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680B1 -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 Google Patents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680B1
KR101088680B1 KR1020110019543A KR20110019543A KR101088680B1 KR 101088680 B1 KR101088680 B1 KR 101088680B1 KR 1020110019543 A KR1020110019543 A KR 1020110019543A KR 20110019543 A KR20110019543 A KR 20110019543A KR 101088680 B1 KR101088680 B1 KR 10108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flow
cradl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김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현 filed Critical 김진현
Priority to KR102011001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2Cradle swing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의 지지판(1)(1a)에 하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2)(2a)과 상측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축(3)과 양측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 및 제5 연결축(4)(4a) 및 상기 제3 연결축(3)과 제4 및 제5 연결축(4)(4a)을 연결 결합하는 고정편(5)으로 구성되는 외측틀체(A)와, 상기 외측틀체(A)의 내측으로 결합 구성되고 유동연결축(6)(6a)에 의해 상기 고정편(5)에 연결되어 스윙(swing)이 되는 요람용 침대(B)와, 상기 외측틀체(A)의 지지판(1)(1a)은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S)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틀체(A)의 제1 및 제2 연결축(2)(2a)에 유니트 박스(P)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 박스(P)에는 모터(7)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모터(7)에는 모터 축(8)으로써 구동풀리(9)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9)와 벨트(10)로써 연결되는 회전풀리원판(11)을 풀리 축(12)으로 설치하며, 상기 회전풀리원판(11)에는 상기 풀리 축(12)과 편심되게 크랭크편심축(13)을 설치하고 상기 크랭크편심축(13)의 선단에는 크랭크연결축(14)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크랭크연결축(14)의 선단에는 회전축(15)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15)에는 제1 작동레버(16)와 제2 작동레버(17)를 연결 결합하되, 상기 제1 작동레버(16)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외측절곡연결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레버(17)는 선단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내측절곡연결부(17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레버(16)의 외측절곡연결부(16a)의 절곡부에 제1 고정축(18)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1 지지롤러(19)를 결합하며, 상기 제2 작동레버(17)의 내측절곡연결부(17a)의 절곡부에 제2 고정축(18a)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2 지지롤러(19a)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은 항 시 중심점으로 복귀하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레버를 통해 요람용 침대가 그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또한 상기 지지판이 곡면을 따라 좌,우로 스윙(swing)을 함에 있어서 모터의 작은 구동력만으로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윙 작동이 부드럽고 안정감이 있으며 스윙이 원활하다.
셋째, 그리고 무리한 강제적인 모터의 구동력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이 길어지고 소음이 최소화되며 전력소비가 최소화 된다.
넷째, 유아의 호흡수나 맥박수에 맞춰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요람용 침대의 스윙 조건을 맞춤으로써 유아의 생체리듬 등을 안정화시켜준다.

Description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Cradle using function swing}
본 발명은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요람으로서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구성하고 모터의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레버에 의해 상기 지지판이 곡면을 따라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람용 침대가 그네(swing; 이하, '스윙'이라고도 한다)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동식 요람으로써 대한민국 특허 제184114호가 제시된 기술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양쪽 지지체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연결막대에 매달린 바스켓을 요동되게 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크랭크와 로울러, 슬로트, 연결봉, 바퀴 및 프레임을 경유하여 바스켓을 요동되게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기술은 모터의 진동 소음이 심해 사용이 곤란하였고, 특히 심야시간에는 심한 소음으로 인해 취짐을 할 수 없는 상태이었다.
그리고, 바스켓을 요동시켜 사용할 경우 외측 지지체와 바스켓 사이에 손이 끼이게 될 위험성이 있고, 또 요동되는 바스켓은 요동의 폭 길이가 제어되지 않아 자츰 속도가 빨라져 유아에게 현기증을 유발시키며 이 경우 곁에서 유아를 돌보고 있는 산모 등이 손으로 바스켓을 잡아 제어시킨 다음 다시 요동되게 해야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한 현수간의 윗쪽 폭 간격 보다 아랫쪽 폭의 간격이 현저히 크게 구성되어 있어 바스켓에 유아를 눕혔을 경우 정중앙에 누어있지 않으면 바스켓이 한쪽으로 재쳐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바스켓에 누워있는 유아는 정중앙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방으로 몸부림치며 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용이 곤란한 것이었다.
특히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크랭크와 로울러, 슬로트, 연결봉, 바퀴 및 프레임을 경유하여 바스켓을 요동되게 할 경우 바퀴의 정,역 회전에 의해 프레임의 지지체가 수평방향으로만 요동되게 하고 이에 따라 바스켓 또한 수평 방향으로만 좌,우 요동되는 것이어서 스윙(swing) 효과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9399호에서 양측의 지지체에 횡프레임과 종프레임 및 전동식구동기구를 설치 구성한 외측 틀체와, 상기 외측 틀체에는 현수간에 의해 폭 방향으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요동되게 설치 구성되는 침대틀체와, 상기 외측 틀체에 설치 구성되는 전동식구동기구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외측틀체를 요동되게 하고 동시에 침대틀체를 관성력에 의해 요동되게하는 구동풀리와 벨트, 풀리, 링크, 레버, 회동샤프트 및 바퀴로 연결 구성하여서 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19399호 역시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구동풀리와 벨트, 풀리, 링크, 레버, 회동샤프트를 경유하여 바퀴의 정,역회전에 의해 외측틀체를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요동되게 하고 침대틀체 또한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요동되게 하는 것이어서 스윙(swing) 효과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외측틀체의 좌,우 요동을 오직 구동모터의 구동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부하가 쉽게 걸리고 소음이 심하며 전력소비가 많고 자주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기술들은 좌, 우 수평방향으로만 요동되기 때문에 쉽게 싫증이 나고 오히려 어지러움증을 유발시키며 성장하는 유아의 뇌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임은 물론 구동모터의 소음과 과다한 전력소비 및 자주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요람으로서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구성하고 모터의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레버에 의해 상기 지지판이 곡면을 따라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람용 침대가 그네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측의 지지판에 하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과 상측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축과 양측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 및 제5 연결축과 상기 제3 연결축과 제4 및 제5 연결축을 연결 결합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외측틀체와,
상기 외측틀체의 내측으로 결합 구성되고 유동연결축에 의해 상기 고정편에 연결되어 스윙(swing)이 되는 요람용 침대와,
상기 외측틀체의 지지판은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틀체의 제1 및 제2 연결축에 유니트 박스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 박스에는 모터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모터에는 모터 축으로써 구동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회전풀리원판을 풀리 축으로 설치하며,
상기 회전풀리원판에는 상기 풀리 축과 편심되게 크랭크편심축을 설치하고 상기 크랭크편심축의 선단에는 크랭크연결축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크랭크연결축의 선단에는 회전축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제1 작동레버와 제2 작동레버를 연결 결합하되, 상기 제1 작동레버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외측절곡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레버는 선단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내측절곡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레버의 외측절곡연결부의 절곡부에 제1 고정축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1 지지롤러를 결합하며,
상기 제2 작동레버의 내측절곡연결부의 절곡부에 제2 고정축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2 지지롤러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은 항 시 중심점으로 복귀하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레버를 통해 요람용 침대가 그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또한 상기 지지판이 곡면을 따라 좌,우로 스윙(swing)을 함에 있어서 모터의 작은 구동력만으로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윙 작동이 부드럽고 안정감이 있으며 스윙이 원활하다.
셋째, 그리고 무리한 강제적인 모터의 구동력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이 길어지고 소음이 최소화되며 전력소비가 최소화 된다.
넷째, 유아의 호흡수나 맥박수에 맞춰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요람용 침대의 스윙 조건을 맞춤으로써 유아의 생체리듬 등을 안정화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일부 분해를 나타낸 전체 구성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서 "유니트 박스"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 대한 작용 설명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틀체(A)로써 양측의 지지판(1)(1a)에 하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2)(2a)과 상측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축(3) 및 양측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 및 제5 연결축(4)(4a)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3 연결축(3)과 제4 및 제5 연결축(4)(4a)을 고정편(5)으로 연결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외측틀체(A)가 구성된다.
상기 외측틀체(A)의 내측으로 결합 구성되고 유동연결축(6)(6a)에 의해 상기 고정편(5)에 연결되어 스윙(swing)이 되는 요람용 침대(B)를 구성한다.
상기 외측틀체(A)의 지지판(1)(1a)은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S)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외측틀체(A)의 제1 및 제2 연결축(2)(2a)에 유니트 박스(P)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 박스(P)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모터(7)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모터(7)에는 모터 축(8)으로써 구동풀리(9)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9)와 벨트(10)로써 연결되는 회전풀리원판(11)을 풀리 축(12)으로 설치한다.
상기 회전풀리원판(11)에는 상기 풀리 축(12)과 편심되게 크랭크편심축(13)을 설치하고 상기 크랭크편심축(13)의 선단에는 크랭크연결축(14)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크랭크연결축(14)의 선단에는 회전축(15)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한다.
상기 회전축(15)에는 제1 작동레버(16)와 제2 작동레버(17)를 연결 결합하되, 상기 제1 작동레버(16)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외측절곡연결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레버(17)는 선단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내측절곡연결부(17a)가 형성된다(도6 및 도 7 참조).
상기 제1 작동레버(16)의 외측절곡연결부(16a)의 절곡부에 제1 고정축(18)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1 지지롤러(19)를 결합하며, 상기 제2 작동레버(17)의 내측절곡연결부(17a)의 절곡부에 제2 고정축(18a)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2 지지롤러(19a)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판(1)(1a)과 제4 및 제5 연결축(4)(4a)의 결합은 결합부(20)에 의해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지지판(1)(1a)에 결합공(21)을 형성하고, 상기 제4 및 제5 연결축(4)(4a)의 하측 선단에는 상기 결합공(21)과 삽입 결합되어 유동되는 원형의 삽입 축(22)과 제1 홀더판(23)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삽입 축(22)에는 볼트 축(24)을 구성하며 상기 볼트 축(24)에는 제2 홀더판(25)과 너트(26)를 결합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연결축(6)(6a)은 하측 선단부에 제1 연결구(27)와 회동축(28)으로 상기 요람용 침대(B)와 유동되게 결합하고 상기 유동연결축(6)(6a)의 상측 선단부는 제2 연결구(29)와 회동축(30)으로 상기 고정편(5)과 유동되게 결합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6 및 도 9의 (a)에서와 같이 크랭크 편심축(13)이 회전풀리원판(11)에서 풀리축(12)을 기점으로 6시 방향에 위치하고 크랭크 연결축(14)은 수직 상태이며 제1 및 제2 작동레버(16)(17)는 회전축(15)을 기점으로 좌, 우 상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모터(7)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풀리(9)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풀리(9)의 회전력은 벨트(10)를 경유하여 회전풀리원판(11)이 회전한다.
상기 회전풀리원판(11)이 회전하여 도 9의 (b)에서와 같이 크랭크 편심축(13)이 회전풀리원판(11)에서 풀리축(12)을 기점으로 3시 방향에 위치하면 크랭크 연결축(14)에 의해 회전축(15)을 들어 올리고 이 경우 제1 및 제2 작동레버(16)(17) 또한 제1 및 제2 고정축(18)(18a)을 기점으로 상기 회전축(15)과 결합된 부분이 상승한다.
그리고 또한 도 7 및 도 9의 (c)에서와 같이 회전풀리원판(11)이 회전하여 크랭크 편심축(13)이 회전풀리원판(11)에서 풀리 축(12)을 기점으로 12시 방향에 위치하면 크랭크 연결축(14)은 수직 상태이며 이 경우 크랭크 연결축(14)에 의해 회전축(15)을 최고의 높이로 들어 올린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5)과 연결 결합된 제1 및 제2 작동레버(16)(17) 또한 제1 및 제2 고정축(18)(18a)을 기점으로 상기 회전축(15)과 결합된 부분을 최고로 상승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회전풀리원판(11)을 모터(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켜 도 9의 (a)에서 도 9의 (c) 까지 크랭크 편심축(13)이 회전풀리원판(11)에서 풀리축(12)을 기점으로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까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작동레버(16)(17) 또한 제1 및 제2 고정축(18)(18a)을 기점으로 상기 회전축(15)과 결합된 부분이 상승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작동레버(16)의 외측절곡연결부(16a)는 상기 제1 고정축(18)을 기점으로 화살표 방향인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외측절곡연결부(16a)에 결합된 제1 지지롤러(19)는 지면(g)에 닿은 상태에서 내측(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2 작동레버(17)의 내측절곡연결부(17a) 또한 제2 고정축(18a)을 기점으로 내측(도면의 표현상 우측방향)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2 지지롤러(19a)는 지면(g)으로부터 이탈되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롤러(19a)는 지면(g)으로부터 이탈되어 들어 올려지게 되고, 제1 지지롤러(19)는 지면(g)에 닿은 상태에서 내측방향(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동시에 그 힘은 제1 고정축(18)과 유니트 박스(P) 및 제1 연결축(2)을 경유하여 양측 지지판(1)(1a)의 우측 선단부 쪽으로 편중되어 전달된다.
이때 지지판(1)(1a)은 밑면이 원호형인 곡면(曲面)(S)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에서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표현상 우측으로 기울어 진다.
즉, 지면에 당접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1a)이 우측 방향으로 곡면(曲面)(S)을 따라 기울어지고 좌측은 상승하게 되며 이때 고정편(5) 또한 상기 지지판(1)(1a)과 같은 방향인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유동연결축(6)(6a)으로 유동되게 연결된 요람용 침대(B)는 관성력(慣性力; inertial force)에 의해 상기 지지판(1)(1a)이 기울어지는 반대 방향인 도 8에서의 은선(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스윙(swing)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양측의 지지판(1)(1a)이 우측 방향으로 최대로 기울어지면 요람의 자체 하중과 지지판(1)(1a)의 밑면이 곡면(曲面)(S)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시 반작용에 의해 지지판(1)(1a)의 중앙부인 중심점으로 복귀하려 하기 때문에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고 또한 동시에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는 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판(1)(1a)은 도 8에서와 같이 좌측방향(은선으로 도시 함)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5)에 유동연결축(6)(6a)으로 유동되게 연결된 요람용 침대(B)는 관성력(慣性力; inertial force)에 의해 도 8에서의 실선(도면의 표현상 우측방향)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스윙(swing)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용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1)(1a)의 곡면(S)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반복 작용에 의해 요람용 침대(B)는 스윙(swing)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지지판(1)(1a)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우측방향에서 다시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질 동안[즉, 도 9의 (c)부터 도 9의 (d) 및 도 9의 (a)까지의 순차적인 작용 순서] 자유낙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터(7)의 구동력은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어 모터(7)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작은 구동력으로만으로도 스윙(swing)작동이 이루어져 스윙 작동이 부드럽고 안정감이 있으며 모터의 수명이 길어지고 소음이 최소화되며 전력소비가 최소화 된다.
그리고 또한 도 9의 (a)에서 부터 도 9의 (c)까지에서와 같이 크랭크편심축(13)이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까지 모터(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제1 및 제2 작동레버(16)(17)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및 제2 고정축(18)(18a)을 기점으로 지렛대작용에 의해 작동되어 지지판(1)(1a)의 선단부 쪽으로 힘을 전달하므로 모터(7)의 작은 구동력만으로도 지지판(1)(1a)을 좌,우로 스윙(swing)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의 호흡수나 맥박수에 맞춰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요람용 침대의 스윙 조건을 맞춤으로써 유아의 생체리듬 등을 안정화시켜준다.
예컨대, 0~3세 까지 유아의 호흡수가 분당 36회라고 한다면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요람용 침대의 스윙을 왕복 36회로 조절할 경우 유아의 생체리듬 등을 안정화시켜 줄수 있다.
그리고 유아용 침구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기간(0~7세까지) 또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판(1)(1a)의 결합공(21)에 삽입축(22)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되므로 요람용 침대(B)에 큰 무게가 실리더라도 안전하고 원활한 스윙이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판(1)(1a)과 제4 및 제5연결축(4)(4a)이 결합부(20)의 제1 및 제2 홀더판(23)(25)과 볼트축(24) 및 너트(26)에 의해 조립되고, 요람용 침대(B) 또한 유동연결축(6)(6a)과 하측 선단부에서 제1 연결구(27)와 회동축(28)으로 유동되게 결합하고 상기 유동연결축(6)(6a)의 상측 선단부에서 제2 연결구(29)와 회동축(30)으로 상기 고정편(5)과 유동되게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필요시 분리 및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A: 외측틀체 B: 요람용 침대
S: 곡면(曲面) P: 유니트 박스
1,1a: 지지판 2: 제1 연결축
2a: 제2 연결축 3: 제3 연결축
4: 제4 연결축 4a: 제5 연결축
5: 고정편 6,6a: 유동연결축
7: 모터 8: 모터축
9: 구동풀리 10: 벨트
11: 회전풀리원판 12: 풀리축
13: 크랭크편심축 14: 크랭크연결축
15: 회전축 16: 제1 작동레버
17: 제2 작동레버 16a: 외측절곡연결부
17a: 내측절곡연결부 18: 제1 고정축
18a: 제2 고정축 19: 제1 지지롤러
19a: 제2 지지롤러 20: 결합부
21: 결합공 22: 삽입축
23: 제1 홀더 24: 볼트축
25: 제2 홀더판 26: 너트

Claims (3)

  1. 양측의 지지판(1)(1a)에 하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2)(2a)과 상측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축(3)과 양측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 및 제5 연결축(4)(4a) 및 상기 제3 연결축(3)과 제4 및 제5 연결축(4)(4a)을 연결 결합하는 고정편(5)으로 구성되는 외측틀체(A)와,
    상기 외측틀체(A)의 내측으로 유동연결축(6)(6a)에 의해 상기 고정편(5)에 연결되는 요람용 침대(B)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외측틀체(A)의 지지판(1)(1a)은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S)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틀체(A)의 제1 및 제2 연결축(2)(2a)에 유니트 박스(P)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 박스(P)에는 모터(7)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모터(7)에는 모터 축(8)으로써 구동풀리(9)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9)와 벨트(10)로써 연결되는 회전풀리원판(11)을 풀리 축(12)으로 설치하며,
    상기 회전풀리원판(11)에는 상기 풀리 축(12)과 편심되게 크랭크편심축(13)을 설치하고 상기 크랭크편심축(13)의 선단에는 크랭크연결축(14)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크랭크연결축(14)의 선단에는 회전축(15)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15)에는 제1 작동레버(16)와 제2 작동레버(17)를 연결 결합하되, 상기 제1 작동레버(16)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외측절곡연결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레버(17)는 선단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내측절곡연결부(17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레버(16)의 외측절곡연결부(16a)의 절곡부에 제1 고정축(18)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1 지지롤러(19)를 결합하며,
    상기 제2 작동레버(17)의 내측절곡연결부(17a)의 절곡부에 제2 고정축(18a)을 유동되게 축설하고 선단부에는 제2 지지롤러(19a)를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판(1)(1a)과 제4 및 제5 연결축(4)(4a)의 결합은 결합부(20)에 의해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20)는 지지판(1)(1a)에 결합공(21)을 형성하고 상기 제4 및 제5 연결축(4)(4a)의 하측 선단에는 상기 결합공(21)과 삽입 결합되어 유동되는 원형의 삽입 축(22)과 제1 홀더판(23)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삽입 축(22)에는 볼트 축(24)을 구성하며 상기 볼트 축(24)에는 제2 홀더판(25)과 너트(26)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2. 삭제
  3. 삭제
KR1020110019543A 2011-03-04 2011-03-04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KR10108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43A KR101088680B1 (ko) 2011-03-04 2011-03-04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43A KR101088680B1 (ko) 2011-03-04 2011-03-04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680B1 true KR101088680B1 (ko) 2011-12-06

Family

ID=4550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43A KR101088680B1 (ko) 2011-03-04 2011-03-04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1511A1 (en) * 2012-03-19 2013-09-2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wing apparatus
CN104545134A (zh) * 2014-12-31 2015-04-29 周维保 多功能婴儿床
KR20150142486A (ko) * 2014-06-12 2015-12-22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CN112773136A (zh) * 2021-03-08 2021-05-11 广东捷标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哄睡功能的摇篮床
KR20220075075A (ko) * 2020-11-27 2022-06-07 (주)디자인유노 회동형 유아용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399Y1 (ko) * 2003-04-10 2003-07-10 송인한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399Y1 (ko) * 2003-04-10 2003-07-10 송인한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1511A1 (en) * 2012-03-19 2013-09-2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wing apparatus
US9033809B2 (en) 2012-03-19 2015-05-19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wing apparatus
KR20150142486A (ko) * 2014-06-12 2015-12-22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KR101583377B1 (ko) * 2014-06-12 2016-01-07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CN104545134A (zh) * 2014-12-31 2015-04-29 周维保 多功能婴儿床
KR20220075075A (ko) * 2020-11-27 2022-06-07 (주)디자인유노 회동형 유아용 침대
KR102538657B1 (ko) 2020-11-27 2023-06-01 (주)디자인유노 회동형 유아용 침대
CN112773136A (zh) * 2021-03-08 2021-05-11 广东捷标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哄睡功能的摇篮床
CN112773136B (zh) * 2021-03-08 2024-01-12 杨金刚 一种婴儿哄睡功能的摇篮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680B1 (ko)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
CN103565157B (zh) 一种活动沙发电动机械伸展装置
JP2013535280A5 (ko)
CN103070574B (zh) 儿童摇摆床
CN106426129B (zh) 一种多节式机械臂装置
CN105747686A (zh) 一种齿轮式自动摇动婴儿摇摆床
CN107822382A (zh) 一种齿轮齿条啮合敲打式婴儿摇床
KR20160000210A (ko) 유아용 흔들침대
US9066604B2 (en) Baby swing and bouncer
WO2017152805A1 (zh) 一种自动摇摆装置
KR200409961Y1 (ko) 흔들침대
CN101683302A (zh) 按摩机
CN104305770A (zh) 一种机电控制摇摆助睡婴儿床
CN101756557B (zh) 一种童床的动能补偿机构
CN202598639U (zh) 隐藏式抽油烟机的升降传动装置
CN107822383A (zh) 一种齿轮齿条啮合推进式摇摆婴儿床
CN203314993U (zh) 一种ct机主机的支撑装置
CN111227706A (zh) 一种高层建筑外玻璃清洁装置
KR200319399Y1 (ko) 전동식 자동 흔들 침대
CN204120641U (zh) 一种机电控制摇摆助睡婴儿床
CN214180861U (zh) 一种产房用新生儿护理装置
KR200351996Y1 (ko) 흔들침대
CN201571777U (zh) 一种童床的动能补偿机构
CN215980053U (zh) 一种暖风机的摇头机构
CN209939673U (zh) 一种传输网链的张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