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711B1 -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711B1
KR100776711B1 KR1020060131651A KR20060131651A KR100776711B1 KR 100776711 B1 KR100776711 B1 KR 100776711B1 KR 1020060131651 A KR1020060131651 A KR 1020060131651A KR 20060131651 A KR20060131651 A KR 20060131651A KR 100776711 B1 KR100776711 B1 KR 10077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ewage
water
purified water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미숙
Original Assignee
이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은 filed Critical 이상은
Priority to KR102006013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활 및 공장 등의 오수를 포집하는 오수포집조와; 상기 오수포집조의 오수를 순차적으로 미생물 등으로 처리하여 정화하는 오수처리조로 이루어진 오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시스템에서 처리된 정화수를 오수처리조와 연결된 오수정화장치로 공급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오수처리조로 재공급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오수처리시스템의 마지막 공정에서 정화 처리된 정화수를 처리탱크 내부로 공급하여 침전된 모래를 모래상승스크류로써 상부로 반복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내고, 슬러지가 걸려진 세정수는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탱크 내부로 재공하여 사용하게 되고, 슬러지가 덜 걸러진 원수는 오수정화시스템으로 재공급시켜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간편하게 걸러 내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오수, 모래, 세정수

Description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sand using dirt water purifier apparatus of dirt water treat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주입부재의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를 구성하는 모래세척부재의 동작상태 블럭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처리시스템 5 : 오수처리조
10 : 오수정화장치 20 : 정화수저장탱크
30 : 정화수유입통 33 : 정화수유입공
34 : 모래저장통 36 : 하부받침대
38 : 모래교체공 39 : 차단플랜지
40 : 회전베어링 42 : 모래상승스크류
43 : 브라켓 44 : 모래상승관
45 : 모래압력조절판 45a : 물배출공
50 : 모래평탕부재 52 : 고정부
54 : 평탄날개 60 : 원수넘침부
62 : 원수수용부 62a : 수용공간
64 : 원수리턴라인 70 : 공기주입부재
72 : 끼움공 74 : 공기주입관
76 : 콤프레셔 80 : 세정수배출부재
82 : 내측모래배출방지판 83 : 외측모래배출방지판
84 : 세정수배출공 85 : 세정수수용부
86 : 세정수보관탱크 90 : 모래세척부재
92 : 상부뚜껑 94 : 순환펌프
96 : 연결파이프 98 : 연결소켓
100 : 분사노즐 110 : 상측수위센서
120 : 하측수위센서 130 : 콘트롤밸브
140 : 제어부 200 : 상부커버
210 : 모래모임통 221 : 끼움공
300 : 공기공급부재 310 : 상부배출판
320 : 하부포집관 340 : 공기공급호스
A : 침전모래상승수단 B : 원수재순환수단
본 발명은 생활오수 및 공장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수처리시스템의 마지막 공정에서 순차적으로 정화 처리된 정화수를 처리탱크 내부로 공급받아 내부에 채워진 모래를 스크류로써 상부로 폭기시킴으로써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내고, 슬러지가 걸려진 세정수는 외부로 배출시켜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되고, 슬러지가 덜 걸러진 정화수(이하에서는 '원수'라 칭함)를 오수정화시스템으로 재순환시켜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정화시스템은 각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 되는 생활오수 및 공장 오수 등을 포집하여 이에 약품처리, 미생물처리 등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오수정화시스템에서 처리된 정화수에는 부유물 등의 슬러지가 포 함되어 있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처리탱크 내부에 적정량의 모래를 채운 다음, 이에 오수정화시스템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상부에서 유입시키면, 정화수는 모래를 통과하면서 처리탱크 하부로 배출되어 처리되고,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등의 슬러지가 모래 상부에 쌓이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모래를 자주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비용과 인건비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수처리시스템의 마지막 공정에서 정화 처리된 정화수를 처리탱크 내부로 공급받아 내부의 모래를 스크류로써 상부로 폭기시킴으로써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내고, 슬러지가 걸려진 세정수는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슬러지가 덜 걸러진 원수를 오수정화시스템으로 재순환시켜 처리하도록 구성한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생활 및 공장 등의 오수를 포집하는 오수포집조와; 상기 오수포집조의 오수를 순차적으로 약품, 미생물 등으로 처리하여 정화하는 오수처리조로 이루어진 오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시스템에서 처리된 정화수를 오수처리조와 연결된 오수정화장치로 공급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오수처리조로 재공급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상기 오수처리조로부터 공급받은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정화수저장탱크; 상기 정화수저장탱크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정화수가 유입되고, 내부에 적정량의 모래가 저장되는 정화수처리탱크; 상기 정화수처리탱크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영역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구비되어 침전된 모래를 상승시키기 위한 침전모래상승수단; 상기 정화수처리탱크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고, 슬러지와 원수를 오수처리조로 배출시켜 재순환시키기 위한 원수재순환수단; 상기 정화수처리탱크 내측과 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정화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정수배출부재; 및 상기 원수재순환수단 상부 영역과 상기 세정수배출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침전모래상승수단으로써 상승된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모래세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처리시스템(1)은 생활오수 및 공장폐수 등을 포집하는 오수포집조(3)와; 오수포집조(3)의 오수를 순차적으로 미생물 등으로 처리하여 정화하는 오수처리조(5)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처리조(5)에서 처리된 정화수는 오수처리조(5)와 연결된 오수정화장치(10)로 공급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원수를 오수처리시스템(1)의 오수처리조(5)로 재공급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 오수처리시스템(1)의 오수포집조(3)와 오수처리조(5)는 지하에 구비되 고, 오수정화장치(10)는 적정 높이로 지상에 설치되어 있어 오수처리조(5)의 정화수를 오수정화장치(10)로 공급시 펌프(미도시)로써 공급하게 되고, 오수정화장치(10)의 원수는 오수처리조(5)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수정화장치(1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처리조(5)에서 공급받은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정화수저장탱크(20)와; 정화수저장탱크(2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정화수가 유입되고, 내부에 적정량의 모래가 저장되는 정화수처리탱크(30)와; 정화수처리탱크(30)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영역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구비되어 침전된 모래를 상승시키기 위한 침전모래상승수단(A)과; 정화수처리탱크(3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고, 슬러지와 원수를 오수처리조(5)로 배출시켜 재순환시키기 위한 원수재순환수단(B)과;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 내측과 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정화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정수배출부재(50)와;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 상부 영역과 세정수배출부재(50) 사이에 구비되어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모래세척부재(90)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수저장탱크(20)는 오수처리조(5)에 연결되어 정화수가 공급되는 정화수유입구(22)와; 정화수처리탱크(30) 내부로 정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24)가 각각 구비되고, 정화수유입구(22)에는 유입파이프(23)와 배출구(25)에는 배출파이프(26)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는 정화수저장탱크(20)로부터 정화수가 유입되는 정화수유입통(32)과; 정화수유입통(32)의 상부 영역에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되고, 하 부 영역에는 정화수가 유입되는 정화수유입공(33)이 형성되며, 적정량의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저장통(34)과; 정화수유입통(32)과 모래저장통(34) 하부에 구비된 하부받침대(36)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래저장통(34) 하부에는 모래를 교체하기 위한 모래교체공(38)이 관통 형성되고, 이 모래교체공(38)은 차단플랜지(39)가 볼트로써 체결 고정되어 차단된다.
상기 침전모래상승수단(A)은 모래저장통(34)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회전베어링(40)과; 회전베어링(4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부 영역이 모래세척부재(90)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된 모래상승스크류(42)와; 모래상승스크류(42)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의 외주연이 삽입되어 위치되고, 모래저장통(34) 내부에 브라켓(43)으로써 수직으로 고정된 모래상승관(44)과; 모래상승스크류(42) 상단 외경에 연결되고, 모래세척부재(90)에 장착된 저속모터(46)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 영역에는 상승된 모래를 평탄화시키기 위한 모래평탄부재(50)가 축설된다.
상기 모래평탄부재(50)는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에 외경에 축설되고, 중앙 영역에 구비된 고정부(52)와; 고정부(52)의 외주연에 구비된 평탄날개(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래상승관(44) 하부 영역에는 모래압력조절판(45)을 구비하여 침전되는 모래가 모래저장통(34) 바닥면으로 서서히 침전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모래압력조절판(45)에는 정화수가 고이지 않고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의 물배출공(45a)이 형성된다.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은 정화수처리탱크(30)의 모래저장통(34) 상단 둘레부에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원수넘침부(60)와; 원수물넘침부(60) 외주연의 모래저장통(34)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넘친 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2a)을 갖는 원수수용부(62)와; 원수수용부(62)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오수처리조(5)로 공급하기 위한 원수리턴라인(64)과; 원수수용부(62)와 모래저장통(34)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모래저장통(34) 내부의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위한 공기주입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주입부재(70)는 모래저장통(34)와 원수수용부(62)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72)과; 끼움공(7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공기주입관(74)과; 공기주입관(74)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콤프레셔(76)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주입관(74)의 선단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공기배출노즐(75)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세정수배출부재(80)는 침전모래상승수단(A)의 모래상승관(44) 중앙 영역에 고정되고,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과;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모래저장통(3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구비된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과;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 외측의 모래저장통(34)에 관통 형성되어 세정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세정수배출공(84)과; 세정수배출공(84) 외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세정수가 모여지는 세정수수용부(85)와; 세정수수용 부(85) 하부에 연결되어 세정수가 보관되는 세정수보관탱크(86)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래세척부재(90)는 원수수용부(62)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뚜껑(92)과; 상부뚜껑(92) 상부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 순환펌프(94)와; 세정수보관탱크(86)와 순환펌프(94) 사이에 연결된 연결파이프(96)와; 순환펌프(94)에 연결되고, 상부뚜껑(92)에 수직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연결소켓(98)과; 연결소켓(98)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로 물을 분사하여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분사노즐(1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의 원수넘침부(60) 상단부에는 상측수위센서(110)를 구비하고, 원수넘침부(60) 하부로 적정 간격을 두고 모래저장통(34)에는 하측수위센서(120)를 구비하며, 모래세척부재(90)의 연결파이프(96)에는 콘크롤밸브(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측수위센서(110), 하측수위센서(120) 및 콘트롤밸브(130)는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40)의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즉, 원수가 상측수위센서(110)에 도달되면 콘크롤밸브(130)가 더 열리고, 하측수위센서(120)에 도달하면, 콘트롤밸브(130)가 덜 열리도록 구성하게 되어 원수 유입량과 세정수 배출량이 조절됨에 따라 세정된 물과 모래를 세척한 물이 원수리턴라인(64)을 따라 오수처리조(5)로 리턴된다.
그리고, 상기한 콘트롤밸브(130)는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7의 오수정화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전모래상승수단(A)을 구성하는 모래상승관(44) 상부에 상부커버(200)를 삽입시켜 모래상승관(44)을 차단하게 되고, 상부커버(200) 상부에는 모래가 모일 수 있도록 모래모임통(210)을 고정하되,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중앙 영역에는 끼움공(2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모래상승관(44)의 내부와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에 공기공급부재(230)를 구비하여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켜 모래와 원수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부재(300)는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끼움공(221)에 상부로 돌출되고,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배출관(310)과; 상부배출관(310)과 일체로 형성되고, 모래상승관(44)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된 하부포집관(320)과; 하부포집관(320)에 연결되고, 외부의 콤프레셔(76)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3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콤프레셔(76)는 공기주입부재(300)의 콤프레셔(76)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콤프레셔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모래세척부재(90)를 구성하는 상부뚜껑(92) 상부에는 저속모터(400)가 구비되고, 저속모터(400)에는 수직을 유지하여 수직연결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수직연결축(410) 외주연에는 단부가 공기공급부재(300)의 상부커버(200)에 근접되도록 모래평탄부재(420)가 축설된다.
상기 모래평탄부재(420)는 수직연결축(410) 상부에 외경에 축설되고, 중앙 영역에 구비된 고정부(430)와; 고정부(430)의 외주연에 구비된 평탄날개(4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오수처 리시스템(1)은 생활 및 공장 등의 오수를 오수포집조(3)로 포집한 다음, 순차적으로 약품, 미생물 등의 오수처리조(5)를 거치면서 오수가 정화된다.
이와 같이 오수처리조(5)에서 처리된 정화수는 펌프(미도시)로써 오수정화장치(10)로 공급되어 정화수가 처리되는 것이다.
이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오수처리조(5)에서 펌프로써 오수정화장치(10)를 구성하는 정화수저장탱크(20)의 정화수유입구(22)를 통하여 정화수가 유입되고, 정화수처리탱크(30)의 배출구(24)를 통하여 정화수처리탱크(3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정화수처리탱크(30)를 구성하는 정화수유입통(32) 내부로 공급된 정화수는 정화수유입공(32)을 통하여 모래저장통(34) 내부로 유입되어 모래저장통(34) 내부의 모래와 혼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침전모래상승수단을 구성하는 저속모터(46)를 동작시키면, 저속모터(46)가 저속으로 동작 된다. 이에 따라 모래저장통(34) 내부에 브라켓(43)으로써 수직으로 고정된 모래상승관(44) 내부에 위치되고, 모래저장통(34) 바닥면의 베어링(40)에 하단이 축설되고, 상부 영역이 모래세척부재(90)의 상부뚜껑(9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모래상승스크류(42)가 회전하게 되어 모래저장통(34) 하부에 침전된 모래와 정화수가 모래상승스크류(42)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모래상승관(44) 상부로 배출되어 모래는 자체 무게에 의하여 서서히 침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에 외경에 고정부(52)로써 고정된 모래평탄부재(50)가 저속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고정부(52) 외주연의 평탄날개(54)에 의해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 영역에 상승된 모래가 평탄화되어 쌓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래상승관(44) 하부 영역에는 모래압력조절판(45)가 구비되어 있어 침전되는 모래가 부딪히면서 모래저장통(34)의 바닥면으로 서서히 침전된다. 그리고, 모래압력조절판(45)에는 물 배출공(45a)이 형성되어 정화수의 상승시 배출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침전모래상승수단에 의해 정화수와 모래가 상승하고, 침전되는 반복적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모래에 혼합된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걸러져 정화된 세정수는, 세정수배출부재(80)를 구성하는 모래상승관(44) 중앙 영역의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과 모래저장통(3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의 모래저장통(34) 상에 관통 형성된 세정수배출공(84)을 통하여 세정수배출공(84) 외측면의 세정수수용부(85)로 모여져 세정수수용부(85) 하부의 세정수보관탱크(86)로 저장된다.
이때, 세정수의 배출시 모래는 자체의 중량에 의해 모래상승관(44) 중앙 영역의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과 모래저장통(3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구비된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에 차단되어 세정수배출공(84)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세정수배출부재(80)의 세정수보관탱크(86)에 보관중인 세정수는 모래세척부재(90)로 재공급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부뚜껑(92) 상부의 순환펌프(94)를 동작시켜 세정수보관탱크(86)와 순환펌프(94) 사이에 연결된 연결파이프(96)를 통해 세정수보관탱크(86) 내부의 세정 수를 펌핑하여 상부뚜껑(92)에 수직으로 삽입 고정된 연결소켓(98)과 분사노즐(100)를 통해 모재저장통 내부로 적정압력을로 분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래평탄부재(50), 모래상승스크류(42)의 상부 영역에 묻어 있는 모래와 슬러지 등의 혼합수를 세척시키게 된다.
그리고, 원수재순환수단(B)을 동작시켜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고, 슬러지와 원수를 오수처리조(5)로 배출시켜 재순환시키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주입부재(70)를 구성하는 콤프레셔(76)를 동작시켜 모래저장통(34)와 원수수용부(62) 상부의 끼움공(7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공기주입관(74)을 통하여 콤프레셔(76)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공기주입관(74) 선단의 공기배출노즐(75)을 통하여 공기를 폭기시킴으로써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정화수처리탱크(30)의 모래저장통(34) 상단 둘레부에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원수넘침부(60)를 통하여 원수가 넘치게 되어 모래저장통(34)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원수수용부(62)의 수용공간(62a)으로 원수가 수용된 다음, 원수수용부(62)에 연통되게 구비된 원수리턴라인(64)을 따라 오수처리시스템의 오수처리조(5)로 자연낙하로 공급되어 오수정화장치(10)로 재공급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처리된다.
이때, 원수재순환수단(B)의 원수넘침부(60) 상하부에 상측수위센서(110) 및 하측수위센서(120)가 각각 구비되어 원수가 상측수위센서(110)에 도달되면 콘크롤밸브(130)가 더 열리고, 하측수위센서(120)에 도달하면, 콘트롤밸브(130)가 덜 열 리도록 구성하게 되어 유입량과 세정수 배출량이 조절됨에 따라 세정된 물과 모래를 세척한 물이 원수리턴라인(64)을 따라 오수처리조(5)로 리턴된다. 이러한 콘트롤밸브(130)는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측수위센서(110), 하측수위센서(120) 및 콘트롤밸브(130)는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40)의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측수위센서(110), 하측수위센서(120)에 위치되는 유입량에 따라 콘트롤밸브(1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됨에 따라 전제적으로 유입되는 정화수의 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7의 오수정화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한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침전모래상승수단(A)을 구성하는 모래상승관(44) 상부에 상부커버(200)를 삽입시켜 모래상승관(44)을 차단한 다음, 상부커버(200) 상부에 모래가 모일 수 있도록 모래모임통(210)을 고정한 후,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된 끼움공(221)에 공기공급부재(230)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의 콤프레셔(76)를 동작시켜 콤프레셔(76)와 하부포집관(320) 사이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340)를 통해 공기를 하부포집관(320)로 주입시키게 되면, 하부포집관(320)으로 공급된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모래상승관(44) 하부 모래저장통(34) 바닥면에 모래가 하부포집관(320)과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끼움공(221)에 상부로 돌출되고,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배출관(310)을 통하여 상부로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상기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모래상승스크류(42)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뚜껑(92) 상부에 장착된 저속모터(400)의 동작으로 저속모터(400)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수직연결축(410)의 모래평탄부재(420)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모래모임통(210)으로 상승된 모래를 평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연결축(410)에 고정부(430)로써 축설된 고정부(430)의 외주연에 구비된 평탄날개(440)가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모래평탄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래저장통(34) 하부에는 모래를 교체하기 위한 모래교체공(38)이 관통 형성되고, 이 모래교체공(38)에는 차단플랜지(39)가 볼트로써 체결되어 차단된다. 즉, 차단플랜지(39)의 볼트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차단플랜지(39)를 분리한 후, 모래교체공(38)을 통하여 모래를 간편하게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활 및 공장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수처리시스템의 마지막 공정에서 정화 처리되는 정화수를 처리탱크 내부로 공급하여 침전된 모래를 모래상승스크류로써 상부로 반복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내고, 슬러지가 걸려진 세정수는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탱크 내부로 재공하여 사용하게 되고, 슬러지가 덜 걸러진 원수는 오수정화시스템으로 재공급시켜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간편하게 걸러 내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 요지를 벗어나 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해당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하여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5)

  1. 생활 및 공장 등의 오,폐수를 포집하는 오수포집조와; 상기 오수포집조의 오수를 순차적으로 미생물 등으로 처리하여 정화하는 오수처리조로 이루어진 오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시스템(1)에서 처리된 정화수를 오수처리조(5)와 연결된 오수정화장치(10)로 공급하여 정화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오수처리조(5)로 재공급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정화장치(10)는
    상기 오수처리조(5)로부터 공급받은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정화수저장탱크(20);
    상기 정화수저장탱크(2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정화수가 유입되고, 내부에 적정량의 모래가 저장되는 정화수처리탱크(30);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영역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을 유지하여 축설되어 침전된 모래를 상승시키기 위한 침전모래상승수단(A);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고, 슬러지와 원수를 오수처리조(5)로 배출시켜 재순환시키기 위한 원수재순환수단(B);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 내측과 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정화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정수배출부재(50); 및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 상부 영역과 상기 세정수배출부재(50) 사이에 구비되어 침전모래상승수단으로써 상승된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모래세척부재(9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는
    상기 정화수저장탱크(20)로부터 정화수가 유입되는 정화수유입통(32);
    상기 정화수유입통(32)의 상부 영역에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영역에는 정화수가 유입되는 정화수유입공(33)이 형성되며,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저장통(34); 및
    상기 정화수유입통(32)과 모래저장통(34) 하부에 구비된 하부받침대(3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저장통(34) 하부 영역에는 모래를 교체하기 위한 모래교체공(3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래교체공(38)은 차단플랜지(39)를 볼트로써 체결 고정하여 차단하게 되는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모래상승수단(A)은
    상기 모래저장통(34) 바닥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회전베어링(40);
    상기 회전베어링(4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부 영역이 상기 모래세척부재(90)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된 모래상승스크류(42);
    상기 모래상승스크류(42)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의 외주연이 삽입 위치되고, 상기 모래저장통(34) 내부에 브라켓(43)으로써 수직으로 고정된 모래상승관(44); 및
    상기 모래상승스크류(42) 상단 외경에 연결되고, 모래세척부재(90)에 장착된 저속모터(4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 영역에는 상승된 모래를 평탄화시키기 위한 모래평탄부재(50)를 축설하되,
    상기 모래평탄부재(50)는 모래상승스크류(42) 상부에 외경에 축설되고, 중앙 영역에 구비된 고정부(52); 및
    상기 고정부(52)의 외주연에 구비된 평탄날개(5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상승관(44) 하부 영역에는 다수의 물 배출공(45a)이 형성된 모래압력조절판(45)을 구비하여 침전되는 모래가 모래저장통(34) 바닥면으로 서서히 침전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게 됨과 동시에 정화수가 고이지 않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은
    상기 정화수처리탱크(30)의 모래장통(34) 상단 둘레부에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원수넘침부(60);
    상기 원수물넘침부(60) 외주연의 모래저장통(34)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넘친 원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2a)을 갖는 원수수용부(62);
    상기 원수수용부(62)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오수처리조(5)로 공급하기 위한 원수리턴라인(64); 및
    상기 원수수용부(62)와 모래저장통(34)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모래저장통(34) 내부의 모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위한 공기주입부재(7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재(70)는
    상기 모래저장통(34)와 원수수용부(62)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72);
    상기 끼움공(7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에 공기배출노즐(75)이 결합된 공기주입관(74); 및
    상기 공기주입관(74)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콤프레셔(7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배출부재(80)는
    상기 침전모래상승수단(A)의 모래상승관(44) 중앙 영역에 고정되고,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
    상기 내측모래배출방지판(82)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모래저장통(34)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구비된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
    상기 외측모래배출방지판(83) 외측의 모래저장통(34)에 관통 형성되어 세정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세정수배출공(84);
    상기 세정수배출공(84) 외측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세정수가 모여지는 세정수수용부(85); 및
    상기 세정수수용부(85) 하부에 연결되어 세정수가 보관되는 세정수보관탱크(8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 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세척부재(90)는
    상기 원수수용부(62)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뚜껑(92);
    상기 상부뚜껑(92) 상부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 순환펌프(94);
    상기 세정수보관탱크(86)와 순환펌프(94) 사이에 연결된 연결파이프(96);
    상기 순환펌프(94)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뚜껑(92)에 수직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연결소켓(98); 및
    상기 연결소켓(98)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로 물을 분사하여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분사노즐(1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재순환수단(B)의 원수넘침부(60) 상단부에는 상측수위센서(110)를 설치하고,
    상기 원수넘침부(60) 하부로 적정 간격을 두고 모래저장통(34)에는 하측수위센서(120)를 설치하며,
    상기 모래세척부재(90)의 연결파이프(96)에는 콘크롤밸브(130)를 설치하고,
    상기 상측수위센서(110), 상기 하측수위센서(120) 및 상기 콘트롤밸브(130)는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모래상승수단(A)은
    상기 모래상승관(44) 상부에 삽입되어 모래상승관(44)을 차단하게 되는 상부커버(200);
    상기 상부커버(200)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에 모래가 모이게 되는 모래모임통(210);
    상기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끼움공(221); 및
    상기 모래상승관(44)의 내부와 상부커버(200) 및 모래모임통(21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켜 모래와 원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공기공급부재(300);
    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재(300)는
    상기 상부커버(200)와 모래모임통(210)의 끼움공(221)에 상부로 돌출되고,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배출관(310);
    상기 상부배출관(3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모래상승관(44)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된 하부포집관(320); 및
    상기 하부포집관(320)과 콤프레셔(76)에 연결되어 하부포집관(320)으로 공기 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호스(3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뚜껑(92) 상부에는 저속모터(400)가 구비되고,
    상기 저속모터(400)에는 수직을 유지하여 수직연결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수직연결축(410) 외주연에는 모래평탄부재(420)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KR1020060131651A 2006-12-21 2006-12-21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KR10077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51A KR100776711B1 (ko) 2006-12-21 2006-12-21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51A KR100776711B1 (ko) 2006-12-21 2006-12-21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711B1 true KR100776711B1 (ko) 2007-11-28

Family

ID=3907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651A KR100776711B1 (ko) 2006-12-21 2006-12-21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79B1 (ko) 2008-02-14 2008-09-24 유림엔마텍(주) 수 처리기의 상향류식 여과 및 역세 방법 및 그 장치
CN109467218A (zh) * 2018-11-30 2019-03-15 浙江科技学院 一种污水加药循环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895B2 (ja) 1991-12-06 1996-06-26 日本エンバイロ工業株式会社 砂濾過機における逆洗時の砂層のチャンネリング防止方法
JPH08215509A (ja) * 1995-02-15 1996-08-27 Ishigaki Mech Ind Co 移動ろ床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
JP2001205005A (ja) 2000-01-24 2001-07-31 Hokusei Kiso Kk エンドレスサンド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895B2 (ja) 1991-12-06 1996-06-26 日本エンバイロ工業株式会社 砂濾過機における逆洗時の砂層のチャンネリング防止方法
JPH08215509A (ja) * 1995-02-15 1996-08-27 Ishigaki Mech Ind Co 移動ろ床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
JP2001205005A (ja) 2000-01-24 2001-07-31 Hokusei Kiso Kk エンドレスサンドフィル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79B1 (ko) 2008-02-14 2008-09-24 유림엔마텍(주) 수 처리기의 상향류식 여과 및 역세 방법 및 그 장치
CN109467218A (zh) * 2018-11-30 2019-03-15 浙江科技学院 一种污水加药循环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139B2 (ja) 井戸洗浄装置
KR920007874B1 (ko) 정수장치
KR20160035754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757205B1 (ko)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KR100776711B1 (ko) 오수처리시스템의 모래를 이용한 오수정화장치
CN116391666A (zh) 一种鱼缸水循环鱼便过滤装置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CN112279418B (zh) 一种金属门加工厂污水处理设备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41710B1 (ko) 배치형 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CN108178455A (zh) 一种污水多级处理设备
RU1752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529598B1 (ko) 응집식 오폐수 정화장치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RU166595U1 (ru) Стан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20130013129A (ko) 진공탱크를 이용한 탈수 및 침전이 포함된 준설공법
KR100523853B1 (ko)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KR101693204B1 (ko)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KR100921785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20100100318A (ko) 저수조용 교반장치
KR101693203B1 (ko)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