 걸름망에 의해 걸러져 물만이 저장된다.
상기 중수조(6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중수조(60)의 내부에 저장된 중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80)와 중수조(60)에 저장된 중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센서(70)는 중수조(60)에 저장된 중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중수가 중수조(60)의 상단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위가 소정의 높이가 되면 배출펌프(80)를 구동시켜 중수가 배출되게 한다.
상기 배출펌프(80)의 배출구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호스는 본체(10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중수배출꼭지(6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수배출꼭지(61)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중수조의 중수를 공급받는 장소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배출펌프(80)에 연결된 호스를 화단이나 운동장까지 연장시킬 경우 그 단부에 스프링클러(90)를 설치하여 중수를 고르게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중수조(60)에 저장된 중수를 화단의 화초나 나무에 급수하거나 운동자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는 상기 스프링클러(90)를 설치하여 물이 고르게 분사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중수조(60)의 상방 일측에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수조(60)에 저장된 중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패방지기(4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패방지기(45)는 중수에 오존(ozone)을 공급하여 중수 중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존발생기나 중수 중에 약품을 투입하여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약품투입 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오존발생기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패방지기(4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수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탱크(50)와 상기 약품탱크(50)에 저장된 약품을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정량펌프(40)로 구성된다.
상기 약품탱크(50)에 저장된 부패 방지용 약품은 요오드(iodine)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오드 등과 같은 약품은 식물이나 동물에게 무해하되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를 과다하게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적당한 양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정량펌프(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량펌프(40)의 구동은 급수대를 사용시 중수조(60)에 저장되는 중수의 양을 관찰하여 저장되는 중수의 양에 적당한 양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며, 하나의 방법으로 저장되는 중수의 수위를 수위센서(70)로 감지하여 소정 수위가 되면 정량펌프(40)가 구동되게 하여 요오드가 공급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급수대의 입수관(10)에는 누수차단기(30)를 더 설치한다.
상기 누수차단기(30)는 수도꼭지(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여 물이 소정시간 이상 동안 지속적으로 배출될 경우 강제적으로 유로를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누수차단기(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고 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191903호로 개시되어 있는 누수차단기나 여타의 누수 차단기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주제어보드(2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주제어보드(200)에 구성된 제어회로에 의해 배출펌프(80)와 정량펌프(40)를 제어하여 중수 배출 및 부패 장지용 약품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보드(200)에는 제어스위치(210)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제어스위치는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주제어보드에는 표시창이 연결되어 제어스위치(210)에 의해 제어되는 각 모터의 구동제어 시간이나 구동 횟수 등을 확인 할 수 있게 하였다.
도 5에는 주 제어보드(200)에 구성된 배출펌프(80)와 정량펌프(40) 및 후술하는 누수차단기(3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나, 이러한 제어회로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어회로로서 도 4에 도시한 회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는 한번 사용한 물을 중수조에 저장하여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또는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의 소정 수위 이상일 때 화단이나 운동장 등 소정의 장소 자동으로 제공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건조한 날씨에도 학교 운동장이나 광장에 모래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에 상수도가 아닌 중수를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수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된 중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깨끗한 중수를 공급할 수 있고, 중수가 부패함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누수차단기를 설치함으로서 수도꼭지가 개방된 상태에서 잠기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의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에 있어서 중수 재활용 시스템 및 누수방지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수관 20 : 수도꼭지 30 : 누수차단기
40 : 정량펌프 45 : 부패방지기 50 : 약품탱크
60 : 중수조 61 : 중수배출꼭지 70 : 수위센서
80 : 배출펌프 90 : 스프링쿨러
100 : 본체 110 : 뚜껑 120 : 배수구
130 : 이물질모음통 140 : 여과장치
200 : 주제어보드 210 : 제어스위치 220 : 표시창

Claims (5)

  1. 스테인리스를 절곡하여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입수관에 연결된 수도꼭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도꼭지로부터 배출되어 사용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급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수가 저장되는 중수조와 ;
    상기 중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배출하는 배출펌프와 ;
    상기 중수조에 저장되는 중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수위센서와 ;
    상기 중수조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중수조의 내부에 소독약품을 공급함으로서 중수조에 저장된 중수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패방지기 및 ;
    상기 각 구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방지기는 중수조 내에 저장된 중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방지기는 중수조 내에 저장된 중수에 공급되는 부패방지용 요오드가 저장되는 약품탱크와 ;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수중에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정량펌프 및 ;
    상기 중수조에 저장되는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정량펌프를 구동시키는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
  4.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에 설치된 배수관에는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에는 스프링클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누수차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절수제어부와, 중수조에 구비된 배출펌프와 정량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수제어부를 구비한 주제어보드와 ;
    상기 주제어보드에 제어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어스위치와 ;
    제어신호의 입력 상태 및 각 구동수단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 재활용 가능한 급수대.
KR1020050005136A 2005-01-19 2005-01-19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KR10049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36A KR100495147B1 (ko) 2005-01-19 2005-01-19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36A KR100495147B1 (ko) 2005-01-19 2005-01-19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147B1 true KR100495147B1 (ko) 2005-06-16

Family

ID=3730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136A KR100495147B1 (ko) 2005-01-19 2005-01-19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14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9220A1 (en) Grey water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ystem
US5498330A (en) Gray water reclamation system including plural filtration steps
US8377291B2 (en) Graywater systems
US8201581B2 (en) Waste water outlet
CA2779705C (en) System and method of greywater recovery and reuse
US6539962B2 (en) Holding tank cleaning device
US6974536B2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dosing and recirculation chambers within a single tank
KR101343535B1 (ko)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US20150321128A1 (en) Residential Laundry Water Recycling and Irrigation System
KR200484308Y1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밸브절수장치
JPH0819773A (ja) 排水再利用システム
KR10159300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KR100495147B1 (ko) 중수 재활용 시스템을 구비한 급수대
US5575908A (en) Sewer system water purifier
KR20180122061A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US20130118969A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BOD reduction apparatus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JP5444074B2 (ja) 洗濯機置台
US20030222033A1 (en) Sanitation system
KR100776711B1 (ko)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KR101357079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연결소켓
JP3012638U (ja) 排出汚れの自動分解処理装置
KR101943594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