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04B1 -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 Google Patents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04B1
KR101693204B1 KR1020160118140A KR20160118140A KR101693204B1 KR 101693204 B1 KR101693204 B1 KR 101693204B1 KR 1020160118140 A KR1020160118140 A KR 1020160118140A KR 20160118140 A KR20160118140 A KR 20160118140A KR 101693204 B1 KR101693204 B1 KR 10169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auxiliary suction
ce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다분할 셀 여과조 및 그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분할 셀에서 역세와 여과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다공성 인발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의 인발 특성이 향상되는 다분할 셀 여과조 및 그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Filter tank divided into multi-cell and sewage settling tank having multi-hole pullout device for sludge connected the same}
본 발명은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분할 셀에서 역세와 여과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다공성 인발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의 인발 특성이 향상되는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ㆍ폐수 및 정수 처리장치는 응집 및 침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원수 내의 유기물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며, 이러한 수처리장치를 통해 공장 폐수, 축산물 폐수, 생활하수 등을 정화하고 있다.
도 1에는 수처리장치로써 화학 약품의 처리를 줄이면서도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침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침전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5184호 등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침전장치는 바닥면에 수집 피트(150)가 형성된 침전조(140)를 포함하며, 스크래퍼 장치(130, 132)를 이용하여 침전조(140)의 하부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수집 피트(150)로 집중시킨다.
따라서,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침전조(140) 하부의 경사면으로 가라앉아 침전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맑은 상등수는 위로 부상하여 월류 웨어(160)를 통해 배출구(210)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침전조(140)의 바닥면 중심에 구비된 하나의 수집 피트(150)를 통해서만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기 때문에 광대역 배출이 불가능하며 수집 피트(150)의 막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퇴적 슬러지의 고착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화 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잦은 청소를 수행해야 하며, 슬러지의 부패가 진행됨에 따라 상등수가 오염되고 슬러지의 재부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침전조(140)의 상부에 월류 웨어(160)를 설치하고, 월류 웨어(160) 통해 월류된 상등수를 다시 한번 정화하여 처리수로서 배출할 수 있도록 여과조를 더 설치한다.
이러한 여과조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등록을 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35910호 등이 있으며, 여과조 내에 다수의 필터를 적층하여 상등수를 정화하고, 주기적으로 필터를 자동으로 세척(역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여과조는 하나의 여과조 내에서 역세 또는 여과 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진행된다. 따라서, 역세가 이루어지는 동안은 필연적으로 여과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하류측인 여과조에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상류측의 침전조(140)에서도 상등수를 월류하여 하류로 흘려보내는 작업을 중단해야 하므로 하수 여과 시스템 전체가 작동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518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359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분할 셀에서 역세와 여과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다공성 인발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의 인발 특성이 향상되는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는 침전조의 상등수를 공급받아 추가로 여과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다수개의 셀(cell)로 구획하도록 상기 여과조를 가로질러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된 정화필터 모듈과;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 모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정화필터 모듈을 향해 역세수(back-wash water)를 분사하는 역세관; 및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역세관에 독립적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조 중 격벽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셀마다 역세 단계 또는 여과 단계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셀의 측부에는 각각 상기 셀의 상부에서 월류된 역세수를 수용하는 역세수 수용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펌프는 상기 정화필터 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셀의 하부에 저장된 처리수 및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역세관으로 공급하는 자흡식 흡입펌프(Self- Priming Pump)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는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 및 배출되는 다공성 인발구와; 상기 다공성 인발구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스크래퍼;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인발구는 상면이 상기 스크래퍼에 접촉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면 중심부에는 중심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 흡입공의 주변부에는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침전판과; 일단부는 상기 침전판의 저면에서 상기 중심 흡입공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중심 흡입 배관; 및 일단부는 상기 침전판의 저면에서 상기 보조 흡입공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심 흡입 배관에 연결되는 보조 흡입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침전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은 상기 중심 흡입공을 중심점으로 하여 방사상(radial) 패턴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되, 각각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의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조 흡입공을 향해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중심 흡입 배관과 연결되는 상기 보조 흡입 배관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시 개방되는 전동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 배관은 다수의 분기관을 통해 상기 방사상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들 중 상기 중심 흡입공을 시작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들에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동밸브는 상기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들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보조 흡입 배관의 하류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여과조에 격벽을 설치하여 완전 독립된 다분할 셀을 구비하고, 각각의 셀에서 여과 또는 역세 단계를 선택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다분할 셀에서 역세와 여과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 흡입공 및 다수의 보조 흡입공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침전판을 구비한 다공성 인발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의 인발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슬러지의 퇴적, 고화, 부패 및 재부상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분할된 셀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다공성 인발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다공성 인발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4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예로 후술하는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300)를 비롯한 다양한 침전조로부터 상등수를 공급받아 정화필터 모듈에 의해 추가로 여과시키는 것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4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본 발명은 하나의 여과조(410) 내부를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상등수를 정화하는 다수의 셀(cell)을 제공한다.
예컨대, 하나의 여과조(410)를 4개의 셀(제1 셀 내지 제4 셀)로 구획하여 각각의 셀을 독립된 정화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격벽(420)을 이용하여 여과조(410)를 4등분하여 서로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각각의 셀 별로 역세(예: 제1 셀) 또는 여과(예: 제2 셀 내지 제4 셀)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각 셀 별로 역세 또는 여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침전조(310)에서 여과조(410)로 상등수를 공급하는 제1 월류 웨어(W1)는 물론, 여과조(410)에서 역세수 수용조(도 3의 411 참조)로 역세수를 배출하는 제2 월류 웨어(W2) 역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제1 월류 웨어(W1) 및 제2 월류 웨어(W2)의 분리 또는 구획은 격벽(4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격벽(4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외 수문(water gate)나 워터 밸브 등(미도시)을 이용하여 단속적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셀에는 정화필터 모듈(도 3의 430 참조)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흡입펌프(4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지만, 셀의 수보다 적은 개수(예: 1개)의 흡입펌프(450)와 각각의 셀을 배관 및 제어밸브(미도시)로 연결하여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셀 여과조(400)는 여과조(410)와, 격벽(420)과, 정화필터 모듈(430)과, 역세관(440) 및 흡입펌프(4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격벽(420)에 의해 여과조(410) 내부가 여러 개로 분할된 각각의 셀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410)는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 상단부에는 제1 월류 웨어(W1)가 구비된다. 제1 월류 웨어(W1)는 침전조(3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월류된 상등수를 여과조(410) 내부로 투입한다.
나아가, 다수개의 셀의 측부에는 각각 셀의 상부에서 월류된 역세수를 수용하는 역세수 수용조(411)가 설치되어 있다. 역세수 수용조(411)는 제2 월류 웨어(W2)를 통해 셀의 상부를 넘어온 역세수 등을 일시 수용하였다가 배수구(412)를 통해 배출한다.
이러한 역세수 수용조(411)는 장시간의 여과로 셀 내부에 설치된 정화필터 모듈(430)이 막혀 상등수가 월류하는 경우는 물론, 정화필터 모듈(430)의 하부에서 역세관(440)을 통해 역세수를 분사하는 경우 역세수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한다.
역세수 수용조(411)를 구비함에 따라 다분할 된 셀들 중 특정된 셀에서 역세가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역세가 이루어지는 셀에 공급되던 상등수를 역세수 수용조(411)에서 수용하기 때문에, 그 상류측 즉, 침전조(310)에서는 계속해서 동일한 유량을 배출하고, 하수 처리 공정을 연속해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격벽(420)은 하나의 여과조(410)를 다수개의 셀(cell)로 구획하도록 여과조(41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조(410)를 구획하여 4개의 셀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2개의 격벽(420)을 여과조(410)에 가로질러 설치한다.
정화필터 모듈(430)은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등수를 추가로 정화하는 것으로, 본 출원인의 특허발명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35910호에서 제안한 필터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정화필터 모듈(430)은 하측부터 고정 스크린(431), 부직포 여재(432) 및 스펀지 여재(433)를 포함하여, 침전조(31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된 고정 스크린(431) 위에 부직포 여재(432) 및 스펀지 여재(433)가 순차로 적층된 필터를 제공한다.
이때, 고정 스크린(431)은 상등수가 통과되도록 견고한 재질의 그물망이 사용되고, 그 위에 놓인 부직포 여재(432)는 폴리에스터 재질을 사용하여 압력과 마찰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고, 밀도 구배를 가진 필터 구조로써 유입부의 밀도를 작게 하고, 유출부의 밀도를 증가시켜 여과 효율을 높인다.
스펀지 여재(433)는 뛰어난 여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필터 셀(구멍)의 크기 및 여과재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여 여과 효율을 높이며, 삼차원 그물코(연쇄 기포) 조직을 갖는 스펀지 필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침전조(310)의 상등수가 제1 월류 웨어(W1)를 통해 월류되어 여과조(410)의 상부로 공급되면, 상측의 스펀지 여재(433)부터 하측의 부직포 여재(432)를 순차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가 이루어진다. 정화된 최종 처리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펌프(4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역세관(440)은 정화필터 모듈(430)을 세척(즉, 역세)시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정화필터 모듈(430)의 하부에서 상측에 배치된 정화필터 모듈(430)을 향해 역세수(back-wash water)를 분사한다.
이러한 역세관(440)은 바람직하게 정화조의 내부 중심부터 외측까지 연속하여 설치되어 정화필터 모듈(430) 전체 면적을 향해 역세수를 분사하며, 일정 간격마다 상측을 바라보는 노즐이 다수개 구비된다.
흡입펌프(450)는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역세관(440)에 독립적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 2에서 일 예로 예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셀에 각각 설치되어 다수개 구비된다.
물론, 적은 개수의 흡입펌프(4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셀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흡입펌프(450)와 각 셀을 배관 및 제어밸브로 연결하여 제어밸브의 개폐 조절을 통해 분할된 다수의 셀 중 특정한 셀과 연결된다.
흡입펌프(450)에 의해 역세수를 공급받는 역세관(440)은 역세가 필요한 셀에 설치된 것으로, 예컨대 4개의 셀 중 제1 셀에 역세수가 공급되면 제1 셀은 역세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제2 셀 내지 제4 셀은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펌프(450)는 설정된 주기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될 수 있다. 물론, 그 외 정화필터 모듈(43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수위 센서(S)가 상등수를 감지시 작동될 수도 있다.
수위 센서(S)가 상등수를 감지하는 경우는 정화필터 모듈(430)이 막혀 상등수가 하측으로 방류되지 않고 정체된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 자동으로 정화필터 모듈(430)을 역세한다.
다만, 상술한 흡입펌프(450)는 정화필터 모듈(430)을 통과하여 셀(즉, 여과조)의 하부에 일시 저장된 처리수 및 외기를 흡입하여 역세관(440)으로 공급하는 자흡식 흡입펌프(Self- Priming Pump)(4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화된 최종 처리수를 정화필터 모듈(430)의 역세에 재활용함은 물론, 자흡식 흡입펌프(450)에 의해 처리수와 함께 흡입된 외기에 의해 형성된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역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위와 같은 흡입펌프(450)는 최종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의 기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처리수 배출 펌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펌프로 2가지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흡입펌프(450)의 흡입 측 배관은 처리수가 일시 저장된 셀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고, 흡입펌프(450)의 배출 측 배관은 리턴 밸브(V-R) 또는 배출 밸브(V-O)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됨에 따라 배출 경로가 조절됨으로써 역세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3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침전조(3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분할 셀 여과조(40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여과조(400)에 상등수를 공급하는 침전조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300)는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이나 미생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침전시켜 윗부분의 맑은 상등수(상징수)만을 배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침전조(310)와, 하수에 포함된 플록(FLOC) 등이 침전 및 인발되는 다공성 인발구(320)와, 슬러지(즉, 침전된 플록 등)를 긁어 밀어내는 스크래퍼(330)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장치(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공성 인발구(320)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종래의 침전조(도 1의 140)는 바닥면 자체를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중심부의 수집 피트(도 1의 150)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한 것과 차이가 있다.
즉, 종래에는 경사진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스크래퍼(도 1의 130, 132)로 밀어내어 1개의 수집 피트(도 1의 150)를 통해 수동적으로 배출함에 반해, 본 발명은 슬러지가 인발되는 흡입공이 다수 형성된 다공성 인발구(320)를 통해 여러 개소에서 능동적으로 슬러지를 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공성 인발구(320)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의 인발 특성이 향상되므로, 장시간 동안 슬러지가 퇴적됨에 따라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슬러지의 부패 및 상층으로의 재부상을 억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침전조(310)는 하수를 일시 저장 및 정체시켜 플록 등을 하부로 침전시키는 것으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31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침전조(310)는 하수를 저장할 수 있기만 하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 또는 사각 통 형상 등이 사용되며, 설계 용량에 따라 그 크기(부피)가 결정된다.
다만, 침전조(310)의 내부 바닥면 형상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경사면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설치되는 다공성 인발구(320)에 플록 등이 침전되므로 바닥면은 편평해도 된다.
다공성 인발구(320)는 침전조(310)에 채워진 하수의 플록 등이 침전되는 판형 부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침전조(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상면에 침전된다. 또한, 침전된 슬러지가 다수의 흡입공(도 5의 321a, 321b 참조)을 통해 인발 즉 배출된다.
이러한 다공성 인발구(320)는 침전조(3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하수의 하중을 견디고 수중 환경에서 부식되지 않도록 일 예로 스테인레스나 표면이 특수 처리(도장 등)된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스크래퍼(330)는 이상과 같은 다공성 인발구(320)의 상면에 설치되어, 다공성 인발구(320)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내고 침전조(31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311)를 향해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크래퍼(33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침전조(3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통상 4개의 스크래퍼(330)가 내측 중심부의 회전축(331)에 연결된다. 회전축(331)은 침전조(3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331)은 감속기(332) 등을 통해 전동모터(333)에 연결되어 있어서 설정된 시간마다 설정된 속도로 축회전이 이루어지며, 회전축(331)에 의해 회전축(331)의 하단에 연결된 스크래퍼(330) 역시 다공성 인발구(320)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밀어낸다.
슬러지 배출장치(340)는 스크래퍼(330)에 의해 배출구(311)로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 처리장치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조(31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311)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슬러지 배출장치(340)는 일 실시예로써 슬러지 펌프(341) 및 농축조(3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러지 펌프(341)는 배관을 통해 배출구(311)에 연결되어 있어서 슬러지를 흡입하고, 농축조(342)는 슬러지 펌프(341)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를 농축 처리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300)의 구성 중 다공성 인발구(320)는 침전판(321)과, 중심 흡입 배관(322)및 보조 흡입 배관(3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침전판(321)은 그 상면에 스크래퍼(330)가 접촉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면 중심부에는 중심 흡입공(32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중심 흡입공(321a)의 주변부에는 보조 흡입공(32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침전판(321)은 침전된 슬러지를 한곳으로 모으기 쉽도록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수에 접하는 노출면 즉, 상면은 침전조(3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5과 같이 침전조(31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침전판(321)의 테두리가 침전조(310)의 내벽에 밀착 및 고정되도록 침전조(310)와 같은 원형으로 제작된 침전판(321)이 사용된다.
또한, 침전판(321)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중심 흡입공(321a)이 1개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침전판(321)에 침전된 슬러지가 중심 흡입공(321a)은 물론 다수의 보조 흡입공(321b)을 통해서도 인발(즉, 배출)된다.
이때, 중심 흡입 배관(322)의 일단부(즉, 상측 개구부)는 침전판(321)의 저면에서 중심 흡입공(321a)에 연결되고, 타단부(즉, 하측 개구부)는 배출구(311)에 연결된다. 구체적인 예로써 중심 흡입 배관(322)의 타단부는 배출구(311)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보조 흡입 배관(323)은 상술한 다수의 보조 흡입공(321b)을 중심 흡입 배관(322)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침전판(321)의 저면에서 보조 흡입공(321b)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심 흡입 배관(3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침전판(321)의 중심 흡입공(321a)으로 유입된 슬러지는 중심 흡입 배관(322)을 통해 직접 배출되고,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는 보조 흡입 배관(323)을 통해 중심 흡입 배관(322)으로 모인 후 배출된다.
다만, 보조 흡입 배관(323) 중 보조 흡입공(321b)에 연결된 상류부는 중심 흡입 배관(322)에 연결된 하류부보다 그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중심 흡입 배관(322)을 통해 보조 흡입 배관(323)에 흡입력이 가해질 때 흡입 압력의 손실이 방지되고 큰 흡입력을 제공한다.
특히, 도 5와 같이, 다공성 인발구(320)의 침전판(321)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은 중심 흡입공(321a)을 중심점으로 하여 방사상(radial) 패턴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되, 각각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심 흡입공(321a)을 길이 방향의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선(L1 내지 L4)상에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이 일렬로 배열되고, 이러한 라인 패턴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우산살과 유사한 패턴을 구성한다.
예컨대, 보조 흡입공(321b)은 침전판(321)의 중심 흡입공(321a)을 기준으로 제1 라인 패턴(L1) 내지 제4 라인 패턴(L4)에 형성되되, 각각의 라인 패턴마다 보조 흡입공(321b)이 4개 형성된다. 이러한 4개의 보조 흡입공(321b)은 중심 흡입공(321a)을 기준으로 양측에 2개씩 형성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다공성 인발구(320)는 분사노즐(324)을 포함한다. 분사노즐(324)은 침전판(321) 중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의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 흡입공(321b)을 향해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노즐(324)은 각각 다수개의 분사공이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서 동시에 여러 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그에 따라 보조 흡입공(321b)에 슬러지가 퇴적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다만, 분사노즐(324)은 중심 흡입공(321a)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흡입공(321b)의 크기(즉, 개구 면적)가 중심 흡입공(321a)보다 작기 때문에 보조 흡입공(321b)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심 흡입공(321a)도 막힘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다공성 인발구(320)는 배관을 개폐하는 전동밸브(325)를 포함한다. 전동밸브(325)는 중심 흡입 배관(322)에 인접한 보조 흡입 배관(323)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며, 분사노즐(324)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시 개방된다.
이때, 보조 흡입 배관(323)은 분기관을 통해 방사상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 중 '중심 흡입공(321a)을 시작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에 동시에 연결된다.
또한, 도 5과 같이 전동밸브(325)는 중심 흡입공(321a)을 시작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보조 흡입 배관(323)의 하류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흡입공(321b)은 침전판(321)의 중심 흡입공(321a)을 기준으로 제1 라인 패턴(L1) 내지 제4 라인 패턴(L4)을 따라 형성하는데, 각각의 라인 패턴(L1 내지 L4)마다 중심 흡입공(321a)의 좌우에 인접하도록 2개의 전동밸브(32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동밸브(325)는 서로 다른 시점에 개방되도록 제어됨으로써, 다공성 인발구(320)의 배출구(311)에 연결된 슬러지 배출장치(340)(구체적으로는 슬러지 펌프(341))로 중심 흡입 배관(322)에 흡입력을 가할 때 인발 특성을 향상시킨다.
즉, 다수의 보조 흡입 배관(323)에 연결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을 모두 동시에 흡입하여 슬러지를 인발하는 경우에는 흡입 압력이 저하되고, 편흡입이 발생함에 반해, 전동밸브(325)가 설치된 구간별로 각각 별도로 흡입이 이루어지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310: 침전조 320: 다공성 인발구
321: 침전판 321a: 중심 흡입공
321b: 보조 흡입공 322: 중심 흡입 배관
323: 보조 흡입 배관 324: 분사노즐
325: 전동밸브 330: 스크래퍼
340: 배출장치
410: 여과조 411: 역세수 수용조
420: 격벽 430: 정화필터 모듈
440: 역세관 450: 흡입펌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다분할 셀 여과조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등수를 공급하는 침전조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셀 여과조는,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여과조(410)와;
    상기 여과조(410)를 다수개의 셀(cell)로 구획하도록 상기 여과조(410)를 가로질러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420)과;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된 정화필터 모듈(430)과;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정화필터 모듈(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정화필터 모듈(430)을 향해 역세수(back-wash water)를 분사하는 역세관(440);
    및 상기 다수개의 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역세관(440)에 독립적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흡입펌프(450)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조(410) 중 격벽(42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셀마다 역세 단계 또는 여과 단계가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침전조는,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311)가 구비되어 있는 침전조(310)와;
    상기 침전조(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 및 배출되는 다공성 인발구(320)와;
    상기 다공성 인발구(3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상기 배출구(311)를 향해 밀어내는 스크래퍼(330); 및
    상기 배출구(311)에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장치(340);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인발구(320)는,
    상면이 상기 스크래퍼(330)에 접촉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면 중심부에는 중심 흡입공(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 흡입공(321a)의 주변부에는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이 형성되어 있는 침전판(321)과;
    일단부는 상기 침전판(321)의 저면에서 상기 중심 흡입공(321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출구(311)에 연결되는 중심 흡입 배관(322); 및
    일단부는 상기 침전판(321)의 저면에서 상기 보조 흡입공(321b)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심 흡입 배관(322)에 연결되는 보조 흡입 배관(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판(321)에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은,
    상기 중심 흡입공(321a)을 중심점으로 하여 방사상(radial) 패턴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되, 각각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의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조 흡입공(321b)을 향해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24); 및
    상기 중심 흡입 배관(322)과 연결되는 상기 보조 흡입 배관(323)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324)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시 개방되는 전동밸브(3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 배관(323)은 다수의 분기관을 통해 상기 방사상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 중 상기 중심 흡입공(321a)을 시작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에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동밸브(325)는 상기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 다수개의 보조 흡입공(321b)들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보조 흡입 배관(323)의 하류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KR1020160118140A 2016-09-13 2016-09-13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KR10169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40A KR101693204B1 (ko) 2016-09-13 2016-09-13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40A KR101693204B1 (ko) 2016-09-13 2016-09-13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04B1 true KR101693204B1 (ko) 2017-01-05

Family

ID=5783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140A KR101693204B1 (ko) 2016-09-13 2016-09-13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0366A (zh) * 2017-11-09 2018-02-09 韩文雅 一种淤泥脱水装置的淤泥桶
CN116789244A (zh) * 2023-05-30 2023-09-22 西安合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锂提取废水系统回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906A (ja) * 2001-04-17 2002-10-22 Kurita Water Ind Ltd 凝集沈殿装置
KR200395184Y1 (ko) 2005-06-22 2005-09-07 최대일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20100029309A (ko) * 2008-09-08 2010-03-17 (주)윈앤윈 슬러지 침전/인발장치
KR101322610B1 (ko) * 2011-07-26 2013-10-29 주식회사 오이코스 수처리용 생물막 여과장치
KR101635910B1 (ko) 2016-02-03 2016-07-04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906A (ja) * 2001-04-17 2002-10-22 Kurita Water Ind Ltd 凝集沈殿装置
KR200395184Y1 (ko) 2005-06-22 2005-09-07 최대일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20100029309A (ko) * 2008-09-08 2010-03-17 (주)윈앤윈 슬러지 침전/인발장치
KR101322610B1 (ko) * 2011-07-26 2013-10-29 주식회사 오이코스 수처리용 생물막 여과장치
KR101635910B1 (ko) 2016-02-03 2016-07-04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여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0366A (zh) * 2017-11-09 2018-02-09 韩文雅 一种淤泥脱水装置的淤泥桶
CN116789244A (zh) * 2023-05-30 2023-09-22 西安合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锂提取废水系统回用装置
CN116789244B (zh) * 2023-05-30 2023-12-29 西安合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锂提取废水系统回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347B (zh) 具有用于防止旁路水用于反洗的旁路水控制的框架型盘式过滤器
KR101860291B1 (ko) 산기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1693204B1 (ko)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US4765889A (en) Moving bridge filter - telescoping floating pot skimmer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CN103239905A (zh) 一种虹吸式无阀滤池
CN211004716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CN208517236U (zh) 一种医疗废水一体化处理系统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4310630B (zh) 油田采出水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7177042A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JPS6216125B2 (ko)
RU166595U1 (ru) Стан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693203B1 (ko)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CN203255995U (zh) 集过滤、气浮与絮凝一体化的水处理装置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CN114906952B (zh) 河流水质提质增效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CN216764493U (zh) 一种去除清水池浮渣及底泥的装置
CN219950631U (zh) 一种污水治理过滤用沉淀池
CN209797717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