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893B1 -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893B1
KR100667893B1 KR1020060102690A KR20060102690A KR100667893B1 KR 100667893 B1 KR100667893 B1 KR 100667893B1 KR 1020060102690 A KR1020060102690 A KR 1020060102690A KR 20060102690 A KR20060102690 A KR 20060102690A KR 100667893 B1 KR100667893 B1 KR 10066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aw water
air
wat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원수저장탱크와; 상단은 상기 원수저장탱크의 하단에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중심에는 원수가 유통되며, 외부 중심측에는 스크류형 허니콤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십자형노즐관이 형성되되 일측면에만 노즐이 형성되고, 노즐에는 고압으로 공기와 에어가 분출되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에어분출관과; 상기 원수저장탱크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분출관 상하부가 내부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고정되되, 에어분출관 하단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에어에 의해 폭기처리되면서 스크류형 허니콤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산화응집시키는 산화조와; 상기 산화조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상기 원수공급저장탱크와 밀폐되고, 상기 산화조 외측면과 내측면에 상하측방향 좌우측으로 유수공을 갖도록 다단으로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의 내외측에는 유수공을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물질을 응집시키는 링형 활성흡착체가 형성되는 고도처리형 응집조와;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가 하부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망체가 형성되고, 망체 상부에는 굵은 여과석이 형성되며, 굵은 여과석 상부에는 모래층이 형성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상단 네 곳에 위치되어 상단과 고도처리형 응집조 외면과 밀착되는 롤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의 에어에 의해 노즐관으로 소독액을 일정압력으로 에어와 함께 분출시키면 서 그 반발력으로 여과조 상단에서 회동되는 소독액조와; 상기 여과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커버에 의해 밀폐되며, 내측중심에는 상기 소독액조의 노즐관이 위치되어 여과조를 통과한 원수를 소독시키고,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소독조를 구비하는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다 좁은 면적의 대지에서 별도의 동력이나 처리비용의 부담없이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고, 소독액조를 장치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소독액이 태양빛 등에 의해 증발되지 않게 하여 물에 투입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적정한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며, 고압의 에어분출로 와류를 형성하여 산화를 촉진시키고, 상기 소독액조를 일일이 손으로 밸브를 작동할 필요없이 에어분출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반대편으로 소독액조와 그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소독액을 소독조 내부에 공급하며, 스크류형 허니콤과 링형 활성흡착체에 의한 활성흡착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장치의 활성흡착성능을 증대하여 미세한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고도정수처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원수저장탱크, 에어분출관, 산화조, 고도처리형 응집조, 여과조, 소독액, 소독조

Description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Water purifying device for tap piped water}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요부절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수정장탱크 11 : 입수관
12 : 에어공급장치 20 : 에어분출관
21 : 십자형노즐관 22 : 노즐
23 : 스크류형 허니콤 30 : 산화조
40 : 고도처리형 응집조 41 : 격벽
42 : 유수공 43 : 링형 활성흡착체
50 : 여과조 51 : 망체
52 : 굵은 여과석 53 : 모래층
60 : 소독액조 61 : 노즐관
62 : 에어공급장치 63,64 : 롤러
70 : 소독조 71 : 토출관
72 : 커버
본 발명은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좁은 면적의 대지에서 별도의 동력이나 처리비용의 부담없이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고, 소독액조를 장치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소독액이 태양빛 등에 의해 증발되지 않게 하여 물에 투입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적정한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며, 고압의 에어분출로 와류를 형성하여 산화를 촉진시키고, 상기 소독액조를 일일이 손으로 밸브를 작동할 필요없이 에어분출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반대편으로 소독액조와 그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소독액을 소독조 내부에 공급하며, 스크류형 허니콤과 링형 활성흡착체에 의한 활성흡착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장치의 활성흡착성능을 증대하여 미세한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고도정수처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우리나라는 환경적인 영향과 기타 많은 물 사용에 따라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은 어느정도 풍부한 강수량을 갖는 기후를 갖 고 있으면서도 이를 활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빗물이나, 이 빗물에 의한 하천등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즉, 정수처리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지만, 정수처리 과정에서 동력 사용에 따른 비용발생을 고려할 때 오히려 경제적인 손해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력이나 정수시 필요한 처리비용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빗물이나 하천물을 정수 처리하는 방법이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수저장시설과 연결되어 있고, 입구에는 폭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중간에는 허니콤이 설치되어 있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내부에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격벽이 상하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에 연결되어 있되 물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여과사에 의해 정수되는 한편 상기 여과사는 하강하다가 상승되어 세척되도록 여과사, 여과안내관, 하면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분배관, 압축공기배출관, 하부에 흡입공이 형성된 한편 상부에 여과사 분배부가 형성된 여과사 부상관과 세척수배출관을 구비하고 있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와 연결되되 장치의 외부에 있는 소독액조와 수동개폐밸브를 매개로 연결된 액적주입식 주입기가 설치되어 있는 소독조로 이루어지는 정수처리장치가 제공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정수처리장치는, 그 시설의 부피와 크기가 일정규모 이상이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대지를 필요로 하며, 상기 소독액조가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상 소독액이 태양빛 등에 의해 증발됨으로써 물에 투입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변화시키게 되어 적정한 소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허니콤 활성흡착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관계상 장치의 활성흡착성능이 떨어짐으로써 미세한 오염 물질이 처리되지 못하여 고도정수처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좁은 면적의 대지에서 별도의 동력이나 처리비용의 부담없이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고, 소독액조를 장치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소독액이 태양빛 등에 의해 증발되지 않게 하여 물에 투입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적정한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며, 고압의 에어분출로 와류를 형성하여 산화를 촉진시키고, 상기 소독액조를 일일이 손으로 밸브를 작동할 필요없이 에어분출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반대편으로 소독액조와 그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소독액을 소독조 내부에 공급하며, 스크류형 허니콤과 링형 활성흡착체에 의한 활성흡착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장치의 활성흡착성능을 증대하여 미세한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고도정수처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원수저장탱크와;
상단은 상기 원수저장탱크의 하단에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 중심에는 원수가 유통되며, 외부 중심측에는 스크류형 허니콤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십자형노즐관이 형성되되 일측면에만 노즐이 형성되고, 노즐에는 고압으로 공기와 에어가 분출되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에어분출관과;
상기 원수저장탱크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분출관 상하부가 내부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고정되되, 에어분출관 하단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에어에 의해 폭기처리되면서 스크류형 허니콤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산화응집시키는 산화조와;
상기 산화조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상기 원수공급저장탱크와 밀폐되고, 상기 산화조 외측면과 내측면에 상하측방향 좌우측으로 유수공을 갖도록 다단으로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의 내외측에는 유수공을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물질을 응집시키는 링형 활성흡착체가 형성되는 고도처리형 응집조와;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가 하부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망체가 형성되고, 망체 상부에는 굵은 여과석이 형성되며, 굵은 여과석 상부에는 모래층이 형성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상단 네 곳에 위치되어 상단과 고도처리형 응집조 외면과 밀착되는 롤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의 에어에 의해 노즐관으로 소독액을 일정압력으로 에어와 함께 분출시키면서 그 반발력으로 여과조 상단에서 회동되는 소독액조와;
상기 여과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커버에 의해 밀폐되며, 내측중심에는 상기 소독액조의 노즐관이 위치되어 여과조를 통과한 원수를 소독시키고, 토출관으 로 토출시키는 소독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요부절취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는,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탱크(10)와, 원수를 에어와 함께 공급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키는 에어분출관(20)과, 원수를 폭기시켜 산화시키는 산화조(30)와, 폭기처리된 원수의 산화물을 흡착시키는 고도처리형 응집조(40)와, 오염물질을 걸려내는 여과조(50)와, 여과조(50) 상단에서 회동작동되는 소독액조(60)와, 원수를 소독하여 배출시키는 소독조(70)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저장탱크(10)는 일측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관(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공급장치(12)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분출관(20) 내부로 원수를 공급한다.
상기 에어분출관(20)은 상단이 상기 원수저장탱크(10)의 하단에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중심에는 원수가 유통되며, 외부 중심측에는 스크류형 허니콤(23)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십자형노즐관(21)이 형성되되 일측면에만 노즐(22)이 형성되고, 노즐(22)에는 고압으로 공기와 에어가 분출되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산화조(30)는 상기 원수저장탱크(10)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분출관(20) 상하부가 내부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고정되되, 에어분출관(20) 하단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에어에 의해 폭기처리되면서 스크류형 허니콤(23)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산화응집시킨다.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40)는 상기 산화조(30)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상기 원수공급저장탱크(10)와 밀폐되고, 상기 산화조(30) 외측면과 내측면에 상하방향 좌우측으로 유수공(42)을 갖도록 다단으로 격벽(41)이 형성되고, 격벽(41)의 내외측에는 유수공(42)을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물질을 응집시키는 링형 활성흡착체(43)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조(50)는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40)의 외측에 위치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40)를 통과한 원수가 하부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망체(51)가 형성되고, 망체(51) 상부에는 굵은 여과석(52)이 형성되며, 굵은 여과석(52) 상부에는 모래층(53)이 형성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40)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시킨다.
상기 소독액조(60)는 상기 여과조(50) 상단 네 곳에 위치되어 상단과 고도처 리형 응집조(40) 외면과 밀착되는 롤러(63,6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62)의 에어에 의해 노즐관(61)으로 소독액을 일정압력으로 에어와 함께 분출시키면서 그 반발력으로 여과조(50) 상단에서 회동된다.
상기 소독조(70)는 상기 여과조(50)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커버(72)에 의해 밀폐되며, 내측중심에는 상기 소독액조(60)의 노즐관(61)이 위치되어 여과조(50)를 통과한 원수를 소독시키고, 토출관(71)으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수저장탱크(10)에 입수관(1)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에어공급장치(12)로 유입된 에어로 원수를 에어분출관(20)을 통해 하단의 십자형노즐관(21)에서 노즐(22)을 통해 일방향으로 분출시키면, 십자형노즐관(21)은 회동되면서 산화조(30)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폭기시키고, 원수는 스크류형 허니콤(23)을 통과하면서 와류에 의해 오염물질을 산화응집시킨다.
상기 산화조(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40) 격벽(41)의 유수공(42)을 통해 상측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링형 활성흡착체(43)에 우너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더욱더 응집되고,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40)를 통과한 언수는 상기 여과조(50)에 유입되어 망체(51)와 굵은 여과석(52)과 모래층(53)을 거쳐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정수된다.
상기 여과조(50)를 통과한 원수는 상기 소독조(70)에 유입되어 상기 소독액조(60)에 설치된 노즐관(61)을 통해 에어공급장치(62)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으로 소독액이 소독조(70)에 분사되면서 그 반발력으로 롤러(63,64)에 의해 여과조(50) 상단에서 회동된다.
이때, 노즐관(61)에 의해 분출되는 소독액에 의해서 원수는 최종적으로 살균소독되게 되고, 소독된 물은 토출관(7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각각의 가정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좁은 면적의 대지에서 별도의 동력이나 처리비용의 부담없이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고, 소독액조를 장치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소독액이 태양빛 등에 의해 증발되지 않게 하여 물에 투입되는 소독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적정한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며, 고압의 에어분출로 와류를 형성하여 산화를 촉진시키고, 상기 소독액조를 일일이 손으로 밸브를 작동할 필요없이 에어분출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반대편으로 소독액조와 그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소독액을 소독조 내부에 공급하며, 스크류형 허니콤과 링형 활성흡착체에 의한 활성흡착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장치의 활성흡착성능을 증대하여 미세한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정수처리장치내에서 고도정수처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일측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관이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원수저장탱크와;
    상단은 상기 원수저장탱크의 하단에 관통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중심에는 원수가 유통되며, 외부 중심측에는 스크류형 허니콤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십자형노즐관이 형성되되 일측면에만 노즐이 형성되고, 노즐에는 고압으로 공기와 에어가 분출되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에어분출관과;
    상기 원수저장탱크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분출관 상하부가 내부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고정되되, 에어분출관 하단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에어에 의해 폭기처리되면서 스크류형 허니콤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산화응집시키는 산화조와;
    상기 산화조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상기 원수공급저장탱크와 밀폐되고, 상기 산화조 외측면과 내측면에 상하측방향 좌우측으로 유수공을 갖도록 다단으로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의 내외측에는 유수공을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오염물질을 응집시키는 링형 활성흡착체가 형성되는 고도처리형 응집조와;
    상기 고도처리형 응집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가 하부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망체가 형성되고, 망체 상부에는 굵은 여과석이 형성되며, 굵은 여과석 상부에는 모래층이 형성되어 고도처리형 응집조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상단 네 곳에 위치되어 상단과 고도처리형 응집조 외면과 밀착 되는 롤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의 에어에 의해 노즐관으로 소독액을 일정압력으로 에어와 함께 분출시키면서 그 반발력으로 여과조 상단에서 회동되는 소독액조와;
    상기 여과조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은 커버에 의해 밀폐되며, 내측중심에는 상기 소독액조의 노즐관이 위치되어 여과조를 통과한 원수를 소독시키고,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소독조를 구비하는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KR1020060102690A 2006-10-23 2006-10-23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KR10066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90A KR100667893B1 (ko) 2006-10-23 2006-10-23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90A KR100667893B1 (ko) 2006-10-23 2006-10-23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893B1 true KR100667893B1 (ko) 2007-01-11

Family

ID=3786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690A KR100667893B1 (ko) 2006-10-23 2006-10-23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386B1 (ko) 2009-07-16 2010-04-08 (주)휠탑 수평여과 수처리장치
CN109336283A (zh) * 2018-10-22 2019-02-15 张淑华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141Y1 (ko) * 1996-12-04 1999-04-01 김지수 정수처리장치
KR100472947B1 (ko) 2004-06-30 2005-03-1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141Y1 (ko) * 1996-12-04 1999-04-01 김지수 정수처리장치
KR100472947B1 (ko) 2004-06-30 2005-03-1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386B1 (ko) 2009-07-16 2010-04-08 (주)휠탑 수평여과 수처리장치
CN109336283A (zh) * 2018-10-22 2019-02-15 张淑华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CN109336283B (zh) * 2018-10-22 2021-04-20 广东索克曼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9137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986245B1 (ko) 무동력혼화공급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약액세정식 탈취장치 및 그 방법
US200601752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0945457B1 (ko) 산화지와 생물 활성탄 여과지를 이용한 강변여과수의 처리장치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KR100667893B1 (ko)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KR102356648B1 (ko) 반영구적 여과스크린을 적용한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수처리용 정화장치 및 소독장치 시스템
KR101155562B1 (ko) U자형 고압 스크러버 시스템
KR102504879B1 (ko) 탈취시스템
KR100758020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US20170129793A1 (en) Ozone purification system for liquid effluent and wastewater systems
JP2009028683A (ja) 水処理システム
WO2006078797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KR200407311Y1 (ko) 오염수 순환 여과 장치
JP6459127B2 (ja) 水処理装置
JP2002001392A (ja) 冷却塔における冷却水の浄化処理装置
KR100342244B1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KR0138141Y1 (ko) 정수처리장치
JP2009082784A (ja) 余剰汚泥減量化設備
JPH11114580A (ja) 無菌化浄化装置
KR200317206Y1 (ko) 정수 및 재활용수 사용기능이 구비된 싱크대
KR102362832B1 (ko) 고농도 폐수 슬러지의 막힘 없는 산기통
JP2002273154A (ja) 脱臭処理装置
KR200259748Y1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