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399Y1 -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399Y1
KR200319399Y1 KR20-2003-0011022U KR20030011022U KR200319399Y1 KR 200319399 Y1 KR200319399 Y1 KR 200319399Y1 KR 20030011022 U KR20030011022 U KR 20030011022U KR 200319399 Y1 KR200319399 Y1 KR 200319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bed
width direction
fram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한
Original Assignee
송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한 filed Critical 송인한
Priority to KR20-2003-0011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3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3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유아가 사용하는 침대를 폭방향으로 관성력에 의해 안전하고 소음이 없이 흔들어 주는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양측의 지지체(1)(1a)와 전동식 구동기구(C)를 구성하고 상기 전동식 구동기구(C)에 의해 폭방향으로 요동되는 외측틀체(A)와, 상기 지지체(1)(1a)에는 상기 외측틀체(A)의 요동에 의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폭방향으로 요동되고 현수간(7)(7a)으로 연결 설치되는 침대틀체(B)에서, 상기 전동식 구동기구(C)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상기 외측틀체(A)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구동풀리(13), 벨트(16), 풀리(15), 크랭크(17), 레버(20), 회동샤프트(21) 및 바퀴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a)와 침대틀체(B)를 연결하는 현수간(7)(7a)의 "수직 연결 각도"가 소정의 각도(θ)로써 0°~ 15°의 범위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구동모터(11)가 구동되어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가 요동될 시 구동모터의 진동 소음을 제거하여 무소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둘째, 지지체(1)(1a)의 고정편(5)(5a)에 침대틀체(B)를 현수하는 현수간(7) (7a)의 연결 설치하는 "수직 연결 각도"로써 소정의 각도(θ)로 하여 침대틀체(B)를 연결함에 따라 사용할 시 침대틀체(B)가 한쪽으로 재쳐짐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셋째, 침대틀체(B)가 폭방향으로 좌,우 요동할 시 소정의 폭길이 만큼 요동되도록 제어 함으로써 항시 정해진 적합한 일정 속도로 요동되어 사용상 유아에게 어지러움등과 같은 악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침대틀체(B)가 매달려 설치되는 외측 틀체(A)가 폭방향을 향해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운동방향이 바뀔 때 마다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침대틀체(B)를 요동시켜주기 때문에 침대틀체(B)를 작은 힘의 구동모터로도 쉽게 요동시켜줄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고, 침대틀체(B)에 큰 무게가 실리더라도 침대틀체(B)를 원활하게 요동시켜 줄수 있다.
다섯째,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를 가구 목재로 함으로써 사용상 부딪치거나 하더라도 유아에게 안전하고 외관상 미려한 가구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Electric motion automatic cot}
본 고안은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가 사용하는 침대를 폭방향으로 관성력에 의해 안전하고 소음이 없이 흔들어 주는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동식 요람으로써 본 출원인(고안자)의 등록권리로 된 대한민국 특허 제184114호가 제시된 기술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제작하여 시험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양쪽 지지체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연결막대에 매달린 바스켓을 요동되게 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크랭크와 로울러,슬로트, 연결봉, 바퀴 및 프레임을 경유하여 바스켓을 요동되게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기술은 모터의 진동 소음이 심해 사용이 곤란하였고, 특히 심야시간에는 심한 소음으로 인해 취짐을 할 수 없는 상태이었다.
그리고, 바스켓을 요동시켜 사용할 경우 외측 지지체와 바스켓 사이에 손이 끼이게 될 위험성이 있고, 또 요동되는 바스켓은 요동의 폭 길이가 제어되지 않아 자츰 속도가 빨라져 유아에게 현기증을 유발시키며 이 경우 곁에서 유아를 돌보고 있는 산모 등이 손으로 바스켓을 잡아 제어시킨 다음 다시 요동되게 해야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한 현수간의 윗쪽 폭 간격 보다 아랫쪽 폭의 간격이 현저히 크게 구성되어 있어 바스켓에 유아를 눕혔을 경우 정중앙에 누어있지 않으면 바스켓이 한쪽으로 재쳐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바스켓에 누워있는 유아는 정중앙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방으로 몸부림치며 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용이 곤란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대한민국 특허 제184114호를 개량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 시 소음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원활한 작동 등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측의 지지체에 횡프레임과 종프레임 및 전동식구동기구를 설치 구성한 외측 틀체와, 상기 외측 틀체에는현수간에 의해 폭 방향으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요동되게 설치 구성되는 침대틀체와, 상기 외측 틀체에 설치 구성되는 전동식구동기구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외측틀체를 요동되게 하고 동시에 침대틀체를 관성력에 의해 요동되게하는 구동풀리와 벨트, 풀리, 링크, 레버, 회동샤프트 및 바퀴로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의 전체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서 "매트리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서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에서 "전동식 구동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를 측면에서 본 구성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5의 하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를 측면에서 본 작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7의 하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외측 틀체 B: 침대틀체
C: 전동식 구동기구
1,1a: 지지체 2,2a: 횡프레임
3,3a: 양측 종프레임 4: 중간 종프레임
5,5a: 고정편 7,7a: 현수간
8: 제1 힌지축 10: 제2 힌지축
11: 구동모터 13: 구동풀리
15: 풀리 16: 벨트
17: 크랭크 20: 레버
21: 회동 샤프트 22,22a,22b,22c: 바퀴
24: 타이머 25,25a: 스톱퍼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1 내지 도3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외측 틀체(A)를 구성하고 상기 외측 틀체(A)는 양측부에 지지체(1)(1a)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a) 간에는 횡프레임(2) (2a)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횡프레임(2)(2a) 간에는 양측 종프레임(3)(3a)과 중간 종프레임(4)을 연결 설치한다.
상기 외측 틀체(A)의 내측부에 침대틀체(B)를 설치하고 침대틀체(B)를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양측부의 지지체(1)(1a)상단부에 고정편(5)(5a)을 체결볼트 (6)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편(5)(5a)의 양측으로 현수간(7) (7a)을 베어링이 축설된 제1 힌지축(8)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기 현수간(7)(7a)의 하단부는 상기 침대틀체(B)의 측판부(9)에 베어링이 축설된 제2 힌지축(1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고정편(5)(5a)과 침대틀체(B) 간에 연결 설치되는 양측의 현수간(7)(7a)은 도시된 도5에서와 같이 "수직 연결 각도"로써 소정의 각도(θ) 만큼으로 하여 연결한다.
즉, 상기 "수직 연결 각도"라 함은 상측 제1 힌지축(8)의 중심 수직 센터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외측으로 벗어나게 하여 하단부의 제2 힌지축(10)을 연결 설치함을 말한다.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0°~ 15°의 범위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각도(θ)가 0°~ 15°의 범위로 함이 바람직한 것은 본 고안을 제작하여 많은 시험을 해본 결과 침대틀체(B)가 요동할 시 어느 한쪽으로 재쳐지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됨을 알게 된 것으로, 0°보다 작거나 15°보다 클 경우에는 실험한 결과 침대틀체(B)가 요동할 시 한쪽으로 재쳐지면서 작동이 되지 않음을 알았다.
상기 외측 틀체(A)의 중간 종프레임(4)에는 도시된 도4에서와 같이 전동식구동기구(C)를 설치 구성한다.
상기 전동식구동기구(C)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축(12)에는 구동풀리(13)를 축설하며, 상기 구동풀리 (13)의 일측에는 풀리 축(14)으로써 풀리(15)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풀리(13)와 풀리(15) 간에는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구동모터(11)의 진동 소음을 흡수하는 벨트(16)를 연결한다.
상기 벨트(16)의 소재는 우레탄 벨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리(15)에는 풀리 축(14)과 편심되게 링크(17)를 축(18)으로써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링크(17)의 선단에는 축(19)으로써 레버(20)를 회동되게 연결설치하며, 상기 레버(20)의 후방 선단부는 회동 샤프트(21)에 고정되게 삽입 설치한다.
상기 레버(20)와 회동 샤프트(21)는 슬립현상이나 공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결합한다.
상기 회동 샤프트(21)는 상기 중간 종프레임(4)을 관통하여 양측 종프레임 (3)(3a)에 바퀴(22)(22a)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21)에 설치된 바퀴(22)(22a)의 대응되는 방향에도 축(23)으로써 양측 종프레임(3)(3a)에 바퀴(22b)(22c)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횡프레임(2)(2a)의 일측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1)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24)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침대틀체(B)의 밑면에는 전후 양측부에 도5 내지 도8에서와 같이 침대틀체(B)의 요동 폭을 제어하는 스톱퍼(25)(25a)를 돌출되게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스톱퍼(25)(25a)는 횡프레임(2)(2a)에 제어될 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의 소재를 가구 목재로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1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6은 침대틀체(B)내에 장착한 매트리스이고, 도5 내지 도8에서의 설명하지 않은 부호 27은 바퀴(22)(22a)(22b)(22c)가 닿은 지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도2 및 도5에서와 같이 침대틀체(B)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동식구동기구(C)를 작동시킨다.
즉, 구동모터(11)에 전원을 공급하면 도4,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1)에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풀리(13)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풀리 (13)와 연결된 벨트(16)를 통해 풀리(15)를 회전시키며, 상기 풀리(15)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17)로 연결된 레버(20)가 상하로 운동되게 하고, 상기 레버(20)가 상하로 운동 됨에 따라 선단부에 고정 결합된 회동샤프트(21)를 정, 역방향으로 반복되게 회동시킨다.
상기 회동샤프트(21)가 정, 역방향으로 반복되게 회동됨에 따라 양측부에 축설된 바퀴(22)(22a)를 지면위에서 정,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는 타측 바퀴(22b) (22c)도 함께 정, 역방향으로 반복되게 회동시킨다.
위와 같이 바퀴(22)(22a)(22b)(22c)가 정, 역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지지체 (1)(1a)와 횡프레임(2)(2a) 등을 포함한 외측 틀체(A)가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좌, 우방향으로 반복되게 요동한다.
상기 외측 틀체(A)가 좌, 우방향으로 반복되게 요동함에 따라 지지체(1)(1a)의 상측부에서 고정편(5)(5a)에 베어링이 축설된 제1 힌지축(8)에 설치된 현수간 (7)(7a)은 지지체(1)(1a)의 움직이는 방향이 바뀔 때 마다 발생하는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지지체(1)(1a)의 움직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현수간(7)(7a)의 하측단에서 베어링이 축설된 제2 힌지축(10)에 의해 연결된 침대틀체(B)가 폭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상기 폭 방향으로 요동하는 침대틀체(B)는 좌, 우 폭 방향으로 요동할 시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스톱퍼(25)(25a)가 횡프레임(2)(2a)에 제어되어 소정의 폭 길이 만큼 요동하게 된다.
즉, 도7에서와 같이 현수간(7)(7a)이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θ1) 만큼만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침대틀체(B) 또한 소정의 폭 길이 만큼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풀리(13)와 풀리(15) 간에 연결된 벨트(16)는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구동모터(1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지지체(1)(1a)의 고정편(5)(5a)에 침대틀체(B)를 현수하는 현수간(7) (7a)을 "수직 연결 각도"로써 소정의 각도(θ) 만큼으로 하여 연결함으로 침대틀체(B)를 사용할 시 한쪽으로 재쳐짐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현수간(7)(7a)을 제1 힌지축(8)과 제2 힌지축(10)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 힌지축(8)의 중심 수직 센터에 대해 소정의 각도(0°~ 15°)로 제2 힌지축(10)을 연결되게 함으로써 침대틀체(B)는 사용 시 한쪽으로 재쳐짐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침대틀체(B)가 매달려 설치되는 외측 틀체(A)가 폭방향을 향해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운동방향이 바뀔 때 마다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침대틀체(B)를 요동시켜주기 때문에 침대틀체(B)를 작은 힘의 구동모터로도 쉽게 요동시켜줄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고, 침대틀체(B)에 큰 무게가 실리더라도 침대틀체(B)를 원활하게 요동시켜 줄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를 목재로 함으로써 만일 부딪치거나 하더라도 유아에게 안전하고 외관상 미려한 가구장식 효과를 얻을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구동모터(11)가 구동되어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가 요동될 시 구동모터의 진동 소음을 제거하여 무소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둘째, 지지체(1)(1a)의 고정편(5)(5a)에 침대틀체(B)를 현수하는 현수간(7) (7a)의 연결 설치하는 "수직 연결 각도"로써 소정의 각도(θ)로 하여 침대틀체(B)를 연결함에 따라 사용할 시 침대틀체(B)가 한쪽으로 재쳐짐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셋째, 침대틀체(B)가 폭방향으로 좌,우 요동할 시 소정의 폭길이 만큼 요동되도록 제어 함으로써 항시 정해진 적합한 일정 속도로 요동되어 사용상 유아에게 어지러움등과 같은 악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침대틀체(B)가 매달려 설치되는 외측 틀체(A)가 폭방향을 향해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운동방향이 바뀔 때 마다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침대틀체(B)를 요동시켜주기 때문에 침대틀체(B)를 작은 힘의 구동모터로도 쉽게 요동시켜줄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고, 침대틀체(B)에 큰 무게가 실리더라도 침대틀체(B)를 원활하게 요동시켜 줄수 있다.
다섯째, 외측 틀체(A)와 침대틀체(B)를 가구 목재로 함으로써 사용상 부딪치거나 하더라도 유아에게 안전하고 외관상 미려한 가구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의 지지체(1)(1a)와 전동식 구동기구(C)를 구성하고 상기 전동식 구동기구(C)에 의해 폭방향으로 요동되는 외측틀체(A)와, 상기 지지체(1)(1a)에는 상기 외측틀체(A)의 요동에 의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폭방향으로 요동되고 현수간(7)(7a)으로 연결 설치되는 침대틀체(B)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동기구(C)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상기 외측틀체(A)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구동풀리(13), 벨트(16), 풀리(15), 크랭크(17), 레버(20), 회동샤프트(21) 및 바퀴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a)와 침대틀체(B)를 연결하는 현수간(7)(7a)의 "수직 연결 각도"가 소정의 각도(θ)로써 0°~ 15°의 범위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침대틀체(B)의 밑면에는 상기 침대틀체(B)가 폭방향으로 요동되는 길이를 제어하는 스톱퍼(25)(25a)를 돌출되게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KR20-2003-0011022U 2003-04-10 2003-04-10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KR200319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22U KR200319399Y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22U KR200319399Y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399Y1 true KR200319399Y1 (ko) 2003-07-10

Family

ID=4933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022U KR200319399Y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3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81A (ko) * 2003-06-30 2004-12-03 고기홍 회전모터를 이용한 스윙요람의 자동제어장치
KR101088680B1 (ko) * 2011-03-04 2011-12-06 김진현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KR20150142486A (ko) * 2014-06-12 2015-12-22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81A (ko) * 2003-06-30 2004-12-03 고기홍 회전모터를 이용한 스윙요람의 자동제어장치
KR101088680B1 (ko) * 2011-03-04 2011-12-06 김진현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KR20150142486A (ko) * 2014-06-12 2015-12-22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KR101583377B1 (ko) * 2014-06-12 2016-01-07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6136A (en) Swing chair
US5180338A (en) Riding toy mechanism
US4911429A (en) Motorized swing
US20060012230A1 (en) Glider
US3031687A (en) Oscillating bed
KR200319399Y1 (ko)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CN113350114B (zh) 一种按摩椅摇摆结构及其控制方法
KR101583377B1 (ko) 전동식 스윙침대
CN210355996U (zh) 一种儿童玩具用机械木马椅
CN210872904U (zh) 一种按摩装置
KR101078040B1 (ko) 흔들놀이기구
TWM590913U (zh) 用於床、椅或沙發的底座
US5572752A (en) Bed with axial glider movement
CN110626413A (zh) 摇摆驱动装置及摇摆车
TW202119980A (zh) 用於床、椅或沙發的底座
CN101167678A (zh) 震动机
CN214436457U (zh) 一种骑行玩具
JPH0532157Y2 (ko)
CN217338003U (zh) 一种多功能摇床
CN219023214U (zh) 一种带控制可摆动的魔鬼鱼游艺设备
KR200416202Y1 (ko) 전동 요람
CN210540074U (zh) 一种振动健康椅
CN207477958U (zh) 一种组合儿童安全座椅的摇摇车
CN220369767U (zh) 一种幼儿教育用摇床
KR200369636Y1 (ko) 트레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