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518Y1 -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518Y1
KR200319518Y1 KR20-2003-0009793U KR20030009793U KR200319518Y1 KR 200319518 Y1 KR200319518 Y1 KR 200319518Y1 KR 20030009793 U KR20030009793 U KR 20030009793U KR 200319518 Y1 KR200319518 Y1 KR 200319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ice
level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흥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9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배수통의 수위가 일정높이(만수위)로 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배수통을 적시에 비울 수 있게 하여 주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제빙유닛에서 결빙되지 않고 버려지는 제빙수를 집수하는 배수통의 수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부표; 상기 부표의 제 1 위치에서는 오프로, 제 2 위치에서는 온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온시 점등하는 수위표시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위치는 초기 위치 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임계수위 위치이며,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최고 수위보다 낮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용량을 10이라 하고, 얼음 저장고의 용량을 3.5라고 가정 했을 때, 6.5의 용량에 해당하는 배수통의 수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LEVEL OF DRAIN CONTAINER FOR ICE MAKING MACHINE}
본 고안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결빙되지 않은 제빙수를집수하는 배수통의 수위가 일정높이(만수위)로 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다수의 조각 얼음을 제공하는 제빙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빙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는 제빙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얼음 저장고(2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급수통(30)과 배수통(40)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통(30)과 배수통(40)은 상기 제빙기 본체(10)에 대하여 이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급수통(30)에 저장된 제빙수가 상기 제빙유닛으로 공급되어 결빙되고, 결빙된 각빙은 상기 얼음 저장고(2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에서 결빙되지 않은 제빙수는 상기 배수통(40)으로 배출되어 저수된다.
상기 급수통(30)에 물이 비었거나 상기 배수통(40)에 물이 가득차면 급수통(30) 및 배수통(40)을 제빙기 본체(10)로부터 이탈시켜 급수통(30)에 물을 채우거나 배수통(40)을 비운 후 다시 제빙기 본체(10)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제빙기에 있어서는, 급수통(30)이나 배수통(40)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제빙기 본체(10)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급수통(30) 이나 배수통(40)의 수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 때문에 배수통(40)의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제빙기 본체(10)의 내부를 열고 들여다 보아야 하므로 제빙기 관리가 매우 번거롭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수통의 물이 소정수위로 높아지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배수통의 물이 가득찬 상태로 방치됨으로써 야기되는 물 넘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가 적용된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빙기 본체 11;전면패널
40;배수통 50;부표
51;링 52;줄
60;스위치 61;스위칭레버
70;표시램프 80;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는, 제빙유닛에서 결빙되지 않고 버려지는 제빙수를 집수하는 배수통의 수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부표; 상기 부표의 제 1 위치에서는 오프로, 제 2 위치에서는 온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온시 작동하는 수위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위치는 초기 위치 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임계수위 위치이며,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최고 수위보다 낮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용량을 10이라 하고, 얼음 저장고의 용량을 3.5라고 가정 했을 때, 6.5의 용량에 해당하는 배수통의 수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표는 링 및 줄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구비된 레버에 현가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수통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표시수단은 제빙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램프 및 벨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가 적용된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100)는, 부표(50), 스위치(60) 및 표시램프(70)를 구비한다.
상기 부표(50)는 배수통(40) 내의 수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 되고,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부표(5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며, 상기 표시램프(70)는 상기 스위치(60)의 스위칭 온시 점등된다.
상기 부표(50)는 링(51) 및 줄(52)에 의해 상기 스위치(60)에 구비된 스위칭레버(61)의 단부에 현가되어 설치되며, 이 부표(50)의 제 1 위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초기 위치를, 그리고, 제 2 위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위에 의해 부표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위치를 만수감지 수위인 임계수위 위치라 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수위는 배수통(40)의 최고 수위보다 낮게 설정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통(40)의 용량을 10이라 하고, 얼음 저장고(도시되지 않음)의 용량을 3.5라 가정할 때, 6.5의 용량에 해당하는 배수통의 수위로 상기 임계수위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배수통의 최고 수위를 임계수위로 설정하게 되면, 얼음을 투출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할 때, 얼음 녹은 물이 배수통으로 계속 유입됨으로써 배수통이 넘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본 고안과 같이 임계수위를 배수통의 최고 수위보다 낮게 설정하면, 얼음을 투출하지 않고 장기간 제빙기를 방치하여 얼음 녹은 물이 배수통으로 유입되더라도 임계수위가 배수통의 최고수위보다 낮으므로 배수통이 넘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배수통(4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스위칭 레버(61)에 의해 온/오프 되는 스위칭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이 스위칭수단은 도선(80)에 의해 상기 표시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표시램프(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패널(11)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60)가 스위칭 온 될때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배수통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상기 표시램프(70)는 배수통의 수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수단의 한 예로서, 이러한 표시수단으로는 상기한 표시램프 이외에도 벨이나 부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등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램프(70)가 전면패널(11)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표시램프(70)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적절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배수통(40)의 수위가 만수 위치에 오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50)는 물에 닿지 않고 스위치(60)의 레버(61)에 매달린 상태를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상기 레버(61)는 부표(50)의 무게에 의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스위치(60)는 스위칭 오프 상태로 되고 따라서, 표시램프(70)는 소등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수통(40)으로 계속해서 물이 유입되어 배수통(40)의 수위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하여 임계수위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부표(50)가 수위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버(61)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위치(60)가 스위칭 온 상태로 된다. 결국 상기 스위치(60)의 스위칭 온 작동으로 표시램프(70)가 점등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배수통의 만수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으며, 배수통을 분리하여 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통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을 때 이를 빛이나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수통을 주기적으로 일일히 확인 할 필요가 없는 등 제빙기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통의 최고 수위가 아닌 최고 수위보다 낮은 수위(임계수위)를 만수위로 감지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배수통의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 선호도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빙유닛에서 결빙되지 않고 버려지는 제빙수를 집수하는 배수통의 만수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로서,
    상기 배수통의 수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부표;
    상기 부표의 제 1 위치에서는 오프로, 제 2 위치에서는 온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온시 작동하는 수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초기 위치 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임계수위 위치이며,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최고 수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수위는 상기 배수통의 용량을 10이라 하고, 얼음 저장고의 용량을 3.5라고 가정 했을 때, 6.5의 용량에 해당하는 배수통의 수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링 및 줄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구비된 레버에 현가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수통의 상단 일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수단은 제빙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수단은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수단은 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KR20-2003-0009793U 2003-04-01 2003-04-01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KR200319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93U KR200319518Y1 (ko) 2003-04-01 2003-04-01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93U KR200319518Y1 (ko) 2003-04-01 2003-04-01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518Y1 true KR200319518Y1 (ko) 2003-07-18

Family

ID=4941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793U KR200319518Y1 (ko) 2003-04-01 2003-04-01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5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91B1 (ko) 2006-01-13 2007-09-07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91B1 (ko) 2006-01-13 2007-09-07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9878B1 (en) Soap dispenser having fluid level sensor
US9505633B2 (en) Submerged filter indicator
US8689627B2 (en) Low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20100187168A1 (en) Percolating filter system with a removable cartridge
KR20070119033A (ko)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의 각빙제조기 및/또는 워터디스펜서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BRPI1101083A2 (pt) sistema de seleÇço de sensor de enchimento para dispensadores de refrigerador
KR200319518Y1 (ko) 제빙기의 배수통 수위 감지장치
CN201311340Y (zh) 漏水检测装置
CN113465243A (zh) 制冰机
KR0182126B1 (ko) 냉장고의 급수장치 및 물탱크 수량부족검출방법
EP1363527B1 (en) A water level indicating device for a dishwasher
KR100756991B1 (ko)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637365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CN204228239U (zh) 马桶水箱水位警报器
CN217792898U (zh) 自动换水组件及自清洁维护站
CN215983386U (zh) 具有检测功能的收集装置及制冰机
KR102468107B1 (ko) 제빙기
JP2004117121A (ja) 建設機械の燃料残量検出装置
KR200328422Y1 (ko) 냉장고 자동 제빙기용 급수장치
CN111329348A (zh) 净饮机的移动水箱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75865B1 (ko) 전원공급 및 히터구동 테스트 장치를 구비한 강수량계
US8596489B2 (en) Liquid storage system
JP2008096021A (ja) 自動製氷装置付き冷凍冷蔵庫
CN207627091U (zh) 一种咖啡机
CN209951043U (zh) 一种可提示水位的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